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실종자 수색 밤사이 중단…"오전 중 재개 여부 논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보일러 타워 4·6호기 발파 사전 준비도 진행 지난 7일 새벽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5.11.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울산=뉴스1) 김세은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로 매몰된 실종자 2명에 대한 수색 작업이 밤사이 중단됐다. 소방 당국은 9일 오전 상황판단회의와 구조안전전문가 등과 협의해 수색 활동 재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날 오후 5시 25분께 붕괴한 보일러 타워 5호기에서 기울기 센서가 작동해 경보음이 울리면서 현장의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가 철수한 상태였다. 매몰 사고 시 인명 구조의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골든 타임'은 통상 72시간으로 보는데, 이 사고의 생존 골든타임은 이날 오후 2시께다. 이날 현장에서는 사고가 발생한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쪽에 있는 4·6호기 타워를 발파하기 위한 사전 준비도 진행한다. 5호기는 기둥 등...
기사 본문
9일 오전 구조안전 전문가들과 협의해 수색 재개 여부 결정 붕괴 5호기 양옆 4·6호기 해체 결정···취약화 작업 후 발파 ‘모든 안전 책임 계약업체가 진다’···위험의 외주화 집중 수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나흘째인 9일 사고 현장으로 관련 차량이 드나들고 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에 서 있는 4·6호기를 발파하기에 앞선 사전 작업이 이날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금 이 순간에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는 2명의 실종자를 찾기 위한 긴박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8일 오후 5시 25분 기울기 센서 경보로 중단된 구조 작업은 9일 오전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재개 여부가 결정된다. 정부는 실종자 구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고 인근 보일러타워 4·6호기도 해체하기로 했다. 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전날 오후 11시 가족 대표가 참여한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기사 본문
전날 위험 징후로 구조 인력 철수…4·6호기 해체 사전작업 속도 ▲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상태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연합뉴스 위험 징후로 밤사이 중단됐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의 수색·구조 작업이 9일 오전 재개 여부를 두고 검토에 들어갔다. 또 붕괴한 5호기 양옆에 있는 4·6호기를 안전하게 발파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 이날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5시25분쯤부터 매몰자 구조·수색을 전면 중단했다. 무너진 타워에 부착된 기울기 센서가 이상 반응을 감지하며 경보음이 울렸기 때문이다. 당국은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해 현장 인력과 장비를 즉시 철수시켰으며, 이 조치로 이날 아침까지 수색은 전면 중단됐다....
기사 본문
[앵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가 일어난지 오늘(9일)로 나흘째 입니다. 아직 실종자 위치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안전상의 이유로 수색이 일시 중단된 상태인데요. 자세한 상황,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준 기자. [기자] 네,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사고 현장입니다. 날이 밝으면서 실종 매몰자 수색 재개 여부와 인근 타워 철거 발파 작업 등이 본격 검토되고 있습니다. 붕괴된 5호기 양 옆으로 4, 6호기가 각각 있는데, 두 타워도 취약화작업이 진행된 상태라 불안정한 상탭니다. 아직 실종자 2명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수색은 일시 중단된 상태입니다. 어제 오후 5시 25분쯤, 무너진 5번 타워의 기울기 센서가 반응해 경보음이 울렸기 때문인데요. 구조당국은 오늘 오전 상황판단회의를 거쳐 수색 재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어제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추가 붕괴 우려가 있는 4호기와 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는데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