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티벌 시월’, 외국인 관광객 43만 명 몰렸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방문객 25%↑·소비지출 35%↑ 부산 관광산업 성장 견인 확인 부산 원도심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서울경제] 지난 9월 21일부터 10월 3일까지 부산 전역에서 진행된 ‘페스티벌 시월’이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소비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며 지역관광산업 성장의 발판이 됐다. 5일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행사 기간 부산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은 약 43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늘었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8%)의 세 배 수준이다. 주요 방문국은 대만(19.1%), 일본(13.5%), 중국(12.3%) 순으로, 특히 일본인 관광객이 늘면서 콘텐츠 중심 여행 트렌드가 부산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됐다. 외국인 관광소비 지출액도 327억 원으로 전년 대비 34.6% 늘어나 전국 평균의 2.5배 수준을 기록했다. 내국인 관광소비 지출액 역시 3018억 원으로 8.1% 증가해 증가액 기준 전국 2위에 올랐다. 관광 트렌드 변화도 나타났다. 7박 이상 장...
기사 본문
외국인 43만명·소비 328억, 경제 효과 자전거·레저산업 연계, 기업도 관심 산업형 축제로 지역경제 새 모델 세워 ‘페스티벌 시월’ 기간 열린 수제 맥주 마스터스 챌린지 모습. 부산시 제공 ‘페스티벌 시월’은 단순한 가을 축제가 아니었다. 열흘 동안 외국인 관광객 43만 명이 부산을 찾았고, 관광소비는 3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늘었다. 내국인 소비도 8% 증가해 전국 평균의 두 배를 기록했다. 부산은 이번 행사를 통해 문화와 산업이 함께 움직이는 도시의 새 모델을 제시했으며, 축제가 산업이 되는 실험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5일 부산시가 한국관광데이터랩과 카드사 소비 통계를 분석한 결과 ‘페스티벌 시월’(9월 21일~10월 3일) 기간 외국인 방문객은 전년보다 25% 늘어난 43만5637명으로, 전국 평균(8%)의 세 배를 웃돌았다. 관광소비지출은 243억원에서 328억원으로 34.6% 증가했다. 서울을 제외하면 전국 1위 규모다. 숙박·외식·쇼핑에 의료·문화 소비까...
기사 본문
‘페스티벌 시월’이 만든 열흘의 도시 축제 영화·재즈·드론쇼… 가을밤, 부산이 무대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완성한 ‘가을 도시’ 2025 페스티벌 시월 키비주얼 일부./부산시 제공 9월의 부산은 축제의 열기로 물들었다. 9월 21일부터 지난달 3일까지 열린 ‘페스티벌 시월’은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도심 곳곳의 축제와 행사를 하나로 엮은 ‘가을 도시축제’로 완성됐다. 영화와 음악, 디자인, 미술, 스타트업 박람회가 동시에 열리며 시민과 관광객 93만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도시 전체가 무대가 된 열흘이었다. 5일 부산시에 따르면 해운대와 영화의전당 일대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가 흥행몰이를 이어갔다. 관람객은 23만8000여명으로 전년보다 9만3000명 넘게 늘었다. 영화제와 동시에 열린 ‘부산국제공연예술마켓’(6만1130명), ‘부산국제록페스티벌’(7만명), ‘부산국제음식박람회’(4만476명), ‘아시아 창업 엑스포 FLY ASIA 2025’(2만명), ‘부산수제맥주마스터즈챌린지’(...
기사 본문
흩어진 가을 축제 한데 묶어 도시경제에 새바람 통합 브랜드 전략으로 관광·소비·체류 모두 상승 열흘 축제가 만든 부산형 도시관광 전환점 밤바다 위를 수놓은 드론의 불빛이 부산의 밤 하늘을 물들이고 있다. ‘페스티벌 시월’의 대표 프로그램 ‘월드드론페스티벌’은 기술과 예술이 만난 부산의 새로운 가을 풍경을 보여줬다. /부산시 제공 지난 9월 열린 ‘페스티벌 시월’이 부산 관광 지도를 새로 썼다. 불과 열흘 남짓한 기간 동안 외국인 방문객이 전년보다 25% 늘고 관광 소비 지출액은 34.6% 급증했다. 전국 평균의 2~3배에 달하는 성장세다. 영화제·공연·전시·포럼 등 흩어져 있던 가을 행사를 하나로 묶은 통합 브랜드 전략이 시너지를 내며, ‘페스티벌 시월’이 도시경제를 움직이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5일 부산시에 따르면 올해 ‘페스티벌 시월’ 기간(9월 21~30일) 외국인 관광객은 43만5637명으로, 전년 동기(34만7534명)보다 8만8103명 늘었다. 국내 전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