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보일러 타워서 '위험 경보음'…실종자 수색 중단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발전소 내 붕괴한 기력 5호기 보일러 타워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연합뉴스 8일 오후 한국동서발전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경보음이 울려 실종자 수색 작업이 중단됐다. 소방 당국와 동서발전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25분쯤 사고 현장에서 붕괴 위험을 감지한 센서가 작동했다. 이에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은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즉각 안전지대로 철수했다. 조명 차량도 철수했다. 경보음은 붕괴된 5호기 보일러 타워에서 울린 것으로 파악됐다. 경보음이 울린 센서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장치로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2차 사고 방지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센서 설치 업체가 원인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인이 확인될 때까지 구조·수색 작업은 지연될 전망이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실제 위험이 있는지, 단순 오작동인지 아직은 확실하지 않다”며 “안전이 ...
기사 본문
[뉴스데스크] ◀ 앵커 ▶ 이어서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속보입니다. 사고 현장에서는 수색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실종자 두 명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원활한 수색과 구조 작업을 위해 사고 현장 양옆의 보일러타워들을 해체하기로 결정했는데요. 오늘 오후 사고 현장에서 '경보음'이 울려 수색 작업이 잠시 중단됐습니다. 현장에 정인곤 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정 기자, 아직도 수색 작업이 재개되지 않고 있습니까? ◀ 기자 ▶ 네. 이곳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은 현재 조명이 꺼진 상황입니다. 오후 5시 반쯤 '경보음'이 울려 인력과 장비들이 안전지대로 철수하면서 수색, 구조 작업은 중단된 상태인데요. 이미 붕괴된 보일러타워 5호기의 기울기 감지 센서에서 울린 것으로 확인돼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사흘째 이어진 수색 작업에도 아직 매몰된 노동자 7명 가운데 2명은 위치를 찾지 못했습니다. 또한 숨진 노동자 1명과 사망 추정자 2명도 무너진 잔해 속에서...
기사 본문
지난 7일 오후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뉴스1 한국동서발전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경보음이 울려 실종자 수색 작업이 1시간 넘게 중단되고 있다.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8일 오후 5시 25분쯤 현장에서 붕괴 위험 감지 센서가 작동했다. 이후 현장 내 스피커를 통해 대피 안내 방송이 흘러나왔고,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이 곧장 안전지대로 철수했다. 당초 경보가 울린 센서는 당초 보일러 타워 4호기에서 울린 것으로 알려졌으나, 확인 결과 사고가 나 붕괴된 5호기에서 울린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센서가 작동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현장에선 이날 간간이 내린 비의 영향이나 구조 작업 영향으로 센서가 작동했을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작동한 센서는 기울기를 감지해 울리는 장치로 설치 업체가 원인을 찾고 있다고 전해졌다. 원인이 확인될 때...
기사 본문
지난 7일 오후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뉴스1 8일 오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서 갑자기 경보음이 울리면서 실종자 수색 작업이 중단됐다.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25분쯤 현장서 붕괴 위험 감지 센서가 작동하면서 현장 스피커에서 대피 안내 방송이 나왔다. 실종자를 수색 중이던 119구조 인력 등을 비롯한 수색대원과 장비 등은 곧바로 안전지대로 철수했다. 경보음은 이미 사고가 나 붕괴된 5호기에서 울린 것으로 파악됐다. 이 센서는 기울기를 감지해 울리는 것으로, 센서 설치 업체가 원인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일 오전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가 난 울산 남구 남화동 소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소방대원들이 매몰자를 구조하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이날 내린 비나, 구조 작업의 영향으로 센서가 작동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아...
기사 본문
[울산=뉴시스] 배병수 기자 = 지난 6일 오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작업자 7명이 매몰됐다. 2025.11.07. bbs@newsis.com [울산=뉴시스] 안정섭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8일 오후 경보음이 울리면서 실종자 수색작업이 중단됐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25분께 사고 현장에서 붕괴 위험을 감지하는 센서가 작동하면서 대피 안내방송이 송출, 현장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안전지대로 긴급 철수했다. 경보음이 울린 센서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장치로 당초 보일러 타워 4호기에서 울린 것으로 알려졌으나 확인 결과 사고로 붕괴된 5호기에서 작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사고수습본부가 2차 사고 방지를 위해 붕괴된 보일러 타워 5호기에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보 원인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으며, 오작동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실제 붕괴 위험이 있는...
기사 본문
8일 오후 한국동서발전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경보음이 울려 실종자 수색 작업이 중단됐다. 소방당국과 동서발전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25분쯤 현장에서 붕괴 위험을 감지한 센서가 작동했다. 현장 내 스피커를 통해 대피 안내 방송이 나오면서,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이 즉각 안전지대로 철수했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발전소 내 붕괴한 기력 5호기 보일러 타워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이 사고로 현재까지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이 실종 상태다. 연합 경보음이 울린 센서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장치다. 당초 보일러 타워 4호기에서 울린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고로 붕괴된 5호기에서 작동한 것으로 추후 파악됐다. 현장에선 이날 간간이 내린 비의 영향이나 구조 작업 영향으로 센서가 작동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원인이 확인될 때까...
기사 본문
붕괴 위험 감지 센서 작동…긴급 대피 경보 원인 파악 중…수색 일시 중단 4·6호기 해체 준비…LNG 배출도… 8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 수색이 일시 중단되면서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김현우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로 매몰돼 실종된 2명을 구조하는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비와 바람 등 악천후에, 설상가상으로 다른 보일러 타워에서 위험 신호가 울리면서 수색이 일시 중단된 상태다. 8일 울산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20분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수색이 일시 중단됐다. 사고 현장에서 붕괴 위험을 감지하는 경보가 울리면서 119구조대와 울산시·발전소 관계자가 안전지대로 긴급 대피했다. 현장에 있던 천막 일부도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수색이 중단된 데다 조명 차량도 철수하면서 사고 현장은 적막감만 감돌고 있다. 경보음은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에서 났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2차 사고 방지를 위해 붕괴된 5호기 보일러 타워에 해당 센서...
기사 본문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발전소 내 붕괴한 기력 5호기 보일러 타워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이 사고로 현재까지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이 실종 상태다. 2025.11.8. 연합뉴스 [서울경제] 8일 오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경보음이 울리며 실종자 수색 작업이 1시간 넘게 중단되고 있다. 소방당국과 동서발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25분께 현장 내 붕괴 위험을 감지하는 센서가 작동하면서 경보가 울렸다. 직후 현장 내 스피커를 통해 대피 안내 방송이 나왔고,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들이 모두 안전지대로 철수했다. 당초 경보가 울린 곳은 보일러 타워 4호기로 알려졌으나, 확인 결과 실제로는 사고가 발생해 붕괴된 5호기에서 경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장에서는 이날 오후 간간이 내린 비나 구조 작업 중의 진동으로 인해 센서가 반응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