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 가사노동·경제력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 높다"

2025년 10월 19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6개
수집 시간: 2025-10-19 15:30: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7개

SBS 2025-10-19 09:26:42 oid: 055, aid: 0001300871
기사 본문

맞벌이 부부의 경우 남편과 아내의 가사노동 분담 수준이 대등하고 경제력이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요인 탐색'(저자 안리라 고려대 박사) 논문에 따르면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엔 '성평등'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논문은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 포함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천314건을 토대로 연령, 자녀 수, 가구소득 등 여러 요인에 따른 출산 의사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출산 의사에는 연령, 자녀 수 등 개인적 요인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성평등 요인, 경제적 요인, 인식·문화적 요인의 순이었습니다. 성평등 요인은 패널조사 문항에 포함된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과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아내의 시간당 임금을 부부의 시간당 임금을 합산한 값으로 나눈 비율)으로 측정했는데, 이 두 가지가 대등...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19 14:28:16 oid: 469, aid: 0000892669
기사 본문

요인별 출산 의사 예측한 연구결과 보니 평등한 성역할 가치관, 출산 의지 높여 가사 분담률 절반인 47%에서 가장 높아 여성이 남성보다 더 벌면 출산 의지 줄어 남성이 덜 벌면, 가사 분담도 회피 가능성 게티이이미지 뱅크 부부의 소득과 가사 분담률이 비슷한 수준인 가구일수록 여성의 출산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출산 의지가 가장 높은 가사분담률은 서로 딱 절반가량을 책임지는 47% 지점이었다. 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 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 요인 탐색:랜덤포레스트 기법의 적용'(저자 안리라 고려대 박사) 논문에 따르면, 맞벌이 기혼 여성의 출산 의사엔 성평등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 포함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314건을 토대로 무엇이 여성의 출산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를 예측(랜덤포레스트 기법)했다. 그래픽= 박종범 기자 연구에 따르면 남편의...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19 15:00:14 oid: 028, aid: 0002771599
기사 본문

육아정책연구 최신호 논문 게티이미지뱅크 남편과 아내의 경제력이 비슷할수록 여성의 출산 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소득이 배우자 소득을 웃돌수록 출산 의사는 되레 감소했다. 19일 육아정책연구소가 펴낸 학술지 육아정책연구(제19권 제2호·최신호)에 실린 논문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 요인 탐색’을 보면, 맞벌이 기혼 여성의 출산 의사에는 ‘연령’과 ‘자녀수’를 제외하면 ‘성평등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연구자인 박리라 박사(고려대 사회학)는 성평등 요인을 시간당 임금으로 추산한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과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로 살폈다. 뒤를 이어 ‘가구소득’, ‘성 역할 가치관’, ‘가족 가치관’, ‘개인주의 가치관’ 등 경제·가치관 순으로 출산 의사에 영향을 미쳤다. 학력과 가족친화제도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가장 작았다. 연구자는 해당 요인들의 영향이 ‘비선형성’을 띈다고 보고 이를 살폈다. 평균적인 중요도를 떠나 조사 대상자 개개인의 상...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9 06:02:00 oid: 001, aid: 0015686095
기사 본문

육아정책연구 논문…"경제적 요인보다 '성평등'이 출산에 더 영향" 맞벌이 부부, 가족, 가사 (PG) [장현경, 이태호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맞벌이 부부의 경우 남편과 아내의 가사노동 분담 수준이 대등하고 경제력이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요인 탐색'(저자 안리라 고려대 박사) 논문에 따르면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엔 '성평등'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논문은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 포함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천314건을 토대로 연령, 자녀 수, 가구소득 등 여러 요인에 따른 출산 의사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출산 의사에는 연령, 자녀 수 등 개인적 요인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성평등 요인, 경제적 요인, 인식·문화적 요인의 순이었다. 성평등 요인은 패널조사 문항에 포함된 ...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9 15:57:06 oid: 022, aid: 0004076018
기사 본문

게티이미지뱅크 부부의 소득과 가사 분담률이 비슷한 수준인 가구일수록 여성의 출산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 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 요인'(저자 안리라 고려대 박사 논문)에 따르면 맞벌이 기혼 여성의 출산 의사엔 성평등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연구팀은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 포함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314건을 토대로 무엇이 여성의 출산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를 예측(랜덤포레스트 기법)했다. 그 결과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이 증가할수록 여성 출산 의사가 증가했다. 특히 남녀의 분담률이 반반 수준인 47%인 지점에서 출산 의사가 가장 높았다.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아내의 시간당 임금을 부부의 시간당 임금을 합산한 값으로 나눈 비율)에 따른 출산 의사는 30∼50% 수준까지는 뚜렷하게 높아졌지만 아내가 남편보다 높아지는 50% 수준부터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19 12:04:01 oid: 032, aid: 0003402881
기사 본문

남편과 아내가 가사노동을 고르게 분담하고, 경제력이 비슷한 맞벌이 부부일수록 여성의 출산 의사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러스트·김상민 화백 남편과 아내가 가사노동을 고르게 분담하고, 경제력이 비슷한 맞벌이 부부일수록 여성의 출산 의사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요인 탐색’ 논문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안리라 고려대 사회학 박사는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의 데이터 3314건을 토대로 여성의 출산 의사를 분석했다. 분석 여성의 연령, 학력, 자녀 수 등 ‘개인적 요인’이 출산 의사에 기여하는 바가 가장 컸다. 논문은 “출산이 생물학적 과정이고, 부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연령이나 자녀 수 등 개인 요인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경제적 요인’ 중에서는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이 대등...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19 06:10:09 oid: 005, aid: 0001808591
기사 본문

맞벌이 부부의 경우 남편과 아내의 가사노동 분담 수준과 경제력이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출산 문제에서는 특히 성평등 요인이 중요해 커 노동시장 구조 개선, 양극화 해소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육아정책연구소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요인 탐색’ 논문에는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는 ‘성평등’ 요인이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적혀 있다. 논문은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 포함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314건을 토대로 연령, 자녀 수, 가구소득 등 여러 요인에 따른 출산 의사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출산 의사에는 연령, 자녀 수 등 개인적 요인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성평등 요인, 경제적 요인, 인식·문화적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평등 요인은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과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아내의 시간당 임금을 부부의 시간당 임금을 합산한 값으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