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명 커닝했다"…연세대, 중간고사서 집단 부정행위 '발칵'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개
수집 시간: 2025-11-09 10:30: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2개

한국경제 2025-11-09 09:51:14 oid: 015, aid: 0005208773
기사 본문

집단 커닝 사태에 발칵 뒤집힌 연세대 교수 "자수 하라" "커닝 과정서 챗GPT 활용한 것으로 추정" 연세대 신촌캠퍼스 / 한경DB 연세대학교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파장이 일고 있다. 상당수 학생이 챗GPT 등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의 수강생은 600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강생이 많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간고사도 지난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이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이었다. 응시자는 시험 기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9 10:07:08 oid: 009, aid: 0005586868
기사 본문

“커닝 과정서 챗GPT 활용 추정” 연세대 교수 “자수하라”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임. [연합뉴스] 연세대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학내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상당수가 챗GPT 등 생성형 AI를 악용한 것으로 전해지며 대학가의 AI 윤리 논의가 다시 불붙고 있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은 약 600명이 듣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원이 많은 만큼 수업은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중간고사 또한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이 과정에서 사달이 난 것이다. 부정행위를 막으려는 조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식인데, 응시자에게 시험시...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9 10:17:08 oid: 009, aid: 0005586870
기사 본문

중간고사 집단 부정행위 정황 챗GPT 이용한 답안지 작성에 교수 “적발 학생 모두 0점 처리” 이미지는 기사 내용과 무관. [구글 제미나이] 대학 중간고사에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다. 챗GPT와 관련된 강의라는 점을 악용해 다수 학생이 답안 작성에 AI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다. 해당 교수는 이어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의 수강생은 무려 6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의실 수업으론 수용이 불가능한 만큼 수업은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중간고사 역시 지난 10월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그 과정에서 무더기 부정행위가 발생한 셈이다. 이같은 학생들의 부정행위를 막기 위한 조치...

전체 기사 읽기

kbc광주방송 2025-11-09 08:23:11 oid: 660, aid: 0000096609
기사 본문

▲대학교 강의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연합뉴스] 연세대학교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학내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학생이 챗GPT 등 AI(인공지능)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습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은 약 600명이 듣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중간고사 치러졌는데, 그 과정에서 사달이 난 것입니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식인데,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응시자에게 시험시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학생은 촬영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9 14:26:43 oid: 003, aid: 0013589335
기사 본문

학부 과목 '자연어처리와 챗지피티' 지난달 15일 중간고사서 발생 교수 "부정행위 모습 매우 다수 확인…자수 않으면 학칙대로 처리" 학생 커뮤니티 자체 투표…부정행위 '했다' 194명·'안했다' 167명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1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 수시논술 차량통행 통제 관련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2024.12.01.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이명동 한이재 기자 = 연세대의 한 인공지능(AI)과목 대형강의의 시험 과정에서 집단 부정행위가 발생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담당 교수는 발뺌하는 학생에 대해 유기정학을 추진하겠다고 공지했다. 9일 대학가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 학부 과목으로 개설된 2025년 1학기 '자연어(NLP)처리와 챗지피티(ChatGPT)' 과목의 지난달 15일 비대면 중간고사에서 수백명 규모의 집단 부정행위가 발생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담당 교수는 지난달 29일 공지를 통해 "영상 확인 중 부정행위를 하...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1-09 14:13:07 oid: 088, aid: 0000980047
기사 본문

교수 "0점 처리하겠다…자수하라" 연세대 본관 연세대학교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파장이 일고 있다. 정원 600명인 수업에서 최대 190명이 부정행위 저질렀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학생이 챗GPT 등 AI(인공지능)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은 약 600명이 듣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원이 많은 만큼 수업은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중간고사 또한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그 과정에서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된 것이다. 부정행위를 막으려는 조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식인데,...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1-09 14:15:08 oid: 243, aid: 0000087753
기사 본문

연세대 교정.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한 강의에서 중간고사 부정행위 정황이 확인돼 학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챗GPT 관련 강의라는 점을 악용해 다수 학생이 답안 작성에 인공지능(AI) 도구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해당 강의 담당 교수는 수강생 전원에게 점수를 부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시험 중 부정행위가 상당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해당 강의는 600명 이상이 수강하며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됐다. 중간고사도 지난달 15일 온라인으로 치러졌다. 시험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시자들은 시험 시간 동안 컴퓨터 화면과 얼굴, 손을 촬영해 제출해야 했다. 그러나 일부 학생은 촬영 각도를 조정하거나 화면에 프로그램을 겹쳐 띄우는 방식으로 부정행위를 ...

전체 기사 읽기

주간조선 2025-11-09 14:45:07 oid: 053, aid: 0000053428
기사 본문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앞. photo 뉴스1 연세대학교에서 챗GPT를 이용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학계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한 3학년 대상 강의인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확인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해당 수업은 약 600명이 수강하는 대형 강의로, 중간고사는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교수는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시험 시간 동안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모두 보이는 영상을 촬영해 제출하도록 했지만, 일부 학생들이 촬영 각도를 조정하거나 여러 개의 창을 띄우는 등 방식으로 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부정행위를 저지른 학생 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전체의 절반 이상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교수의 공지 이후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 연세대 신촌캠퍼스 게시판에는 "양심껏 투표해보자"는 글이 올라...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1-09 15:07:08 oid: 005, aid: 0001813179
기사 본문

챗GPT 활용해 답안지 작성 정황 “중간고사 모두 0점 처리” 생성형 AI 로 만들어진 이미지 입니다. 연세대학교의 한 강의에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드러났다. 수강생의 약 3분의 1이 챗GPT 등 AI를 활용해 답안을 작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9일 학계에 따르면 연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해당 수업은 약 600명이 수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강의인 만큼 중간고사 또한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다. 당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응시자에게 시험시간 동안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모두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하지만 일부 학생들은 촬영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나 화면에 여러 개의 창을 띄우는 방식으로 부정행위를 저...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9 14:50:09 oid: 020, aid: 0003673030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정문. 2024.12.01. 서울 연세대학교에서 진행 중인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파장이 일고 있다. 상당수가 챗GPT 등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시험을 본 것으로 드러났다. 9일 학계에 따르면 연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 중 자수한 학생들에 한해 중간고사 성적만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해당 수업은 약 600명이 비대면으로 듣는 강의다. 인원이 많은 만큼 중간고사 또한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이었는데, 적지 않은 학생들이 촬영 각도 등을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든 뒤 부정행위에 나섰다. 학교 측은 사전에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응시자에게 시험시간 동안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9 13:16:18 oid: 025, aid: 0003481317
기사 본문

사진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는 챗GPT 등 AI(인공지능)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학계에 따르면 연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해당 수업은 약 600명이 듣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원이 많은 만큼 수업은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중간고사 또한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이었다. 당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응시자에게 시험시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일부 학생들은 촬영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나 화면에 창을 여러 개 띄우는 방식 등으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정황을 파악한 교수는 자수하는 학생...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1-09 13:19:10 oid: 057, aid: 0001917802
기사 본문

대학교 강의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세대학교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나와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최근 연대 신촌캠퍼스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한다고 공지했습니다. 교수는 학생들에게 '자수'를 권유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은 약 600명이 듣는 만큼 비대면으로 진행됐고, 중간고사도 지난달 15일 비대면으로 열렸습니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이었는데, 부정행위를 막으려고 응시자에게 시험 시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하도록 했습니다. '커닝'은 이 과정에서 일어났습니다. 일부 학생이 촬영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나, 컴퓨터 화면에 여러 프로그램을 겹쳐 띄우는 식으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겁니다. 정확히 몇 명이 부정행...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