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고기 섞었잖아, 2000원 더”…서울 광장시장 또 논란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광장시장 방문한 ‘구독자 148만’ 유튜버 “순대 바가지·상인 불친절…다신 안 가” [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은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을 방문한 유튜버가 바가지와 불친절을 경험한 후기를 전했다. 사진=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 캡처 지난 4일 구독자 148만 명을 보유한 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이 유튜버는 광장시장 노점 5곳 중 4곳에서 불친절을 경험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저의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불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시더라”고 지적했다. 다음에 순대를 먹으러 간 유튜버는 가격표 8000원이라 적혀있던 ‘큰 순대’를 시켰더니 상인이 1만원을 요구했다고 폭로했다. 고기를 추가했다는 게 그 이유였다. 유튜버가 “여기 8000원이라고 써 있는데 왜 1만원이냐”고 묻자 상...
기사 본문
서울 광장시장이 다시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사진=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 갈무리 서울 광장시장이 다시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구독자 149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지난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시 안 가게 될 것 같다'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유튜버 A씨는 "저는 시장을 사랑하는 사람임을 먼저 밝히겠다"면서 "머리털 나고 처음으로 광장시장에 가봤는데 다시는 안 가봐도 될 것 같다"고 혹평했다. A씨는 광장시장에 방문해 노점 5곳을 방문했다. 그런데 4곳에서 불친절과 '바가지' 가격을 경험했다고 한다. 먼저 그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저의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시더라"고 지적했다. 큰순대 '8000원'이라고 적힌 메뉴판/사진=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 갈무리 이후 분식을 파는 노점에 가서 8000원에 판매 중인 '큰순대'라는 메뉴를 주문했다. 그런데 돌연 상인은 순...
기사 본문
유튜버 방문 후기 올려... “다신 안 갈듯” 70만 조회수에 2000개 댓글 달려 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가 4일 영상을 올려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바가지 요금과 불친절 응대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유튜브 한 유튜버가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일부 상인에게 불친절한 응대를 겪었다고 밝혔다. 구독자 148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려 이같이 밝혔다. 평소 전통시장을 자주 다닌다고 밝힌 그는 “이날 (광장시장) 노점 5곳을 방문했는데 4곳이 불친절했다”며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제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었다. 근데 이걸 나만 봤다”고 했다. 이후 순대를 먹으러 간 유튜버는 가격 때문에 상인과 언쟁을 벌였다. 메뉴에는 ‘큰 순대’가 8000원이라고 적혀 있었는데 이 상인은 1만원을 달라고 요구했다는 것이...
기사 본문
광장시장을 채운 외국인들 [연합뉴스] 한국 인기 관광지로 외국인들의 방문율이 높은 서울 광장시장이 또 다시 바가지, 불친절 논란에 휩싸였다. 4일 유튜브에 따르면 구독자 148만명의 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영상을 올렸다. 그는 “이번에 광장 시장 가서 노점을 한 다섯 군데를 갔는데 네 군데에서 불친절을 경험하고 왔다”고 털어놨다. 해당 유튜버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저의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불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시더라”고 지적했다. 또 다음에는 순대를 먹으러 갔는데 가격표에는 ‘큰 순대’가 8000원이라고 적혀 있었지만 상인은 1만원을 요구했다고 토로했다. 유튜버가 “여기 8000원이라고 써 있는데 왜 1만원이냐”고 묻자 상인은 “고기랑 섞었잖아, 내가” 라고 답했다. 하지만 유튜버는 미리 물어본 적도 없고 섞어달라고 요구한 적도 없다고 전했...
기사 본문
외국인 등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서울 광장시장의 바가지요금과 불친절 논란이 또 다시 불거졌다. 4일 구독자 148만 명에 달하는 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숏츠 영상을 통해 "이번에 광장 시장 가서 노점 다섯 군데를 갔는데 네 군데에서 불친절을 경험하고 왔다"고 전했다. 먼저 이 유튜버는 칼국수 가게에서 목격한 위생 문제를 폭로했다. 그는 "제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불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시더라"고 지적했다. 그 다음에는 순대를 먹으러 갔는데, 가격표에는 '큰 순대'가 8,000원이라고 적혀 있었지만 상인이 1만 원을 요구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유튜버가 상인에게 "이거 왜 만 원이냐. 여기 8,000원이라고 써 있는데"라고 따져 묻자, 상인은 "고기랑 섞었잖아, 내가"라고 답했다. 이어 고기와 순대를 섞으면 2,000원이 추가된다고 부연했지...
기사 본문
구독자 148만 명 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가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업로드 / 사진=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 캡처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필수 방문 코스'로 꼽히는 서울 광장시장에서 또 다시 바가지요금과 불친절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어제(4일) 구독자 148만 명의 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습니다. 해당 유튜버는 "광장시장 노점 다섯 군데를 방문했는데, 네 군데에서 불친절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먼저 칼국수 가게의 위생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유튜버는 "바로 앞 손님의 면을 삶던 냄비에 김가루와 고명이 묻은 면을 그대로 섞는 모습을 봤다"며 "이걸 나만 본 것 같아 더 당황스러웠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순대 가게에서는 8천 원짜리 순대를 주문했으나, 계산할 때는 1만 원을 요구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유튜버가 이유를 묻자 상인은 "고기랑 섞었잖아, ...
기사 본문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 캡처 서울 대표 재래시장인 광장시장에서 또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한 유튜버는 광장시장에서 겪은 불친절과 바가지 경험을 공개했다.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그는 “시장을 굉장히 좋아하는데 광장시장은 이번에 처음 가봤다”며 “다시는 안 가 봐도 될 것 같다”고 운을 뗐다. 이어 “노점 5곳을 갔는데 4곳이 불친절했다”며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제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었다. 근데 이걸 나만 봤다”고 말했다.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 캡처 이 유튜버는 이후 분식 노점에서 가격 문제로 언쟁을 벌이기도 했다. 메뉴판에는 순대가 8000원으로 표시되어 있었지만 상인이 1만 원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유튜버가 이유를 묻자 상인은 “고기랑 섞었다”고 답...
기사 본문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바가지요금'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서울 광장시장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번엔 음식 재사용 의혹도 제기됐다.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를 운영하는 A 씨는 지난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시는 안 가게 될 것 같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A 씨는 "저는 시장을 사랑하는 사람임을 먼저 밝히겠다. 구독자들은 아실 것"이라면서 "머리털 나고 처음으로 광장시장에 가봤는데 다신 안 가봐도 될 것 같다"라고 운을 뗐다. 그는 최근 광장시장 내 노점 5곳을 방문했다가 4곳에서 '불친절'과 '바가지' 가격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저의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와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불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셨다. 나도 다 먹고 나서 봤다. 근데 나만 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분식을 파는 노점에서 8000원...
기사 본문
유튜브 '이상한 과자가게' 갈무리 [서울경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이 또다시 바가지 요금 논란에 휩싸였다. 2년 전 같은 문제로 ‘반성 결의대회’까지 열었지만, 상인 일부의 불친절과 부당 요금 요구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광장시장 상인회에 따르면 지난해 광장시장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중 일본인이 50%, 중국인이 20~30%를 차지했다. 과거 포목·한복 중심의 시장이 이제는 ‘K-푸드 체험 명소’로 자리 잡으면서 외국인 관광 코스로 급부상한 것이다. 하지만 관광객이 늘어난 만큼 불친절·바가지 논란도 반복되고 있다. 전날 구독자 148만명을 보유한 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그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저의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불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시더라”며 위생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순...
기사 본문
'이상한 과자가게', 광장시장 방문 후기 올려 "불친절·메뉴 바꿔치기·비위생 조리 빈번해" "시장 활성화? 이러면 누가 시장을 가겠나"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가 4일 올린 서울 광장시장 방문 후기 영상. 이 유튜버는 8,000원짜리 '큰 순대'(왼쪽 사진)를 주문했으나, 별도 요청하지도 않은 고기를 상인이 추가하며 1만 원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상한 과자가게 유튜브 캡처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은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바가지요금과 불친절 응대를 겪은 유명 유튜버의 영상이 화제다. 2023년 말 '바가지 논란'으로 홍역을 겪은 뒤 '카드 결제 허용' 등 자구책을 내놓았음에도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었다.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요리·먹방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이하 과자가게)는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광장시장을 방문해 음식을 사 먹은 후기였는데, 과자가게는 영상 시작...
기사 본문
광장시장, 또다시 상술 논란 149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유튜브를 통해 광장시장에서 겪은 ‘바가지 요금’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 캡처 외국인들이 많이 방문하는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이 또다시 ‘바가지 요금’ 논란 등에 휩싸였다. 2년 전 비슷한 문제로 ‘반성 대회’까지 열었으나, 여전히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149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광장시장에서 직접 겪은 서비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평소 전통시장을 애호한다고 밝힌 이 유튜버는 “처음으로 광장시장에 가봤는데 다시 안 가봐도 될 것 같다”며 “이번에 광장시장에 가서 노점 5곳을 방문했는데, 4곳이 불친절했다”고 밝혔다. 음식 재사용 목격…주문하지 않은 재료 추가 유튜버는 먼저 칼국숫집에서 ‘음식 재사용’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그는 “제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
기사 본문
광장시장 방문한 '148만' 유튜버 "5곳 중 4곳이 불친절…다신 안 가" 바가지·불친절 논란으로 '반성대회'까지 열며 자정 의지를 밝혔던 서울 광장시장이 또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앞서 서울시가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지만 달라진 게 없다 는 지적이 나온다. 구독자 148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는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평소 전통시장을 자주 다닌다고 밝힌 그는 "이날 (광장시장) 노점 5곳을 방문했는데 4곳이 불친절했다"며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제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 가루랑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었다"고 주장했다.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가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일부 상인에게 불친절한 응대를 겪었다고 토로했다. 유튜브 캡처 "고기 섞었으니 2000원 더?…외국인엔 갑자기 버럭하기도" 이후 순대를 먹으러 간 유튜버는 가격 때문에 상인과 언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