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정년' 압박하는 노동계…연말까지 법안 통과 촉구

2025년 11월 0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5개
수집 시간: 2025-11-06 00:10:4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MBN 2025-11-05 20:00:07 oid: 057, aid: 0001917204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양대 노총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올해 안에 국회가 처리해야 한다고 공식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사회적 합의를 볼모로 시간을 지체하지 말라고도 요구했는데, 청년 고용 등 부작용은 충분히 살핀 걸까요? 신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현행법상 만 60세인 법정 정년을 65세로 올리는 법안을 연내에 처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2033년부터 국민연금 수령 연령이 65세로 올라가면서 최대 5년 동안 연금을 받지 못하는 공백을 메워야 한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김동명 / 한국노총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은 대선에서 국민들에게 약속한 바를 이행해야 합니다.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책임 있는 정당으로서 구체적인 입법안을 제출하고 연내에 입법을 반드시 완수해야 합니다." 민주당이 국회 정년연장 TF를 통해 7개월 동안 사회적 논의를 이어왔고, 미온적 태도라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정년 연장안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여당에서도 연내 입법을...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5 15:55:39 oid: 001, aid: 0015726239
기사 본문

"청년층 진입장벽 높일 것…인건비 비중 큰 中企 타격 더 커" 부작용 줄일 대안 촉구…노동시장 경직성 개선 목소리도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정부여당이 정년 65세 연장의 입법을 서두르는 가운데 양대노총까지 이에 가세하면서 연내 입법 가능성이 커지자 재계는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와 기술패권 경쟁 격화 등으로 글로벌 경영 환경이 급격히 악화하는 가운데 충분한 논의나 보완책 없이 노동시장 재편이 이뤄질 경우 투자와 고용 위축 등 부작용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기업들은 정년 연장만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경직된 노동시장에 대한 근본적 수술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5 20:59:09 oid: 009, aid: 0005585388
기사 본문

정부·민주당까지 겨냥하며 “애매한 태도 멈추고 결단을” 與, 연내 입법 위해 속도전 재계 “인건비 부담 확 늘고 청년일자리 더 줄어들 우려” 진보당 윤종오 의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동명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양경수 위원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65세 법정 정년연장입법 연내통과 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재훈 기자] 노동계가 ‘65세 정년 연장’을 촉구하며 노란봉투법에 이어 또다시 대선 청구서를 들이밀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연내 관련 입법을 마무리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노란봉투법 등에 이어 기업 활동을 옥죄는 법안이 또 만들어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등 양대 노총은 서울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65세 정년 연장은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며 “정년 연장 논의를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연내 법안을 마련해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전체 기사 읽기

YTN 2025-11-05 22:39:55 oid: 052, aid: 0002269188
기사 본문

[앵커] 노동계가 현재 만60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연내에 입법하라고 정부와 정치권에 촉구했습니다. 경영계 반대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 역시 연내 처리 방침을 공고히 해 급물살을 탈지 주목됩니다. 권민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국회를 찾아 공동 기자회견에 나섰습니다. 양대노총은 초고령사회에서 정년 연장 없이는 노년층 빈곤을 해결할 수 없다며, 65세로 정년을 늘릴 것을 요구했습니다. 22대 총선 공약으로 더불어민주당이 65세 정년 연장의 올해 안 입법을 내걸었던 점을 상기하며, 더는 지체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동 명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지금 대비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비용을 치러야 합니다. 이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구체적인 입법안을 제시해야 할 때입니다.] 또, 지난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사회적 대화를 비롯해 관련 논의가 충분히 숙성됐다면서, 완고한 경영계와 대타협을 바라긴 어려워 결단이 필요하다고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