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m 뚫는데 5년…대구 3차순환도로 미군기지 구간 11월20일 개통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대구 3차순환도로 중 미 캠프워커 부지였던 동쪽 700m 구간 도로가 착공 5년 만에 개통된다.(대구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스1) 이재춘 기자 = 대구 3차순환도로 동쪽 구간이 착공 5년 만에 개통된다. 19일 대구시에 따르면 3차순환도로 중 동쪽 구간 캠프워커~비상활주로 도로 건설을 완료하고 오는 11월20일쯤 개통한다. 길이 700m, 폭 40m, 왕복 8차로인 이 구간은 미군이 비상활주로로 사용하던 부지다. 3차순환도로는 총연장 25.2㎞ 중 미 캠프워커 부지인 동·서쪽 1300m 구간 등이 개설되지 못한 상태다. 이 구간은 2002년 부지 반환 결정 이후 미군 시설물 이전과 토양 정화작업 등 군사지역 특수성 때문에 설계와 협의가 장기간 지연되다 2020년 간신히 착공됐다. 이 도로가 개통되면 도심 순환교통망이 강화되고, 중앙대로·신천대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의 접근성이 크게 높아진다. 특히 캠프워커 주변 봉덕로·이천로·중앙대로22길의 하루 교통량 중 평균 42...
기사 본문
다음달 20일 비상활주로 부지에 8차로 도서관 개관, 교통분산 개통 효과 극대화 다음달 20일 개통되는 대구 3차순환도로 동편구간 위치도. 대구시 제공 미군부대로 단절된 대구 3차순환도로 동편구간 공사가 마무리돼 다음달 20일 개통된다. 다음달 5일에는 이 일대에 대구도서관도 문을 열면서 도로 개통 효과가 극대화된다. 19일 대구시에 따르면 캠프워커에서 옛 미군 비상활주로를 지나 이천동 일대로 이어지는 총연장 700m, 왕복 8차로 도로가 이날 개통한다. 이 구간은 2002년 미군부지 반환 지역으로 결정됐지만 미군 시설물 이전과 토양 정화, 설계 지연 등 이유로 2020년에야 착공했다. 3차순환도로는 도심 외곽을 잇는 대구 순환도로망으로 전체 25.2㎞ 중 1.3㎞(서편 600m, 동편 700m)가 미개통 상태였다. 이번 동편구간 개통으로 순환도로 단절 문제가 사실상 해소되면서 대구 도심의 교통 흐름이 한층 원활해질 전망이다. 대구시는 이번 개통으로 중앙대로, 신천대로 등 주요 ...
기사 본문
대구 3차순환도로 동쪽 개통구간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3차순환도로 동쪽구간(약 700m) 건설을 마치고 다음 달 20일 개통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개통되는 주한미군 캠프워커~비상활주로 구간(폭 40m·왕복 8차로)은 과거 미군측의 비상활주로로 사용되던 곳이다. 대구 도심 순환교통과 간선 기능을 담당하는 도로망인 3차순환도로에서 단절됐던 구간이다. 대구시는 3차순환로를 총연장 25.2㎞로 계획했지만, 캠프워커 부지로 가로막힌 1.3㎞(서쪽 600m·동쪽 700m) 구간을 개설하지 못했다. 이에 주민 통행 불편과 교통혼잡 문제가 계속돼 왔다. 대구시는 미개통 구간이 뚫리면서 도심 순환교통망의 완성도를 높이고, 중앙대로·신천대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의 접근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캠프워커 주변 봉덕로와 이천로 등의 하루 평균 교통량 중 약 42%(2만4000대)가 신규 도로로 분산되면서 교통 흐름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002년 해당 부지의 ...
기사 본문
봉덕로·이천로·중앙대로22길, 일 교통량 평균 42% 분산 대구광역시는 주민 숙원사업이자 지역 교통망 구축의 핵심과제였던 3차순환도로 동편구간(캠프워커~비상활주로) 도로 건설을 완료하고, 11월 20일경 전면 개통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통되는 동편 700m 구간(폭 40m, 왕복 8차로)은 과거 미군 비상활주로로 사용되던 부지로, 3차순환도로 내에서 사실상 단절됐던 구간이다. 2002년 부지 반환 결정 이후 미군 시설물 이전과 토양 정화 작업 등 군사지역 특수성으로 인해 설계 및 협의가 장기간 지연됐으나, 대구시는 수년간 노력 끝에 2020년부터 올해까지 총 73억 원을 투입해 사업을 마무리했다. 3차순환도로는 대구 도심 순환교통과 간선 기능을 담당하는 도로망으로, 총연장 25.2km 계획 중 캠프워커 부지로 인해 1300m(서편 600m, 동편 700m) 구간이 미개설돼 통행 불편과 교통혼잡 문제가 지속됐다. 이번 동편구간 개통으로 단절된 구간이 연결되면서 도심 순환교통망이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