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년 된 타워 철거 중 ‘콰쾅’… “옆 타워도 위험, 구조 더뎌”

2025년 11월 0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4개
수집 시간: 2025-11-08 04:02:3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일보 2025-11-07 00:46:24 oid: 023, aid: 0003939476
기사 본문

울산 火電 시설 붕괴… 7명 매몰 울산에 있는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철거 중이던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작업자 9명이 매몰됐다. 7일 0시 현재 2명이 구조됐다. 소방 당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내리고 구조 작업을 하고 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분쯤 울산 남구 남화동에 있는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가 갑자기 균형을 잃고 쓰러졌다. 보일러 타워는 물을 끓여 전기를 생산하는 철골 구조물이다. 높이 약 60m로 15층 건물과 비슷한 규모다. 무너진 타워 옆 시설물도 아슬아슬 6일 오후 울산 남구에 있는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 이날 철거 중이던 보일러 타워(가운데)가 무너지면서 작업자 9명이 매몰됐다. 소방 당국은 7일 0시 현재 9명 중 2명을 구조했다. 소방 당국은 “옆에 있는 타워도 붕괴할 가능성이 있어 구조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했다. 구조대가 매몰된 작업자를 찾기 위해 모여 있다./뉴시스 사고 당시 작업자 9명이 구조물 아래에서 철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7 13:00:00 oid: 001, aid: 0015729930
기사 본문

전문가 "예상보다 더 노후화 가능성…와이어 등 붕괴 방지장치 유무 확인도 필요" 구조된 매몰자 이송하는 구급대원들 (울산=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7일 오전 구조된 매몰자를 119구급대원들이 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다. 2025.11.7 [울산소방본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young@yna.co.kr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매몰자 구조가 7일로 이틀째 이어지는 가운데 붕괴 원인을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다.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울산 남구 용잠동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보일러 타워가 무너진 것은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쿵'하는 소리와 함께 무너지자 현장과 200m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굉음을 느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1981년 준공 이후 40년가량 스팀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다가 2021년부터 사용이 중지된 철재 구조물이다. 동서발전이 해체 공사를...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07 16:52:00 oid: 032, aid: 0003407354
기사 본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이틀째인 7일 울산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에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있다. 권도현 기자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3명이 숨지는 등 5명이 매몰돼 구조작업이 펼쳐지는 가운데 붕괴 원인을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다. 40년이 넘는 내구연한으로 인한 부식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분석과 해체·철거 공사에서 반복되는 문제인 해체계획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온다. 7일 울산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 6일 오후 2시2분쯤 울산 남구 용잠동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타워가 무너졌다. 붕괴된 보일러 타워는 1981년 준공 이후 40년가량 스팀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다가 2021년부터 사용이 중지된 철재 구조물이다. 동서발전이 해체 공사를 발주해 HJ중공업이 시행사를 맡고, 코리아카코(발파업체)가 하도급받아 지난달부터 취약화 작업을 하던 중 사고가 났다. 사고 난 ...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1-07 16:17:11 oid: 658, aid: 0000125275
기사 본문

작업 중 한쪽에 하중 실렸거나 구조물이 뒤틀렸을 가능성 높아 작업물 잡거나 받쳐주는 설비 유무 등 사전 안전조치 여부 관건 원인 규명 위해 고용부 강제수사, 울산경찰청 수사 전담팀 꾸려 지난 6일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9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붕괴 원인이 철거 중 타워의 쏠림이나 뒤틀림 등 2~3가지로 압축되고 있다. 사전 안전관리가 소홀했음을 유추할 수 있는 현상들이라 곧 시작될 경찰 등의 수사가 주목된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7일 오전 구조된 매몰자를 119구급대원들이 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경찰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1981년 준공 후 40여 년간 스팀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다가 2021년부터 사용이 중단된 보일러 타워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해체는 동서발전이 공사를 발주해 HJ중공업이 시행사를 맡고, 코리아카코(발파 업체)가 하도급 받아 지난달부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