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정년 쟁취’ 나선 노동계… 기업 “인건비 폭증” 청년 “일자리 뺏나”

2025년 11월 0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8개
수집 시간: 2025-11-06 02:10: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문화일보 2025-11-05 11:52:20 oid: 021, aid: 0002747785
기사 본문

■ 양대노총, 정년연장 입법 촉구 삼성·공무원 노조도 회견 참여 “임금 깎이는 ‘계속고용’ 반대” 정년 늘리고 임금 유지도 요구 노사·세대끼리 갈등 본격점화 청년유니온은 “합의 더 필요” ‘대선 청구서’ 내민 양대노총 김동명(왼쪽 세 번째) 한국노총 위원장과 양경수(〃 두 번째) 민주노총 위원장이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정 정년 65세 연장 연내 법제화’를 촉구하고 있다. 곽성호 기자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65세 정년 연장 법안 연내 처리를 위해 정치권을 본격적으로 압박하고 나섰다. 양대 노총은 임금피크제 등 임금 조정 방안도 제시하지 않은 채 사회적 대화보다는 신속한 법안 처리를 주장하고 있다. ‘노란봉투법’에 이어 노동계가 이재명 정부에 내민 ‘두 번째 청구서’라는 말이 나오는 가운데, 청년층을 중심으로 노동계 내부에서도 다른 목소리가 나온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보편적이고 일률적인...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06 01:01:08 oid: 023, aid: 0003939246
기사 본문

與·경영계와 논의 중 강행 압박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양대 노총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5일 국회를 찾아 올해 안에 법적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처리하라고 공식 요구했다. 그동안 더불어민주당 정년연장특별위원회에 민주당과 민주노총, 한국노총,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참여해 이 문제를 논의해 왔는데, 더 이상 ‘합의’를 끌어내기 위해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관련 입법을 강행하라는 압박을 한 것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연계한 65세 정년 연장 법안의 2025년 국회 입법 통과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더불어민주당 정년 연장 특위에서 거론되는 유력한 안은 법적 정년을 단계적으로 1년씩 ...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5 20:59:09 oid: 009, aid: 0005585388
기사 본문

정부·민주당까지 겨냥하며 “애매한 태도 멈추고 결단을” 與, 연내 입법 위해 속도전 재계 “인건비 부담 확 늘고 청년일자리 더 줄어들 우려” 진보당 윤종오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양경수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65세 법정 정년연장입법 연내통과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 노동계가 ‘65세 정년 연장’을 촉구하며 노란봉투법에 이어 또다시 대선 청구서를 들이밀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연내 관련 입법을 마무리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노란봉투법 등에 이어 기업 활동을 옥죄는 법안이 또 만들어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양대 노총은 서울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65세 정년 연장은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며 “정년 연장 논의를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연내 법안을 마련해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5 15:55:39 oid: 001, aid: 0015726239
기사 본문

"청년층 진입장벽 높일 것…인건비 비중 큰 中企 타격 더 커" 부작용 줄일 대안 촉구…노동시장 경직성 개선 목소리도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정부여당이 정년 65세 연장의 입법을 서두르는 가운데 양대노총까지 이에 가세하면서 연내 입법 가능성이 커지자 재계는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와 기술패권 경쟁 격화 등으로 글로벌 경영 환경이 급격히 악화하는 가운데 충분한 논의나 보완책 없이 노동시장 재편이 이뤄질 경우 투자와 고용 위축 등 부작용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기업들은 정년 연장만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경직된 노동시장에 대한 근본적 수술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