서울 지하철 올해도 파업하나…사측 '수장 공백' 파업 위기 고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시, 교통공사 사장 사표 수리…직무대행 체제로 "양측 입장차 커" 파업가능성↑…버스까지 파업 우려 (자료사진) 2025.5.7/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올해도 여전히 '시민의 발' 서울 지하철 파업 위기가 도사리는 가운데 서울교통공사 수장의 공백으로 파업 가능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사측의 수장 공백으로 노조의 파업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노조는 이미 공사 사장이 아닌 서울시장과의 대화를 요구하는 등 파업에 동력을 불어 넣고 있다. 8일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백호 공사 사장의 사표를 수리했다. 지난 2023년 5월 사장에 취임, 내년 5월이 임기 만료인 백 사장은 지난 7월부터 일신상의 이유로 사의를 지속 표명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시가 백 사장의 사표를 수리함에 따라 당분간 공사는 한영희 기획본부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문제는 공사가 사장 직무대행 체제에서 서울시의회 행정감사는 물론 노조...
기사 본문
임금체계 개편 두고 6개월째 공전…통상임금 2심 판결에도 접점 못찾아 동아운수 소송 대법 갈 수도…市 "판결 따라 연 800억 부담 증가 예상" 서울 시내 공영버스 차고지에 세워진 버스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정수연 기자 =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인 이달 13일까지 교섭을 이어가기로 하면서 우려했던 수능 교통 대란은 피했지만 양측의 입장차가 커 해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통상임금이 쟁점인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은 6개월째 공전하고 있다. 당초 동아운수 통상임금 소송의 2심 결과가 나오면 진전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지만, 노사 어느 쪽도 100% 만족하지 못하는 판결이 나오면서 상황은 더 복잡해졌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 수능일까지 교섭 진행하기로 9일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발표한 공동성명에 따르면 노사는 13일 추가 교섭을 진행하고, 노조는 교섭하는 날까지는 쟁의행위를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기사 본문
서울시내버스 노사가 중앙노사교섭회의를 개최한 7일 서울 송파구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하루 전인 오는 12일 파업 가능성을 거론했던 서울 시내버스노조가 수능 날까지는 쟁의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9일 밝혔다. 버스 노조는 앞서 서울시·사측과 교섭을 진행했다. 하지만 통상임금 갈등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됐고, 파업 우려가 제기됐다. 서울시내버스 노사는 이날 박점곤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위원장과 김정환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명의의 공동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노사는 “시민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고, 상호 신뢰와 성실한 교섭을 통해 현안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입장을 밝힌다”며 “노동조합은 13일에 추가 교섭을 진행하고, 교섭하는 날까지는 쟁의행위를 실시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노사는 2025년 10월 29일 선고된 동아운수 통상임금 항소심 판결을 참고해, 노조의 주장에 대해 긴밀하고 심도 있게 교섭을 지속...
기사 본문
대학수학능력시험 하루 전인 오는 12일 파업 가능성을 거론했던 서울 시내버스노조가 수능 날까지는 쟁의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오늘(9일) 밝혔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오늘 박점곤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위원장과 김정환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명의의 공동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노사는 “노사는 시민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고 상호 신뢰와 성실한 교섭을 통해 현안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입장을 밝힌다”며 “노동조합은 13일에 추가 교섭을 진행하고 교섭하는 날까지는 쟁의행위를 실시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노사는 2025년 10월 29일 선고된 동아운수 통상임금 항소심 판결을 참고해, 노조의 주장에 대해 긴밀하고 심도 있게 교섭을 지속한다”며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2025년도 단체협약 및 임금협정 체결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노사는 통상임금과 임금체계 개편 문제를 두고 6개월 넘게 임금·단체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