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과목 1등급’ 서울 학생만 10배 폭증…“이러다 입시 아수라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올 1학기 1009명…고교학점제 전엔 121명 “10배 늘었다는 건 상위권 변별력 없다는 것” 학생이 시험을 보고 있다.뉴시스 고교학점제가 처음 시행된 올해 1학기 서울에서 전 과목 1등급을 받은 학생 수가 1000명을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입시업계에서는 최상위권 학생수 급증으로 내신의 변별력이 약화돼 대학 입학 과정에서 큰 혼란이 나타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전 과목 1등급을 받은 학생은 총 1009명이다. 전체 학생 수 5만8828명 대비 1.72%에 해당한다. 고교학점제가 시행되기 전인 2023학년도 1학기 전 과목 1등급 학생 수 121명, 0.18%와 비교하면 약 8~10배 급증한 수치다. 1등급은 고교학점제가 시행되기 전인 9등급제에서는 상위 4%, 고교학점제가 시행된 이후인 5등급제에서는 10%까지 해당한다. 교육지원청별 전 과목 1등급 학생 비율과 수...
기사 본문
자녀와 함께 보는 틴매일경제 입시트렌드 지난달 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수시모집 논술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정문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Q. 요즘 고교학점제 이야기가 자주 들립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과목을 고르는 방식인데, 대학 입시에도 직접적인 변화가 있을까요? A. 그렇습니다. 고교학점제는 마치 대학에서 학점을 이수하듯 고등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해 듣는 제도입니다. 현 고1부터 본격 적용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주요 대학들은 수험생 혼란을 줄이기 위해 ‘권장이수과목’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전공과 연관된 과목을 미리 듣도록 유도하는 셈입니다. Q. 경희대, 고려대, 중앙대가 새로운 권장이수과목을 공개하거나 수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어떤 경향이 있을까요? A. 경희대가 얼마 전 2028학년도 전공 연계 권장이수과목 수정안을 공개했습니다. 고려대와 중앙대도 비슷한 시기에 새로운 내용을 내놨죠. 공통으로 확인되는 흐름은 심화수학과 과학 ...
기사 본문
[주장] 갈림길에 선 한국 교육 2025년,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학점제가 전면 시행됐다. 학생이 대학생처럼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해 졸업하는 방식이다. 교육부는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이라며 10년 가까이 준비한 정책의 결실이라 자평했다. 그런데 학교 현장은 뜨거운 논쟁의 한복판에 있다. 교육부는 "개선하며 추진"을 외치지만,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교사노동조합연맹 등 교원단체들은 제도 폐지를 정면으로 요구하고 있다. 고교학점제의 출발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05개 연구·선도 학교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했고, 2022년 특성화고, 2023년 일반계고 고1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됐다. 진로와 흥미에 따라 학생이 직접 과목을 선택하고, 수능 중심의 획일적 교육에서 벗어나겠다는 것이다. 3년이 지난 지금, 학교는 혼란 속에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대입제도와의 불일치다. 학생은 자유롭게 과목을 선택하라는데, 정작 대학 입시는 여전히 수능 점수와 내신 등급으로 당락이 결정된다. ...
기사 본문
진선미 의원, 서울시교육청 제출 자료 공개 올 1학기 1009명…고교학점제 전엔 121명 학점제 시행 후 5등급제에선 10%까지 1등급 "10배 늘었다는 건 상위권 변별력 없다는 것" 상위권 쏟아질 듯…"변별력 확보 방안 시급" [서울=뉴시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전 과목 1등급을 받은 학생은 총 1009명이다. 2025.07.17. *재판매 및 DB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고교학점제가 첫 시행된 올해 1학기 서울에서 전 과목 1등급을 받은 학생 수가 1000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업계에서는 최상위권 학생수 급증으로 내신의 변별력이 약화돼 대학 입학 과정에서 큰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전 과목 1등급을 받은 학생은 총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