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국회·정부 향해 "65세 정년연장 연내 입법" 촉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65세 정년연장 연내 입법 촉구' 기자회견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5일 올해 안에 65세 정년 연장을 입법하라고 국회와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양대 노총은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65세 정년연장은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들은 "법정 정년과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의 제도적 불일치로 최대 5년의 무연금 기간이 발생해 고령자의 경제적 어려움과 노후 불안감이 큰 상황"이라며 "이를 해소하고자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상향과 연계한 65세 정년 연장을 공약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민주당은 65세 정년 연장 연내 입법을 목표로 국회 정년연장TF를 출범해 7개월...
기사 본문
李 국정과제… 與도 “올해 안 법제화” 기업부담 가중-청년고용 위축 난제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법정 정년연장 연내 입법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1.5/뉴스1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에 연내 65세 정년 연장 입법 통과를 요구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상한과 연계해 단계적 정년 연장의 연내 추진을 국정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양대 노총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내 65세 정년 연장 입법 통과를 촉구했다. 김동명 한노총 위원장과 양경수 민노총 위원장은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은퇴가 시작된 지금 현행 60세 정년이 유지되면 이들은 국민연금 수급 시기까지 소득 공백을 겪게 되고, 이후 노후 빈곤과 국가 복지 부담 증가, 소비 위축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년 연장 없이는 노...
기사 본문
與·경영계와 논의 중 강행 압박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양대 노총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5일 국회를 찾아 올해 안에 법적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처리하라고 공식 요구했다. 그동안 더불어민주당 정년연장특별위원회에 민주당과 민주노총, 한국노총,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참여해 이 문제를 논의해 왔는데, 더 이상 ‘합의’를 끌어내기 위해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관련 입법을 강행하라는 압박을 한 것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연계한 65세 정년 연장 법안의 2025년 국회 입법 통과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더불어민주당 정년 연장 특위에서 거론되는 유력한 안은 법적 정년을 단계적으로 1년씩 ...
기사 본문
양대 노총, 임금 삭감 없는 연장 요구 세대상생 임금피크제도 내부 논의 “경사노위 틀 넘어선 대화 시도 필요”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양대 노총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65세 정년연장을 공약했다”며 65세 정년연장 법안 처리를 촉구했다. 이병주 기자 양대 노총이 65세 정년연장 법안의 연내 입법을 촉구하면서 정부·여당의 노동개혁 속도는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여당과 노동계가 노란봉투법에 이어 정년연장까지 함께 밀어붙이며 경영계를 압박하는 모습이다. 경영계는 우려가 크다. 노동시장 경직성 문제와 세대 간 일자리 갈등 해결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고령자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는 상당한 사회적 공감대가 이뤄진 상황이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가 넘는 한국에서 60세가 되면 근로관계를 자동 종료하는 현행 제도는 적절치 않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