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훼손 주검 많이 발견”…일본에 가짜뉴스 유포 유튜버 수사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 ‘대보짱’이 지난달 22일 올린 영상에서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출처 유튜브 캡처 경찰이 일본 누리꾼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가짜뉴스를 퍼뜨린 한국인 유튜버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은 5일 “최근 일본 온라인을 중심으로 ‘훼손된 시신이 발견된다’는 허위조작정보를 퍼뜨린 유튜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며 “중대범죄로 인식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서 신속히 수사하도록 했으며,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법령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 수사를 받게 된 유튜버는 ‘한국어 선생님 대보짱’(대보짱, 구독자 96만명)으로 일본인을 상대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다. 대보짱은 지난달 22일 올린 “최근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한 중국인 범죄자들의 살인과 장기 매매 문제가 심각하다”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대보짱은 영상에서 “한국에서 하반신만 남아 있는 시신이 37건 발견되고...
기사 본문
96만 구독자 지닌 한국인 ‘대보짱’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정보를 다룬 대보짱 영상. /유튜브 경찰이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 대보짱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96만여 명의 구독자를 지닌 대보짱은 최근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정보를 퍼뜨려 논란을 사고 있다. 경찰청은 5일 “최근 일본 온라인을 중심으로 허위 조작 정보를 퍼뜨린 유튜버에 대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수사에 착수, 엄정하게 대응할 예정”이라며 “이 행위를 중대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관련 법령에 따라 조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유튜브 측에 협조를 요청해 대보짱의 국적과 거주지 등을 확인하고 전기통신기본법 위반 혐의 적용을 검토할 방침이다. 경찰은 대보짱의 행위가 국민 불안감을 조성하고 사회 혼란을 초래하며 국가 이미지를 훼손한다고 판단했다. 또 외국인의 한국 방문 및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국익 저해 행위로 보고 ...
기사 본문
'한국 훼손 시신 발견' 허위정보 유포 유튜버 [데보짱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경찰이 일본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조작 정보를 퍼뜨린 유튜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은 5일 언론 공지를 내고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해당 유튜버에 대해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도록 조처했다고 밝혔다.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유튜버는 96만 구독자를 보유한 '데보짱'으로 알려졌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로 알려진 데보짱은 지난달 22일 '최근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한 범죄자 중국인들의 살인과 장기 매매 문제가 심각하다'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올렸다. 그는 영상에서 '한국 내 하반신만 있는 시체가 37구 발견됐다. 비공개 수사 중인 사건만 150건이다'라는 내용의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를 주장했다. 경찰청은 "이 행위를 중대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며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관련 법...
기사 본문
'한국 훼손 시신 발견' 허위정보 유포 유튜버 [데보짱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경찰이 일본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조작 정보를 퍼뜨린 유튜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경찰청은 오늘(5일) 언론 공지를 내고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해당 유튜버에 대해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도록 조처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유튜버는 96만 구독자를 보유한 '데보짱'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로 알려진 데보짱은 지난달 22일 '최근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한 범죄자 중국인들의 살인과 장기 매매 문제가 심각하다'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올렸습니다. 그는 영상에서 '한국 내 하반신만 있는 시체가 37구 발견됐다. 비공개 수사 중인 사건만 150건이다'라는 내용의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를 주장했습니다. 경찰청은 "이 행위를 중대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며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관련 법령에 따라...
기사 본문
허위 조작 정보를 퍼뜨린 유튜버 ‘데보짱’. 사진 유튜브 캡처 경찰이 일본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는 허위 내용을 유포한 유튜버에 대해 본격 수사에 나섰다. 경찰청은 5일 언론 공지를 통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해당 유튜버에 대해 신속 수사에 착수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수사 대상은 구독자 96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 ‘데보짱’으로 전해졌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로 알려진 데보짱은 지난달 22일 ‘최근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한 범죄자 중국인들의 살인과 장기 매매 문제가 심각하다’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다. 해당 영상에서 데보짱은 ‘한국에서 하반신만 있는 시신 37구가 발견됐고, 비공개 수사 중인 사건만 150건’이라는 등의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를 주장했다. 경찰청은 이러한 행위에 대해 “중대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며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관련 법령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경찰은 이 유튜버의 국적 및...
기사 본문
‘한국 훼손 시신 발견’ 허위정보 유포 유튜버 데보짱. 유튜브 캡처 경찰이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조작 정보를 퍼뜨린 재일 유튜버 ‘데보짱’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은 5일 언론 공지를 내고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해당 유튜버에 대해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도록 조처했다고 밝혔다. 96만 구독자를 보유한 데보짱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지난달 22일 ‘최근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한 범죄자 중국인들의 살인과 장기 매매 문제가 심각하다’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는 “한국 내 하반신만 있는 시체가 37구 발견됐다. 비공개 수사 중인 사건만 150건이다”라는 확인되지 않는 허위 정보가 담겼다. 경찰청은 “이 행위를 중대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며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관련 법령에 따라 조처할 예정”이라고 했다. 경찰은 이 유튜버의 국적 및 소재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며 전기통신기본법 위반 혐의 적용 등을 검...
기사 본문
경찰이 최근 일본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조작 정보를 말한 유튜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경찰청은 오늘(5일) 일본에서 활동하며 ‘한국에서 하반신만 있는 시체가 37건 발견됐고, 비공개 수사 중인 사건만 150건이다’는 내용을 주장하는 유튜버 A 씨를 수사하고 있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허위 조작 정보 유포 행위가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사회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가 이미지를 심각하게 훼손한다”며 “외국인의 한국 방문과 투자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국익 저해 행위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이에 따라 해당 유튜버에 대한 신속한 수사에 착수했으며,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전기통신기본법 47조 2항을 적용해 처벌을 검토 중입니다. 관련법에 따르면 타인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전기통신설비에 의해 공연히 허위의 통신을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
기사 본문
사진=한경DB 경찰이 일본에서 활동하며 "한국에서 훼손된 시신이 많이 발견된다"는 허위 조작 정보를 퍼뜨린 유튜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청은 5일 언론 공지를 통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해당 유튜버에 대해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하도록 조처했다"고 밝혔다.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유튜버는 96만 구독자를 보유한 '데보짱'으로 알려졌다. 데보짱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유튜버로 알려졌고, 지난달 22일 '최근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한 범죄자 중국인들의 살인과 장기 매매 문제가 심각하다'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올렸다. 그는 영상에서 '한국 내 하반신만 있는 시체가 37구 발견됐다. 비공개 수사 중인 사건만 150건이다'라면서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를 주장했다. 경찰청은 이 같은 행위를 중대 범죄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관련 법령에 따라 조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경찰은 이 유튜버의 국적 및 소재지 등을 가장 먼저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또 전기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