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독감 환자 200만 명…“고위험군 예방접종 서둘러야”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지난해 독감으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사람이 2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를 보면, 진료비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 36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23년 297만 4천 명보다는 줄었지만, 2020년(133만 4천 명), 2021년(1만 4천 명), 2022년(12만 8천 명)에 비해 크게 늘어난 규모입니다. 독감은 보통 11~4월에 유행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방역 수칙이 강화됐던 시기에는 독감이 유행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다시 독감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2023년에는 이례적으로 독감이 연중 유행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지난해부터 다시 계절성을 회복하고 있지만 올해도 때이른 독감 유행으로 상당한 규모의 환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12월 독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는데, 올해는 두 달 빠른 지난 17일 유행주의보를 내렸습니다. 질병청은 “고위험군은 ...
기사 본문
2021년엔 1.5만명 불과…지난해 독감 총진료비 1천803억원 올해도 유행주의보 발령…"고위험군 예방접종 받아야" 독감 예방접종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지난해 인플루엔자(독감)로 병의원 등에서 진료받은 사람이 200만명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진료비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369명이었다. 이는 2023년(297만4천724명)보다는 적지만 2022년(12만8천78명), 2021년(1만4천754명), 2020년(133만4천474명)보다는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독감은 통상 11월에서 4월 사이 유행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방역 수칙이 강화됐던 2020∼2021절기, 2021∼2022절기에는 독감이 유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 들어 독감이 다시 유행하면서 예년보다 이른 9월에 유행주의보가 내려졌고, 2023년에는 이례적으로 독감...
기사 본문
어린이가 독감주사를 맞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지난해 병의원 등에서 인플루엔자(독감)로 진료받은 사람이 23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수는 2023년에 비해선 적지만, 2020년과 2021년, 2022년 대비 크게 늘어났다.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진료비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369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297만4724명)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다만 2022년(12만8078명), 2021년(1만4754명), 2020년(133만4474명)과 비교해선 급증했다. 독감은 일반적으로 11월에서 4월 새 유행한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방역 수칙이 강화됐던 2020∼2021절기, 2021∼2022절기에는 독감이 유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 들어 독감이 다시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에 예년보다 이른 9월에 독감 유행주의보가 내려졌다. 2023년에는 독감이 연중 유행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
기사 본문
지난해 인플루엔자(독감)로 병의원 등에서 진료받은 사람이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진료비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 369명이었습니다. 이는 2023년(297만 4천724명)보다는 적지만 2022년(12만 8천78명), 2021년(1만 4천754명), 2020년(133만 4천474명)보다는 크게 늘어난 수준입니다. 독감은 통상 11월에서 4월 사이 유행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방역 수칙이 강화됐던 2020∼2021절기, 2021∼2022절기에는 독감이 유행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 들어 독감이 다시 유행하면서 예년보다 이른 9월에 유행주의보가 내려졌고, 2023년에는 이례적으로 독감이 연중 유행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 때문에 2023년 9월에는 전년에 발령된 유행주의보가 해제되지 않은 채 2023∼2024절기 유행주의보가 새로 발령...
기사 본문
어린이·임신부·어르신 등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진행 중 7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인플루엔자(독감) 무료 접종이 시작된 15일 대구보훈병원에서 어르신들이 독감 무료 예방 접종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75세 이상은 이날부터, 70~74세는 20일, 65~69세는 22일부터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을 받을 수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코로나19 대유행은 가라앉았지만 독감의 유행은 숙지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해 인플루엔자(독감)로 병·의원 등에서 진료받은 사람이 200만명을 훌쩍 넘어선데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보다 두 달 빠르게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진료비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369명이었다. 이는 2023년(297만4천724명)보다는 적지만 2022년(12만8천78명), 2021년(1만4천754명), 2020년(133만4...
기사 본문
작년·재작년 독감 환자 200만명대 올해도 유행주의보 발령 지난해 인플루엔자(독감) 진료 환자가 200만명을 넘어서는 등 독감이 장기간 유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진료비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369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297만4천724명)보다는 적지만 2022년(12만8천78명), 2021년(1만4천754명), 2020년(133만4천474명)보다는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독감은 통상 11월에서 4월 사이 유행하는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방역 수칙이 강화됐던 2020∼2021절기, 2021∼2022절기에는 독감이 유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부터 재확산이 시작되면서 예년보다 빠른 9월에 유행주의보가 내려졌고, 2023년에는 이례적으로 독감이 연중 유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때문에 2023년 9월에는 전년에 발령된 유행주의보가 해제되지 않은 채 2023∼2024절기...
기사 본문
지난해 독감으로 병의원 등에서 진료받은 사람이 200만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진료비 심사연도 기준으로 지난해 독감 환자는 236만명이었습니다. 독감 환자는 2022년에는 12만8천명이었지만 2023년 297만명을 기록했고 지난해도 200만명이 넘었습니다. 2023년과 지난해 독감 환자가 200만명대로 치솟은 것은 2022년 하반기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오랫동안 독감 유행이 지속됐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에는 12월 20일 독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는데 올해는 이보다 약 두달 빠른 이달 17일 유행주의보를 내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기사 본문
▲독감 자료이미지 지난해 인플루엔자, 즉 독감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이 236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코로나19 시기에는 철저한 방역으로 잠잠했지만, 방심한 사이 독감은 빠르게 퍼졌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2021년 1만 5천 명에 불과했던 환자가 2022년부터 급격히 늘어나 2023년과 지난해에는 200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독감 유행은 예년보다 이르게 시작됐고, 지난해 7월까지 장기간 이어지며 지역사회에 큰 부담을 줬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도 10월 17일 유행주의보를 발령하며 "고위험군은 미리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어린이, 임신부, 만성질환자 등은 폐렴 등 합병증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마스크 착용 등 기본 방역 수칙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어린이와 노인, 임신부 등은 주소와 관계없이 가까운 보건소나 위탁 의료기관에서 무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