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65세 정년 연장' 본격 논의…'30대 의원'들 생각은 [이슈+]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개
수집 시간: 2025-11-09 10:03:0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경제 2025-11-08 16:04:11 oid: 015, aid: 0005208734
기사 본문

국민의힘 김재섭(왼쪽), 우재준 의원 /사진=한경DB, 뉴스1 "노인들 표가 많아서 노인들 위한 정책 위주로 나오네. 정년 연장하면 청년 일자리에 절대 긍정적인 영향을 없을 텐데... 집도 있고 결혼도 하고, 다 가진 세대가 왜 이렇게 바라는 게 많나." 정치권에서 '65세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젊은 세대의 시선은 싸늘하기만 합니다. 국민연금 '개혁' 때처럼 또다시 기성세대에만 유리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여야 모두 "정년 연장 필요"…민주당은 '연내 입법' 목표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년을 만 65세까지 연장하겠다는 것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연내에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회복과 성장을 위한 정년 연장특별위원회'를 시작했습니다. '65세 정년 연장'을 두고 '양대 노총의 청구서'라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지난 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찾았습니...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1-09 09:50:18 oid: 422, aid: 0000799722
기사 본문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년이 1년 연장되면 정규직 고령자 약 5만명의 은퇴가 유예될 것으로 추산됩니다. 국가데이터처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상용근로자의 연령별 분포를 세부 분석한 결과,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고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 계속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취업자로, 임금근로자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형태이며 통상 정규직으로 불립니다. 1964년생 상용근로자는 59세 때인 2023년엔 29만1천명이었는데 60세인 작년에는 23만7천명으로 5만5천명 감소했습니다. 1960∼1964년생이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상용근로자는 평균 5만6천명 줄었고 감소율은 20.1%였습니다. 이는 상용근로자가 법정 정년인 60세에 대거 정년퇴직하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대기업인 대규모 사업장(종업원 300인 이상) 상용직에서는 법정 정년퇴직의 영향이 더욱 커...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9 09:43:08 oid: 009, aid: 0005586860
기사 본문

“점진적 추진, 청년 고용대책 마련 필요” [연합뉴스] 65세 정년 입법 추진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1년 연장 시 정규직 고령자 약 5만명의 은퇴가 유예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정년 연장을 추진하면서 청년 일자리 감소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9일 국가데이터처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상용근로자의 연령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고용자 수가 급감했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 계속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취업자로, 통상 정규직으로 불린다. 1964년생 상용근로자는 59세 때인 2023년엔 29만1000명이었는데 60세인 지난해에는 23만7000명으로 5만5000명 줄었다. 1960∼1964년생이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상용근로자는 평균 5만6000명 감소했고 감소율은 20.1%였다. 이는 상용근로자가 법정 정년인 60세에 대거 정년퇴직 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년을 61세로 1세 연...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9 05:47:15 oid: 001, aid: 0015731342
기사 본문

획일적 연장엔 우려도…2016년 60세 정년에 청년고용 감소 현실화 채용공고 게시판 앞 시니어들 (고양=연합뉴스) 김병만 기자 = 6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고양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보고 있다. 2025.11.6 kimb01@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기자 = 정년 연장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청년층 일자리를 중심으로 고용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모인다. 고령화에 맞춰 정년 연장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지만 급격한 제도 변화는 청년층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은퇴 후 소득공백…고령화에 '오래 일해야' 분위기 최근 정년 연장 논의에 불이 붙은 배경에는 법정 정년과 공적연금 수급 시점 사이의 '소득 공백'이 자리하고 있다. 은퇴 후 3∼5년간 근로소득 없이 지내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정부 차원의 소득 보전책 마련이 화두로 떠올랐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18.6%(954만명)를 차지하는...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