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명은 어디에…울산화력 붕괴사고 이틀째 매몰자 수색 '사투'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발견' 5명 중 2명 시신 수습, 3명은 접근 난항 실종자 위치 파악 주력…타워 추가 붕괴 위험 7일 오후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이 구조견과 함께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5.11.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울산=뉴스1) 조민주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발생 이틀째인 7일 잔해 속 매몰자들을 구하기 위한 구조 당국의 사투가 이어지고 있다.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력 5호기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매몰된 근로자 7명 가운데 현재까지 5명이 발견됐고, 이 중 3명이 사망했다. 다른 2명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이들 5명 중 시신이 수습된 2명을 제외한 나머지 3명에 대해선 당국의 접근이 어려운 상태다. 사고 현장에 철근과 철판 등 무너진 타워 구조물이 뒤엉켜 있는 탓에 구조·수색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사고 현장 수색은 5호기 보일러 타워를 중심으로 ...
기사 본문
매몰 7명 중 3명 사망·2명은 사망 추정 실종자 2명 위치 파악 주력…타워 추가 붕괴 위험 7일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5.11.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울산=뉴스1) 조민주 김세은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이틀째인 7일 이 사고로 매몰된 근로자 7명 중 3명이 숨졌다. 나머지 근로자 중 2명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다른 2명은 소재를 확인하지 못해 당국이 수색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7시 33분, 8시 44분, 8시 52분께 타워 정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부근에서 매몰자 3명을 발견했다. 이 가운데 A 씨(61)가 위중한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 판정을 받았고, B 씨(49)는 현장에서 사망 판정을 받은 뒤 병원으로 이송됐다. 전날 사고 현장에서 먼저 발견된 작업자 2명 중 의식이 있었던 C 씨(44) ...
기사 본문
◆울산화력 붕괴 사고 수색 계속 7명 매몰자 중 3명 사망·2명 사망추정·2명 실종 유일하게 의식 있던 작업자도 심정지 사망 무너진 철근에 석면 등 잔해까지 겹쳐 난항 보일러타워 2차붕괴 위험성에 진입 어려워 울산경찰청, 전담수사팀 구성해 원인 규명 7일 오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119구조대원들이 붕괴된 구조물 안에서 구조 장비를 이용해 구조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하루가 지났지만 매몰된 작업자들의 구조 소식은 들려오고 있지 않다. 소방 당국은 복잡한 내부 구조와 2차 붕괴 위험성으로 인해 내시경과 음향탐지기 등 최신 장비를 총동원해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매몰 위치와 생존 여부를 확인했던 피해자마저 끝내 사망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7일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에서 진행한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전 7시 33분과 8시 44분, 8시 ...
기사 본문
모두 발파업체 소속 직원…보일러 타워 2차 붕괴 우려에 구조 난항 크레인 등 중장비 동원 대신 구조대원이 잔해 내부 들어가 인명 탐색 구조된 매몰자 이송하는 구급대원들 (울산=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7일 오전 구조된 매몰자를 119구급대원들이 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다. 2025.11.7 [울산소방본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young@yna.co.kr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김근주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이틀째인 7일 매몰자 7명 가운데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다. 또 2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됐으며, 실종자 2명에 대한 수색 작업은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7시 33분부터 8시 54분 사이 붕괴 현장 측면부에서 매몰자 3명을 발견했다. 이 가운데 이모(61)씨가 위중한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 판정을 받았다. 또 전모(49)씨는 현장에 설치된 응급의료소 의료진으로부터 사망 ...
기사 본문
5호기 양쪽 4, 6호기도 하부 지지층 제거로 '위태' 생존자 확인했으나 붕괴 우려로 중장비 투입 불가 소방대원이 손으로 잔해 치워가며 구조 중 숨져 3명은 사망 확인, 2명은 사망 추정, 2명은 실종 7일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 붕괴된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쪽으로 하부 구조물이 모두 제거된(빨간 동그라미) 4, 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울산= 박은경 기자 그래픽= 김대훈 기자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타워 해체 중 붕괴 사고로 매몰된 7명 가운데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사망으로 추정되는 2명을 포함하면 총 5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 해체 과정에서 아래쪽 지지대를 먼저 제거한 탓에 추가 붕괴 우려로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존이 확인된 작업자도 결국 숨지는 등 피해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7일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새벽 4시 53분쯤 매몰자 김모(44)씨가 숨졌다. 그는 전날 오후 2시 2분쯤 사고 이후 매몰 위치와 생존을 확인한...
기사 본문
6일 오후 보일러 타워 무너져 9명 덮쳐 7명 매몰…5명 발견됐으나 3명 사망 현장 불안정성으로 구조작업 어려워 소방, 인력·장비 총동원해 구조작업 총력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6일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보일러타워가 무너지며 작업을 하던 직원들이 매몰됐는데요. 7일 기준 3명은 사망, 2명은 사망 추정 상태입니다. 아직 실종자 2명이 남았지만, 추가 붕괴 위험 등으로 소방의 구조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7일 오전 구급차가 심정지 상태로 구조된 매몰자를 이송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철거 작업 중이던 높이 60m짜리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직원 9명을 덮쳤습니다. 이중 2명은 사고 발생 21분만에 구조됐는데요. 7명은 매몰됐습니다. 소방은 사고 당일 매몰된 2명에 대해선 위치를 파악해 구조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
기사 본문
━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7명 매몰 울산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이틀째인 7일 소방대원들이 매몰자를 구조해 이송하고 있다. 이날 오후 8시 현재 3명이 숨진 채 발견됐고, 2명은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구조된 2명은 현재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뉴스1]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이틀째인 7일에도 수색·구조 작업이 계속된 가운데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다. 또 2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됐으며 2명은 여전히 매몰된 위치가 파악되지 않아 구조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구조대는 이날 오전 7시반쯤부터 보일러 타워 철골 잔해 속에서 매몰 근로자 3명을 잇따라 발견했다. 하지만 이 중 2명은 숨진 상태로 발견됐거나 병원으로 옮겨진 뒤 사망 판정을 받았고 아직 매몰된 상태인 나머지 한 명도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앞서 오전 4시50분쯤엔 40대 근로자가 구조 도중 숨졌다. 그는 전날 붕괴 후 철골 잔해...
기사 본문
붕괴 위험에 “대형 장비 투입 불가”…수색 속도 한계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119 구조대 차량이 발전소 후문을 통과하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현재까지 매몰자는 총 7명으로 실종자 2명을 제외하고 사망자는 3명, 사망 추정자는 2명이다. 연합뉴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사흘째 5명의 노동자가 여전히 철근 더미 아래 갇혀 있다. 밤새 수색 작업을 벌였지만, 매몰자 2명의 위치도 확인하지 못했다.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8일 아침 8시 8차 현장브리핑을 열어 “지난밤 사이 실종자 2명을 찾기 위해 드론, 열화상카메라, 내시경 등을 동원해 수색했지만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지난 6일 발생한 붕괴 사고의 매몰자는 7명이다. 이들은 모두 높이 60m짜리 보일러 타워의 25m 지점, 반경 15m 구조물 위에서 취약화 작업을 하다 변을 당했다. 지난 7일 오후 울산 남구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