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커조직, 정부 행정망 해킹…인증서·IP로 침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온나라시스템 뚫려 2022년부터 자료 열람 정황 김수키 배후 단정 증거 부족…대만 공격 시도도 확인 해킹 개요도 [국가정보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정부 행정망에 침입한 해커들은 6개의 인증서와 국내외 6개 IP를 이용해 온나라시스템에 접속,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정보원은 17일 "프랙에서 해킹 정황을 공개한 것보다 한 달 앞선 7월 해킹 첩보를 입수했다"며 "해커는 다양한 경로로 공무원들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 패스워드 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이며, 인증체계를 분석한 뒤 합법적 사용자로 위장해 행정망에 접근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공개했다. 국정원은 "이후 인증서 6개 및 국내외 IP 6개를 이용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행정안전부가 재택근무를 위해 사용하는 원격접속시스템을 통과,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했다"고 확인했다. 대응 과정에서 일부 부처가 자체 운영 중인 전용 시스템에 접근한 사실도 추가 확...
기사 본문
"국정원 통해 확인…ARS 인증도 거치도록 보안 강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 유효기간 만료…남은 것도 폐기" "사용자 부주의로 인증서 정보 유출 추정…조치 완료"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범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 지난 7월 외부 PC에서 접근한 정황을 확인, 유출 경위와 피해 영향도 등을 조사중이며 보안 강화를 시행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2025.10.17.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범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이 해킹을 당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행정안전부가 지난 7월 외부 PC에서 온나라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이 있었다고 17일 밝혔다. 공무원 650명의 행정전사서명(GPKI) 인증서 파일이 유출된 사실도 확인됐다. 앞서 미국 해킹 전문지인 '프랙'은 지난 8월 8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행안부, 외교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등 우리나라의 여러 정부부처 시스템에 대...
기사 본문
"現 보안관제시스템, 해킹 징후 100% 포착 못 해…사각지대 탐지체계 고도화" "한글 중국어 번역·대만 해킹 시도 흔적"…北 아닌 '중국 해커' 소행 정황 미상 해커의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행정망(내부망) 침투 개요도.(국정원 제공) (서울=뉴스1) 유민주 구진욱 기자 = 국정원은 17일 미상의 해커가 정부의 행정망인 온나라시스템에 무단 접속한 사실을 지난 7월에 확인해 여러 대응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지난 7월 온나라시스템 등 공공·민간 분야에 대한 해킹 첩보를 사전에 입수했다"며 "행안부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정밀 분석을 실시해 해킹 사실을 확인하고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한 대응에 나섰다"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8월 미국 해킹 전문 매체인 '프랙'(Phrack)에서 해킹 정황을 공개한 것보다 한 달 앞선 조치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해킹 전문 매체인 프랙은 지난 8월 익명의 화이트해커들이 국제 해커그룹의 PC를 역으로 해킹한 결과를 보고서 형식으로 공개했다. 보고...
기사 본문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이 해킹당한 사실을 정부가 공식 확인했다. 사진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연합뉴스]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과 공무원 인증에 필요한 행정전자서명(GPKI)에 해커가 접근한 정황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정부는 유출 경위와 함께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또 관련해 보안 조치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한 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지난 7월 중순 정부원격근무시스템(G-VPN)을 통해 외부인이 온나라시스템에 접근한 정황을 국가정보원이 확인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온나라 해킹 브리핑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 정부혁신실장이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앞서 지난 8월 미국 해킹 전문 매체인 프랙매거진(Phrack Magazine)은 행정안전부·외교부·통일부·해양수산부 등 중앙부처를 비롯해 KT·LG유플러스 등 한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