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제2회 서울 동물보호의 날 기념행사' 참석

2025년 10월 1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개
수집 시간: 2025-10-19 07:32:2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0-18 12:48:39 oid: 003, aid: 0013542187
기사 본문

"반려동물 행복한 서울 만들 것"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반포한강공원 피크닉장에서 열린 '제2회 서울 동물보호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지난해 서울시는 동물의 생명 보호와 복지 증진에 대한 시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10월 4일을 서울 동물보호의 날로 지정했으며, 올해부터는 이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오 시장은 반려견과 가족이 한 팀이 되어 4㎞ 한강변을 함께 걷는 '반려견 동행런'의 출발을 선언하고, 동물보호 캠페인 부스로 이동해 동물보호단체를 격려했다. 그는 "세 집 중 한 집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을 만큼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살아가는 모습은 자연스러운 일상이 됐다"며 "반려동물이 행복한 도시, 동물을 향한 따뜻한 마음이 가득한 도시 서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25-10-19 07:01:01 oid: 001, aid: 0015686136
기사 본문

진종오 의원실 예산안 분석…올해 20억원에서 내년 9억원으로 줄어 댕댕이와의 산책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최근 반려동물과 동반여행이 느는 추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정부가 내년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사업 예산을 올해의 절반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이 확보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의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예산은 내년 9억원으로 올해 20억원의 절반을 밑돈다. 이 예산은 2023년 10억원에서 지난해 15억원, 올해 20억원으로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내년에 반토막으로 줄었다.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는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하면서 해당 지역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해 자유롭게 숙박, 체험, 쇼핑 등 관광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다. 2023년부터 매년 2개 도시씩 지정해 현재 울산과 태안, 순천, 포천, 경주, 익산 등 6곳이 이름을 올렸다. 현재 추가 공모 계획은 미정으로 내년도 관광공사 예산은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8 08:30:16 oid: 014, aid: 0005421005
기사 본문

[6] 5060세대들의 새로운 가족 '반려동물' 우리나라 세 집 중에 한 집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 그 중 40%는 506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는 개털이 날리고, 여행도 마음대로 못 가지만 중년의 한국인들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맞이하고 있다. 경제적 여유를 되찾은 그들은 자녀 혹은 배우자가 떠난 자리에 반려동물을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삶을 일으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은퇴자 X의 설계 오후 4시, 복이가 꼬리를 흔들며 산책을 재촉한다. “처음엔 귀찮았어요. 산책도, 밥 챙기는 것도요. 그런데 복이 없으면 지금은 못 살겠어요.” 이제 그녀의 하루엔 구조가 생겼다. 산책로에서 만나는 5~6명의 반려인과 인사하고, 일주일에 두 번은 카페에서 커피도 마신다. [파이낸셜뉴스] 남편을 떠나보내고, 자녀마저 독립한 뒤 이정숙씨(62)의 하루는 TV와 스마트폰으로 채워졌다. 말 한마디 없이 지나가는 날이 많았다. 그런 이씨의 일상에 변화가 찾아온 건 아이들이 억지로 키우게 한 골든리트...

전체 기사 읽기

비즈워치 2025-10-18 10:30:06 oid: 648, aid: 0000040816
기사 본문

동물 의료비 천차만별…보험료 부담도 커 펫보험 활성화 위한 표준수가제 등 도입해야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인' 1500만명 시대입니다. 반려동물과의 충분한 교감을 통해 반려인들은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데요. 더 이상 단순히 키우는 동물이 아닌 가족과 같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등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미 국내에선 반려동물을 위한 '펫보험'이 등장한지 꽤 오래입니다. 관련 상품을 출시한 보험사들도 여럿인데요.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여전히 가입률은 낮은 상태입니다. 펫보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활성화를 위한 요인은 무엇일까요. KB금융 경영연구소의 '2025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반려가구는 591만가구로 전체의 26.7%를 차지했습니다. 반려인으로 보면 1546만명, 총 인구의 29.9%입니다. 과거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용어가 바뀔 만큼 반려동물은 반려인에게 가족과 같은 존재입니다. 그런 만큼 반려동물의 건강과 행복에 관심이 클 수밖에 없...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