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정년연장, 사회적 대화로는 한계…국회가 65세 정년 입법해야"

2025년 11월 0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2개
수집 시간: 2025-11-05 17:03:2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프레시안 2025-11-05 13:50:16 oid: 002, aid: 0002413064
기사 본문

민주당 정년특위도 '단계적 65세 정년연장 법안' 연내 마련 방침 양대노총이 국회에 연내 65세 정년 연장 입법을 촉구했다. 저출생 고령화로 정년 연장이 사회적 의제로 떠오른 가운데,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 사회적 대화를 통한 방안 찾기가 노사 의견 대립으로 공전하자 국회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입법의 키를 쥔 더불어민주당도 정년연장특별위원회 회의를 열고 단계적 정년 연장 입법을 공언한 바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규모 은퇴가 시작된 지금, 현행 60세 정년이 이대로 유지된다면 이들은 국민연금 수급 시기까지 소득 공백을 겪게 되고, 이는 노후 빈곤과 국가 복지 부담 증가, 소비 위축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졍년 연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고 주장했다. 양대노총은 재계가 주장하는 '퇴직 후 재고용' 안에 대해서는 "사업주의 재량하에 뽑고 싶은 사람만 계약직으로 뽑아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5 15:55:39 oid: 001, aid: 0015726239
기사 본문

"청년층 진입장벽 높일 것…인건비 비중 큰 中企 타격 더 커" 부작용 줄일 대안 촉구…노동시장 경직성 개선 목소리도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정부여당이 정년 65세 연장의 입법을 서두르는 가운데 양대노총까지 이에 가세하면서 연내 입법 가능성이 커지자 재계는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와 기술패권 경쟁 격화 등으로 글로벌 경영 환경이 급격히 악화하는 가운데 충분한 논의나 보완책 없이 노동시장 재편이 이뤄질 경우 투자와 고용 위축 등 부작용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기업들은 정년 연장만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경직된 노동시장에 대한 근본적 수술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1-05 16:03:14 oid: 082, aid: 0001352261
기사 본문

정년연장 약속한 정부·민주당 압박 경영계와 협의 과정에서 진통 예상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등 노동계가 올해 안에 법정 정년을 65세까지 연장하는 법안을 처리하라고 국회와 정부에 촉구했다. 경영계는 불가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서 실제 입법까지는 상당한 난항이 예상된다。 양대 노총은 5일 오전 서울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연계한 65세 정년연장 법안의 2025년 국회 입법 통과를 강력히 촉구한다”며 “ 65세 정년연장은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고 밝혔다. 이들은 법정 정년연장을 약속한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을 압박했다. 법정 정년연장 법안을 하반기 정기국회 중점처리법안으로 반드시 통과시키라는 것이다. 양대 노총은 “노동자의 고용 안정과 소득 보장을 위한 보...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05 16:24:13 oid: 374, aid: 0000473056
기사 본문

"청년층 진입장벽 높일 것…인건비 비중 큰 中企 타격" [5일 국회에서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한국노총, 민주노총이 주최한 65세 법정 정년 연장 입법 연내 촉구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여당이 정년 65세 연장의 입법을 서두르는 가운데 양대노총까지 가세하면서 연내 입법 가능성이 커지자 재계는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발 관세와 기술패권 경쟁 격화 등으로 글로벌 경영 환경이 급격히 악화하는 가운데 충분한 논의나 보완책 없이 노동시장 재편이 이뤄지면 투자와 고용 위축 등 부작용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 잇따릅니다. 기업들은 정년 연장만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부작용을 줄일 대안을 찾고 경직된 노동시장을 근본적으로 수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양대노총은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여당에 대해 정년 65세 연장의 연내 입법을 촉구하면서 관련 논의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옵니다. 그러나 재계는 경직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