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 구매하겠다" 300줄 주문한 가짜 공무원…위조 공문 내밀었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여수서 공무원 사칭 사기 시도 잇따라 김밥 300줄 주문·음료 대리구매 요구 시 "최근 유사 피해 사례 잇따르고 있어" [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전남 여수시 공무원을 사칭해 위조 공문으로 물품을 구매하려는 사기 시도가 발생해 시가 시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사기범이 준비한 가짜 공문. (사진=연합뉴스) 8일 여수시에 따르면 지난 7일 한 김밥집에 자신을 시청 문화예술과 직원이라고 소개한 손님이 찾아와 ‘2025년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라는 제목의 공문을 내밀었다. 공문에는 “2025년 지역 행사 친화적 문화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승인”이라는 문구와 함께 여수시장의 가짜 직인이 찍혀 있었다. 손님은 김밥 300줄을 주문하며 “행사 참가자에게 제공할 음료를 대신 구매해 달라”며 1500만 원 상당의 음료 대리 구매를 요청했다. 김밥집 주인은 실제 시청 업무로 착각해 음료수 구매 명목으로 약 600만 원을 송금했지만 나중에 사기임을 알아차리고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전...
기사 본문
전국에서 4500여건 발생 주의보...행정기관 전화해 확인 요망 여수시청 위조 공문. [헤럴드경제(여수)=박대성 기자] 여수에서도 위조된 공문서를 내밀며 공무원을 사칭한 구매 사기 사건이 발생했다. 8일 여수시에 따르면 전날 시내 모 김밥집에 손님이 찾아와 자신을 시청 문화예술과 직원이라고 소개하며 김밥 300줄을 주문했다. 이 손님은 ‘25년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라는 제목의 여수시장 직인이 찍힌 위조 공문을 내밀며 음료수 대리 구매도 요청했다. 위조된 가짜 공문에는 ‘2025년 지역 행사 친화적 문화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승인’이라며 ‘세부 사항을 확인해 처리하길 바란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공무원 사칭 사기범은 구매 품목 집행 금액으로 150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해 음료를 구매한다고 기재했다. 이에 속은 김밥집 주인은 시청에서 축제에 쓸 음식을 준비하는 것으로 속아 공무원 사칭범이 알려준 계좌로 음료 대금 600만원을 선입금(송금)했다가 뒤늦게 사기임을 알고 신고한...
기사 본문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구입 허위 공문서 버젓이 발송 여수시 "신뢰 악용 범죄는 수사 의뢰 등 강력히 대응" [여수=뉴시스] '2025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라는 제목의 여수시청 공문 형식을 모방한 사칭 문서. (사진=여수시 제공) 2025.11.0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여수=뉴시스] 김석훈 기자 = 전남 여수시에서 불꽃축제 설문조사를 빌미로 공무원을 사칭해 금품을 갈취하려는 사례가 드러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7일 여수시에 따르면 최근 여수시청 공무원을 사칭해 업체나 시민에게 음료, 김밥 등을 구매한다는 공문 발송 사기 사례가 발생했다. 공무원 사칭 유형으로는 주로 전화나 문자, 메신저 등을 통해 자신을 시청 특정 부서 공무원이 라고 소개하며, '2025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라는 제목에 공문 형식의 문서를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공문은 제목과 내용, 금액 등이 기재됐으며, 해당 부서의 팀장과 과장 등 결재 체계, 여수시장의 직인...
기사 본문
최근 '2025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라는 제목의 여수시청 공문 형식을 모방한 위조 문서./사진=여수시 제공 전남 여수시에서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시도 사건이 발생해 시가 시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8일 여수시에 따르면 전날 한 김밥집에 자신을 시청 공무원이라고 밝힌 손님이 찾아와 '2025년 불꽃축제 설문조사 음료'라는 제목의 위조 공문을 내밀었다. 위조 공문에는 '2025년 지역 행사 친화적 문화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승인'이라는 내용과 함께 여수시장 직인이 찍혀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지 않을 경우 속아 넘어갈 만큼 정식 공문 형태와 유사하다. 손님은 김밥 300줄을 주문하며 행사 참가자에게 제공할 1500만원 상당의 음료 대리 구매도 요청했다. 김밥집 주인은 실제 시청 업무라고 생각해 음료수 구매 명목으로 약 600만원을 송금했지만, 나중에 사기라는 것을 알고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최근 전화나 문자, 메신저 등을 통해 시청 특정 부서 공무원으로 자신을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