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년만에 열린 비밀의 숲...서울대 안양수목원 상시 개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관악산 자락 천혜의 자연환경 속 1158종 식물 보유 화~일요일 운영, 인화물질·음식물·돗자리·반려동물 금지 서울대 안양수목원 풍경. 안양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안양=장충식 기자】경기도 안양시는 지난 1967년 학술 목적으로 조성돼 대중에 개방되지 않았던 서울대 관악수목원이 '서울대 안양수목원'이라는 새 이름으로 58년 만에 시민에게 상시 개방된다고 5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와 서울대는 이날 오전 서울대 안양수목원에서 개방 기념식을 개최했다. 서울대 안양수목원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일원 관악산 자락의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약 1158종의 식물과 다양한 산림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양 기관의 협약을 통해 시민에게 공개되는 면적은 20만㎡다. 이번 상시 개방은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체험 및 교육, 시민 건강 증진,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적 책무를 실현하기 위해 안양시와 서울대가 뜻을 모은 결실이다. 시와 서울대는 국유재산 무상양여 및 수목원 개방을 위해 ...
기사 본문
서울대 안양수목원. [헤럴드DB]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서울대가 1967년 학술 연구 목적으로 조성했던 관악수목원이 ‘서울대 안양수목원’으로 이름을 바꿔 58년 만에 일반 시민에게 상시 개방된다. 서울대와 안양시는 5일 오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위치한 서울대 안양수목원에서 개방 기념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날 기념식에는 양 기관 관계자와 시민 등이 참석해 수목원 개방을 함께 축하했다. 관악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서울대 안양수목원은 총면적이 1550만㎡에 달하며, 1158종의 다양한 식물과 산림 생태계가 보존돼 있다. 서울대 법인은 교육부와 기획재정부로부터 국유지 90만㎡를 무상 양여받아, 전시원 구역(25만㎡) 가운데 연구·교육 공간(5만㎡)을 제외한 20만㎡를 안양시와 협약을 통해 개방했다. 운영 시간은 하절기(3~10월)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동절기(11~2월)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연다. 월요일과 설·추석 연휴 및 새해 ...
기사 본문
5일 오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서울대 안양수목원에서 열린 ‘서울대 안양수목원 전면개방 행사’에서 최대호 시장이 참석자들과 안양수목원을 둘러 보고 있다. 안양시 제공 서울대 관악수목원이 ‘서울대 안양수목원’이라는 새 이름으로 58년 만에 상시 개방됐다. 해당 시설은 1967년 학술 목적으로 조성된 뒤 그동안 시민들에게는 공개되지 않았다. 안양시와 서울대는 5일 오전 10시 수목원에서 개방 기념식을 열고 새출발을 알렸다. 개방 대상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관악산 자락의 수목원 일부다. 양 기관 협약에 따라 공개되는 면적은 약 20만㎡다. 수목원은 1천158종의 식물과 다양한 산림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어 시민들의 자연 체험과 교육 공간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5일 오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서울대 안양수목원에서 열린 ‘서울대 안양수목원 전면개방 행사’에서 최대호 시장, 박준모 시의회 의장, 강득구·민병덕 국회의원, 유홍림 서울대 총장 등이 두손을 마주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안양시...
기사 본문
관악산 자락 천혜의 자연환경 속 1158종 식물 보유…5일 10시 개방기념식 열려 화~일요일 운영…“인화물질・음식물・돗자리・반려동물 안 돼요” 5일부터 상시 개방된 서울대안양수목원 사진=안양시 제공 지난 1967년 학술 목적으로 조성돼 대중에 개방되지 않았던 서울대 관악수목원이 ‘서울대 안양수목원’이라는 새 이름으로 58년 만에 시민에게 상시 개방됐다. 안양시와 서울대는 5일 오전 10시 서울대 안양수목원에서 개방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대호 안양시장, 박준모 안양시의회 의장, 강득구 국회의원, 민병덕 국회의원, 유홍림 서울대 총장, 강병철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임상준 안양수목원장 등과 시민들이 참석해 수목원의 새로운 출발을 함께 축하했다. 안양시에 따르면 서울대 안양수목원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일원 관악산 자락의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약 1158종의 식물과 다양한 산림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양 기관의 협약을 통해 시민에게 공개되는 면적은 2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