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 선두항·중구 예단포항 …2026년 어촌 신활력 사업 선정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2026년부터 2029년까지 어촌 정주여건 개선 등 다양한 사업 추진 2026년 어촌신활력 공모사업에 선정된 인천 중구 예단포항 예비계획 ⓒ 인천시 제공 [데일리안 = 장현일 기자] 인천시는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2026년 어촌신활력 사업 공모에 강화군 선두항과 중구 예단포항이 최종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시는 개소당 국비 70억 원, 지방비 30억 원 총사업비 100억 원을 확보해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년에 걸쳐 어촌의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어촌신활력 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어촌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와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해양관광과 어촌체험 등 복합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살고 싶고, 찾고 싶은 어촌’ 실현을 목표로, 해양도시 인천의 균형발전과 해양관광 거점 조성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번 공모에서 강화군 선두항은 ‘어업안전 지키고 청정환경 가꾸는 어촌 경...
기사 본문
모항·도청항 중심 정주 여건 개선, 어업 기반 확충 어촌회복형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종합계획도(사진=부안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안=뉴시스]고석중 기자 = 전북자치도 부안군이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어촌회복형)' 공모에 선정되며 침체된 어촌 재생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5일 군에 따르면 이 사업은 고령화와 어업환경 변화로 활력을 잃은 어촌의 회복을 지원하는 정부 핵심사업으로, 생활 인프라 고도화와 지역경제 지속가능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번 선정으로 총사업비 82억원을 확보했으며,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개년에 걸쳐 모항과 도청항 일원을 중심으로 ▲정주여건 개선 ▲생활SOC 구축 ▲안전방재 인프라 확충 ▲어업기반시설 보강 등 종합적인 어촌 회복사업을 추진한다. 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모항·도청항 어촌마을의 정주환경과 생업 기반을 동시에 개선하고, 공동이용시설 확충 및 진입로·호안 정비 등 안전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이...
기사 본문
핵심요약 대진항 일원, 어촌경제 도약형 사업으로 300억 원 확보 강원 고성군청 전경. 고성군 제공 강원 고성군이 '어촌신활력증진사업'에 4년 연속 선정됐다. 5일 고성군에 따르면 해양수산부가 지난 9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진행한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대상지 공모에 전국 34개소가 신청했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해양수산부의 대표 국정과제로 2026년부터 5년간 총 3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활력 넘치는 어촌공간으로 재생·발전시키는 사업이다. 사업은 어촌경제 도약형(개소당 400억 원 이내), ▲어촌 회복형(개소당 100억 원 이내) 등 2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이번 공모 결과 고성군 대진항이 어촌경제 도약형 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 이에 고성군은 지난 2023년 공현진항이 선정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오호항, 올해 봉포항에 이어 4년 연속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이에 따라 군은 총 300억 원(국비 150억 ...
기사 본문
해양관광과 어촌체험 등 복합적 기능 강화 2026년~2029년 어촌 정주여건 개선 추진 인천시청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서울경제] 인천시가 해양수산부 주관 ‘2026년 어촌신활력 사업 공모’에서 강화군 선두항과 중구 예단포항이 최종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시는 개소당 국비 70억 원, 지방비 30억 원 총사업비 100억 원을 확보해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년에 걸쳐 어촌의 정주여건 개선과 같은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어촌신활력 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어촌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와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해양관광과 어촌체험 등 복합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공모에서 강화군 선두항은 ‘어업안전 지키고 청정환경 가꾸는 어촌 경제의 중심 선두권역’을 비전으로 △어판장 노후시설 정비 △덕장 조성 △커뮤니티센터 조성 등을 계획하고 있다. 중구 예단포항은 ‘도시와 어촌다움의 공존으로 삶과 쉼을 품은 예단포항’을 비전으로 △예단포 어민 이음...
기사 본문
인천시는 해양수산부가 주관한 '어촌 신활력 증진사업' 공모에 강화군 선두항과 중구 예단포항이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이들 어촌에 각각 100억 원(국비 70억 원, 지방비 30억 원)을 확보해 내년부터 2029년까지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강화군 선두항에서는 낡은 어판장 시설을 정비하고 덕장과 커뮤니티센터를 만들고, 중구 예단포항은 어구 적치장을 만들면서 경관 회복 사업을 할 예정입니다. 인천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살고 싶고, 찾고 싶은 어촌' 실현을 목표로, 해양관광 거점을 만들 방침입니다. 박광근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주민 참여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하고 활력 있는 어촌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천시 제공]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
기사 본문
국내산 바지락을 넣어 만든 컵라면 서해오면 / 사진=홍지연 여행+ 기자 서해 특산물 바지락이 담긴 컵라면 간편식이 출시됐다. 한국어촌어항공단은 29일 서울에서 프리미엄 컵라면 ‘서해오면’ 출시 간담회를 열고 어촌과 기업을 연결하는 ‘코 어촌(CO: 어촌)’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간담회장에서 나승진 한국어촌어항공단 어촌해양본부장은 “2045년 전국 어촌의 85%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며 “어촌은 공동체 붕괴의 위기에 놓여 있다”며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급격한 고령화, 인구 유출, 기후변화로 인한 자원 감소로 어촌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나승진 한국어촌어항공단 어촌해양본부장 / 사진=홍지연 여행+ 기자 나승진 본부장은 해법으로 ‘민관 협력형 어촌 상생 모델’ 코 어촌을 제시했다. 코 어촌 첫 사례로 소개한 것은 해양수산부와 한국어촌어항공단 그리고 미식 콘텐츠 기업 먹고놀랩이 공동 개발한 컵라면 ‘서해오면’이다. 서해오면은 ‘서해의 다섯 가지 맛...
기사 본문
사업비 82억원 확보…모항·도청항 중심 어촌 인프라 구축 등 추진 전북 부안군은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어촌회복형)에 전북자치도에서 유일하게 선정됐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군은 총사업비 82억원을 확보했으며 오는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개년에 걸쳐 모항과 도청항을 중심으로 정주여건 개선과 생활 SOC 구축, 안전방재 인프라 및 어업기반시설 확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이 추진될 모항 일대 [사진=부안군 ]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고령화, 어업환경 변화 등으로 침체된 어촌지역의 활력을 회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어촌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고도화해 주민 생활여건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모항과 도청항 일원 어촌마을 정주환경 개선, 공동이용시설 및 생활 SOC 확충, 호안 및 진입로 정비 등 안전방재 인프라 구축, 어항 및 어업기반시설 보강 등 어촌의 일상생활과 생업 기반을 함께 개선하는 종합...
기사 본문
내년부터 2029년까지 300억 투입 어항시설 정비 등 추진 어항 세력 전국 대비 4.7% 불구 국비 확보율은 10% 달성 홍성 속동지구 등 어촌신활력사업 계획도. 홍성=김창희 기자 충남도는 해양수산부 주관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 사업’ 공모에서 보령과 홍성, 태안 등 3개 시군이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어촌신활력증진 공모는 어촌 지역 경제·사회적 활력 회복과 거주 환경 개선, 신규 인구 유입 유도 등을 위해 매년 실시 중인 사업이다. 내년 사업 대상은 전국 30곳으로, 2029년까지 4년 동안 국비 2100억 원을 포함, 총 30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충남의 어항 세력은 전국의 4.7%에 불과하나, 이번 선정 지역 및 국비 확보액은 전국의 10%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공모 통과 3개 어촌은 △보령시 오천면 밤섬·술뚱권역(삽시도) △홍성군 서부면 속동·거차·수룡권역 △태안군 원북·이원면 청산·당산권역이다. 이들 3개 어촌 지역에 대해서는 각각 100억 원을 들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