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대원이 작은 틈 찾아 진입"…울산화력 구조·수색 난항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무너진 구조물 사이 공간 수색…안전 문제로 크레인 투입 어려워 추가 붕괴 방지하고자 보일러 타워와 굴뚝을 와이어로 연결 예정 울산화력 붕괴 현장 야간작업 계속 (울산=연합뉴스) 장지현 기자 = 6일 오후 울산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야간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이 사고로 2명이 구조됐고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2025.11.6 jjang23@yna.co.kr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6일 울산시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매몰자 수색·구조 작업은 소방대원들이 무너진 구조물 사이 작은 공간을 비집고 조금씩 진입하는 방식으로 밤새 이뤄질 전망이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9시 30분께 사고 현장에서 진행한 브리핑을 통해 밤샘 수색 계획과 현장 안전 조치 계획 등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매몰 상태인 7명 중 구조물에 몸이 낀 채로 발견된 2명에 대한 구조 작업을 진행하는...
기사 본문
한국동서발전 보일러타워 철거 중 무너져 매몰된 작업자 모두 협력업체 소속으로 알려져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광역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는 사고가 났다. 출동한 소방 당국은 사고 현장에서 2명을 구조했으며, 아직 작업자 7명이 구조물 아래에 매몰된 상태로 알려졌다. 구조된 2명은 부상을 입었으나 생명에 지장이 없는 상태다. 매몰된 작업자는 모두 협력업체 소속으로 전해졌다. 소방청은 이날 오후 3시13분을 기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 부산·대구·경북·경남 소방본부 특수대응단과 중앙119구조본부 인력을 투입해 구조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장에는 구조견과 드론, 응급환자 이송용 대형 소방헬기, 야간 작업용 조명차 등도 배치했다.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는 전력 생산을 위한 터빈을 회전하는데 쓰이는 증기는 만드는 철제 구조물이다. 30년 가량 사용됐으며 지난달부터 철거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사고 현장 주변을 통제 중이...
기사 본문
발파 쉽도록 구조물 자르던 중 붕괴…당국, 매몰자 수색·구조작업 총력 李대통령 "사고 수습, 인명 구조에 장비·인력 등 가용 자원 총동원하라"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2명이 구조되고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은 사고 현장. 2025.11.6 [울산소방본부 제공] 6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철제 구조물이 붕괴되면서 9명이 매몰돼 2명은 현장에서 구조돼 병원으로 이송됐고, 나머지 매몰된 5명에 대해 소방당국이 구조작업을 펼치고 있다. 경찰과 울산 남부소방서의 사고 현장 1차 브리핑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분께 울산광역시 남구 용잠로(남화동)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내 30m 정도 간격을 두고 나란히 늘어서 있는 60m 높이 보일러 타워 4, 5, 6호기 중 가운데 있는 5호기가 무너졌다. 대형 철재 구조물이 굉음을 내며 주저앉으면서 당시 작업 중이던 9명가량이 매몰됐다는 ...
기사 본문
6일 오후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야간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1 소방청이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와 관련해 매몰자 밤샘 수색에 나선다. 6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소방청은 이날 김승룡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소방청장 직무대행) 주관으로 관계 부처 합동 상황 판단 회의를 열고 매몰자 수색과 구조 작업을 계속하기로 했다. 회의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이날 오후 울산시 남구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타워가 철거 작업 중 무너져 근로자 9명이 매몰됐다. 최초 매몰됐던 작업자 9명 가운데 2명은 구조됐다. 김 대행은 합동 회의 이후 자체 소방 상황 판단 회의를 개최하고, 소방지휘부와 함께 붕괴 건물 내부로 들어가 수색·구조 방안에 대해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사고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고, 소방청을 중심으...
기사 본문
동서발전 울산본부서 보일러 시설 무너져 2명 구조, 7명 매몰…매몰자 2명은 육안 확인 李대통령 “가용 장비-인력 총동원해 인명구조” 울산소방본부 제공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높이 60m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근로자가 매몰됐다. 총 9명이 철제 구조물 아래에 매몰됐다가 소방 당국이 2명을 구조했고, 추가로 2명을 발견해 구조 중이다. 나머지 매몰자 5명은 위치를 찾고 있다. 소방당국은 붕괴 뒤 건물의 60~70%가 땅에 내려 앉아 추가 붕괴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사고 수습, 특히 인명 구조에 장비·인력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라”며 “구조 인력의 2차 안전사고 방지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지시했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7분경 울산 남구 남화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5호기 보일러 타워가 붕괴했다. 발주공사를 맡은 한진중공업 관계자가 현장에서 신고했다. 현장에서 구조된 60대 남성 1명과 40대 남성 1명 등 2명은 중상을 입었으며 의...
기사 본문
울산화력발전소 처참한 현장 노후화로 10월부터 철거 작업 옆 타워까지 추가 붕괴 우려에 수색 난항… 구조 장기화 가능성 국가소방동원령… 헬기 등 투입 매몰 인부들 모두 협력사 소속 노동부 “강제수사로 원인 규명” 6일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면서 매몰된 작업자 7명에 대한 수색 및 구조 작업이 밤새 이뤄졌다. 이 보일러 타워는 철거 작업 중 붕괴했으며 대형 구조물이라 구조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폭격 당한듯… 6일 울산 남구 용잠동 울산화력발전소의 보일러 타워 붕괴 모습. (왼쪽부터) 보일러 타워 구조물이 하단부터 붕괴되며 앞으로 쓰러지고 있다. 소방당국은 이번 사고가 가동이 중단된 발전시설 철거에 앞서 설비가 용이하게 무너지도록 하기 위한 ‘취약화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고 밝혔다. 연합뉴스TV 캡처 이번 사고는 이날 오후 2시6분 발생했다. 울산화력본부 내 30m 정도 간격을 ...
기사 본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해체중 붕괴 2명 구조, 7명 매몰…매몰 2명은 위치 확인 인력 200여명 장비 62대 투입해 구조작업 인접 타워도 붕괴 위험…구조 더딘 상황 6일 오후 울산 남구 용잠로 울산화력발전소 내 구조물이 붕괴돼 있다. 이 사고로 근로자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갑자기 ‘쾅쾅’ 하는 굉음이 3~4초간 이어졌습니다. 하얀 먼지와 녹가루가 구름처럼 피어오르더라고요.” 6일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내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붕괴된 순간, 인근에서 낚시를 하던 한 목격자는 “20층은 되는 거대한 건물이 순식간에 주저앉았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또 다른 목격자는 “붕괴 충격으로 일부 잔해가 인근 해안도로까지 튀었다”고 말했다. 기자가 찾은 현장은 철골이 엿가락처럼 휘어지고 구조물이 내려앉아 마치 폭격을 맞은 듯했다. 경찰은 사고 현장을 전면 통제하고 있었고, 대형 크레인과 소방차, 구급차 등 구조 장비...
기사 본문
◆울산화력 보일러타워 붕괴 오후 10시 2명 구조, 2명 구조 중, 5명 실종 60m 높이 보일러타워 철거중 사고 소방당국, 국가소방동원령 발령해 李 "인명구조에 가용 자원 총동원" 전문가 "철거과정서 안전관리 부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 울산=장지승 기자 [서울경제] 6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은 폭이 수 m에 달하는 강철 철골이 맥없이 부러진 가운데 폭탄을 맞은 것처럼 처참한 모습이었다. 붕괴 구조물을 둘러싼 다른 구조물들이 멀쩡하게 버티고 선 탓에 아수라장이 된 구조물은 더욱 비극적으로 비쳐졌다. 무너진 철골 곳곳은 갈색으로 녹슬어 노후화 수준을 짐작하게 했다. 울산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화력발전소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해 작업자 다수가 매몰됐다. 최근 잇따라 전국 각지의 공사 현장에서 매몰 사고가 발생하면서 공사장 안전 관리에 심각한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울산남부경찰서와 울산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