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선두항·예단포항, 주민·관광객 함께하는 복합 해양공간 조성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인천 강화군 선두항 어촌신활력사업 계획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강화군 선두항과 중구 예단포항이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2026년 어촌신활력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개소당 국비 70억원, 지방비 30억원 총사업비 100억원을 확보해 2026년부터 2029년까지 어촌의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 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어촌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와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해양관광과 어촌체험 등 복합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선두항은 ‘어업안전 지키고 청정환경 가꾸는 어촌 경제의 중심 선두권역’을 비전으로 ▲어판장 노후시설 정비 ▲덕장 조성 ▲커뮤니티센터 조성 등을 계획하고 있다. 예단포항은 ‘도시와 어촌다움의 공존으로 삶과 쉼을 품은 예단포항’을 비전으로 ▲예단포 도어민 이음 스테이션 조성 ▲어구적치장 조성 ▲예단포항 경관 회복 등 사업을 추진한다. 박광근 시 해양항공국장은 “이번 어촌...
기사 본문
어촌공간을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재생·발전 국·도·군비 활용 대진항서 어촌경제 도약형 조성사업 ◇고성 대진항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계획도. 【고성】 고성군이 4년 연속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해양수산부의 대표 국정과제인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지역 어촌공간을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재생·발전시키는 사업이다. 사업은 어촌경제 도약형과 어촌 회복형 등 2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전국 34개소가 이번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에 공모 신청한 가운데 고성 지역에서는 대진항이 어촌경제 도약형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군은 국비 150억원, 도비 45억원, 군비 105억원으로 구성된 총 300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하게 됐다. 해당 예산을 활용해 대진항에서는 국가어항과 지방어항을 중심으로 재정사업과 민간투자를 연계해 지역경제 핵심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세부적으로는 수산물 가공·판매시설과 지역 미식 콘텐츠를 결합한 해양식품 브랜드 공간 조성, 어항과 ...
기사 본문
2029년까지 생활·시설 기반 확충…지속 가능한 어촌·어항 조성 울주 송정항, 새로운 어촌으로 변화 (울산=연합뉴스) 17일 울산 울주군이 서생면 대송리 송정항 일대에서 진행한 '송정항 어촌뉴딜300사업'을 4년여 만에 마무리하고 준공식을 열었다.2025.6.17 [울주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young@yna.co.kr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울산시는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에 울주군 신암항·나사항이 최종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존의 어촌뉴딜사업과 어촌신활력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낙후 어촌·어항의 생활·안전 기반을 개선하고 지역 어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촌 규모와 특성에 따라 어촌경제도약형과 어촌회복형으로 구분해 맞춤형으로 추진된다. 신암항·나사항은 어촌회복형에 선정돼 지역 주민 정주 여건 개선과 어촌 활력 회복에 초점을 맞춘다. 오는 2029년까지 4년간 최대 100억원(국비 70%, 지방비 30%...
기사 본문
어촌경제도약형 전국 4개 항 중 1곳 선정 해양심해수 스파·찜질복합센터, 체류형 관광 경북 울릉군은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2026년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에서 '울릉 저동항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전했다. 이번 공모는 9월 15일 해양수산부 가이드라인 공개, 10월 15일 사업신청서 제출을 거쳐 진행됐으며, 울릉군이 선정된 '어촌경제도약형'의 경우 전국 4개 어항 중 한 곳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해양수산부의 핵심 어촌 재생 정책으로, 낙후된 어촌의 생활·경제·안전 기반을 종합적으로 정비하는 공모사업이다. 새 정부 국정과제에 따라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2026년부터 기존 3개 유형(경제플랫폼형·생활플랫폼형·안전인프라형)을 2개 유형(어촌경제도약형·어촌회복형)으로 재편해 추진하고 있다. 특히 어촌경제도약형은 국가어항까지 신청이 가능하고, 민간투자 조건을 전제(민투유치규모에 따라 지원 차등화)로 한 신규 모델로 5년간 전국 20곳을 선정할 계획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