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7169㎞ GPR 탐사…‘땅 속 공동’ 578개 찾아 조치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서울시는 올해 7,169㎞ 구간에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한 결과, 지반 침하 위험이 있는 땅 속 빈 공간인 공동 578개를 발견해 조치했다고 오늘(19일) 밝혔습니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 속 공간을 찾아내는 활동입니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한 이후 지난 10년간 총 3만 3,129㎞에서 7,760개의 공동을 발견했습니다. 연간 조사 거리는 2015년 614㎞에서 올해 7,169㎞로 11.7배 늘었고, 같은 기간 공동 발견율은 1㎞당 0.41개에서 0.08개로 크게 줄었습니다. 시는 연말까지 9,000㎞ 탐사를 마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늘려 연간 1만 8,000㎞를 조사할 계힉입니다. 구체적인 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은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의 GPR 탐사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서울시 제공]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기사 본문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전체 조회 화면. 선으로 표시된 ‘탐사노선’은 올해 GPR 공동 탐사를 실시한 구간이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의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결과 지난 10년간 모두 7760개의 공동(땅속 빈 공간)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GPR 탐사 구간을 내년부터 기존의 두 배로 확대하고, 관련 인력과 장비도 확충하기로 했다. 시는 19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GPR 탐사 실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쏴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발견하고, 조치하는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 정례 탐사해 왔다. 시는 지난 10년간 총 3만3129㎞에 걸쳐 7760개의 공동을 발견해 사전 조치했다고 밝혔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에서 올해 9월까지 약 7169㎞로 약 11.7배 증가했다. 1㎞당 발견된 공동 수는 같은 기간 0.41개에서 0.08개...
기사 본문
2014년 11월부터 지난달까지 3만3000㎞ 조사 [서울=뉴시스] ‘GPR 탐사지도’ 내 ‘공동밀집도’(2020.~2025.8.) 조회 화면. 2025.10.19. (자료=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 시내 주요 도로 지표 투과 레이더(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이 서울 시민에 공개된다. 서울시는 서울안전누리 안 GPR 탐사 지도(서울안전누리→안전정보지도→GPR 탐사 지도)를 통해 2014년 11월 이후 발견·조치 완료한 공동(空洞) 7760개 위치, 발견일, 규모, 조치 결과 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GPR 탐사 지도 속 노란색 점은 공동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낸다. 점을 선택하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실시한 GPR 탐사 노선은 선으로 표시한다. 지난달 말부터는 공동 밀집도 기능을 도입했다. 공동이 많이 발생한 지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공동 밀집도는 100m 구간 내 발견된 공동 개수(0개, 1...
기사 본문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3만3000㎞ 조사 조사 결과, 공동 7760개 사전 조치 완료 '서울안전누리' 등 통해 조사 결과 공개 서울시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시작한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발견한 공동(空洞·땅속 빈 공간)이 총 7760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선제적 조치 등으로 공동 발견수는 10년간 5분의 1로 줄었다.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추진 중인 GPR 탐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조사연장은 약 12배 늘고 1㎞당 발견된 공동수는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지난 3월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한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 연합뉴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쏜 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조치하는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 GPR 탐사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례 탐사해왔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에서...
기사 본문
지표투과레이더(GPR) 조사 결과 탐사 확대·장비·인력 확대 (자료사진) 3월 25일 서울 강동구 명일초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싱크홀 사고 현장 모습.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서울시가 도심 내 땅 꺼짐(싱크홀) 등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약 11년간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진행한 결과, 총 7760개의 공동(空洞·지하 빈 공간)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탐사 규모를 확대하고, 발견된 공동을 신속히 제거해 지하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GPR은 전자기파를 이용해 지표면 아래 구조물을 탐지하는 장비로, 지하 공간이나 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해 2015년부터 정례적으로 조사를 이어오고 있다.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조사 길이는 총 3만3129km에 달한다. 조사 결과 총 7760개의 공동이 발견됐으며, 1km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로 집계...
기사 본문
연말까지 9000㎞ 탐사 완료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는 올해 7169㎞ 구간을 GPR(지표투과레이더)로 탐사해 공동(땅속 빈 공간) 578개를 선제 조치한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시가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추진 중인 GPR 탐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조사연장은 약 12배 늘고 1㎞당 발견된 공동 수는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에서 올해 9월 기준 약 7169㎞(약 11.7배 증가)로 늘었다. 시는 연말까지 9000㎞에 대한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연간 1만 8000㎞를 탐사할 계획이다. 또 굴착공사장 주변, 일반도로 구간 등도 매년 전수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GPR 탐사가 시작된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조사연장은 총 3만 3129㎞에 달하며,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총 7760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간...
기사 본문
서울시, 공동 7760개 사전 조치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공개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전체 조회 화면./서울시1 서울시가 지표투과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1㎞당 발견된 공동(空洞·땅속 빈 공간) 수가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사 연장은 약 12배 늘었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조치하는 대표적인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17일 시에 따르면, 연간 조사 연장은 2015년 614㎞에서 지난 9월 기준 약 7169㎞로 늘어났다. 10년 사이 약 11.7배 증가한 셈이다. 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해 이듬해부터 정례 탐사를 실시해왔다. 지난달까지 누적 조사연장은 총 3만 3129㎞에 달한다.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총 7760개로, 전체 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
기사 본문
10여년간 누적 조사연장 3만3천㎞…조치한 공동 7천760개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시는 올해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총 7천169㎞ 구간에서 실시해 지반침하로 이어질 수 있는 지하 공동(空洞) 578개를 발견 후 조치했다고 19일 밝혔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조치하는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하고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정례 탐사해 왔다. 10여년간 누적 조사연장은 총 3만3천129㎞에 달하고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7천760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 수준이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에서 올해 9월 기준 7천169㎞로 약 1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당 발견된 공동 수는 같은 기간 0.41개에서 0.08개로 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