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OST "열대 해면에서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 물질 추출"

2025년 11월 0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개
수집 시간: 2025-11-05 14:12:5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 2025-11-05 10:54:04 oid: 001, aid: 0015725187
기사 본문

동아대와 공동연구…손상된 신장 기능 회복, 수명 연장 효과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KIOST 제공]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동아대 연구팀이 열대 해양생물을 이용한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KIOST와 동아대 의대 윤진호 교수팀은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주변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열대 해면에서 신장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미토파지(mitophagy) 촉진 물질을 추출했다고 5일 밝혔다. 미토파지란 손상됐거나 불필요한 미토콘트리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전으로, 최근 당뇨병 등 다양한 질병의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열대 해면에서 추출한 브롬화페놀계열 해양천연물(PDE701)이 당뇨병성 신장질환 모델의 미토파지 활성을 회복시켜 손상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복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열대 해면과 추출한 해양천연물 분자구조 [KIOST 제공] 이를 통해 당뇨병으로 손상된 신장...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5 11:11:08 oid: 119, aid: 0003021246
기사 본문

윤진호 동아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 PDE701 분리에 사용된 해면과 화학구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데일리안 = 장정욱 기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 이희승, 이하 KIOST)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윤진호 교수 연구팀과 초파리 모델을 활용한 신장질환 연구를 통해 ‘당뇨병성 신장질환’의 발생에 미토파지(mitophagy) 활성 저하가 중요한 원인임을 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해양 생물에서 발굴한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 물질을 사용해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관련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실험 및 분자의학)’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이희승, 이지훈, 이연주 박사 등 KIOST 연구진은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 물질의 발굴을 위해 열대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KIOST 해외연구거점인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주변 해역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을 확보·분석했다. KIOST 연구진은 열대해면에서 브롬화페놀계열 해양천연물...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5 13:06:21 oid: 421, aid: 0008586583
기사 본문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 물질 PDE701 확보·분석에 기여 PDE701 분리에 사용된 해면과 화학구조(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서울=뉴스1) 백승철 기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원장 이희승)은 해양 생물에서 발굴한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 물질을 사용해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윤진호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진행했으며 초파리 모델을 활용한 신장질환 연구를 통해 '당뇨병성 신장질환'의 발생에 미토파지(mitophagy) 활성의 저하가 중요한 원인이라는 것도 규명했다. 이희승, 이지훈, 이연주 박사 등 KIOST 연구진은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 물질의 발굴을 위해 열대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주변 해역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을 확보·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열대해면에서 브롬화페놀계열 해양천연물(3,5-디브로모-2-(2‘,4’-디브로모페녹시)-페놀 (PDE701))이 발굴됐으며, 생리활성...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5 11:04:44 oid: 421, aid: 0008586210
기사 본문

동아대와 공동연구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KIO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스1) 홍윤 기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윤진호 동아대 의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해양 생물에서 추출한 미토파지 촉진 물질이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KIOST에 따르면 이희승·이지훈·이연주 박사 등 KIOST 연구진은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 물질 발굴을 위해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주변 해역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을 확보·분석했고, 이를 통해 열대 해면에서 발굴한 해양천연물을 생리활성 평가를 위해 윤 교수팀에 제공했다. 미토파지는 손상됐거나 불필요한 미토콘드리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다. 최근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다양한 질병 발생과 밀접히 연관돼 있음이 밝혀져 이 분야가 해당 분야가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게 KIOST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윤 교수팀은 자체 개발한 초파리 미토파지 모델을 분석해 신장...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