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보험료 2년만에 인상…세대당 월 평균 517원 증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재정 안정적이나 고령화로 수급자 증가” 병원동행서비스 등 어르신 신규사업도 실시 이스란 보건복지부 1차관 주재로 4일 2025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내년도 건강보험료 대비 장기요양보험료율이 13.14%로 인상된다. 정부는 2025년 보험료율을 전년과 같은 수준인 12.95%로 동결했으나 고령화로 인한 수급자 증가로 2년만에 인상을 결정했다. 보건복지부는 4일 2025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를 열고 내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을 소득의 0.9448%로, 건보료 대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13.14%로 결정했다. 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이거나 65세 미만이라도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으로 6개월 이상 스스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목욕, 간호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해당 비율을 곱해서 납부하게 된다. 내년 건강보험료가 1.48% 오르는 것을 고려하면 가입자 세대당 월 평균 보험료는 올해 1만7...
기사 본문
2026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 0.9448% 장기요양 중증 재가급여 월 한도 20만원↑ 중증가산 확대·신설 장기근속장려금 확대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아픈 노인을 국가가 돌보는 장기요양보험료율이 내년 전년 대비 2.90% 인상된다.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 요양 수요가 늘어난데다, 관련 종사자들의 처우개선을 위함이다. 수급자 110만명 훌쩍 4일 보건복지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를 개최하고 내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을 소득의 0.9448%(건강보험료의 13.14%)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래픽=복지부) 2020년 24.38% 인상된 것과 비교하면 낮지만, 올해 동결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인상폭이 소폭 늘었다. 내년에는 가입자 가구당 월 평균 보험료가 517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요양보험은 만 65세 이상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 질병(치매, 뇌혈관성 질환)을 겪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소득에 상관없이 6개월 이상 스스로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때 등급을 부여...
기사 본문
복지부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의결 "고령화로 지출확대 요인 커…인상 결정" 1·2등급 재가급여 한도 20만원 이상 인상 장기근속장려금 적용 대상 및 금액 확대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지난 2022년 10월 4일 오후 대구 동구 활짝요양원 야외 옥상에서 한 입소자와 아들이 손을 잡고 대면 면회를 하고 있다. 2022.10.04. lmy@newsis.com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내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이 0.9448%로 결정됐다. 세대당 월 평균 보험료는 1만8362원으로 올해 1만7845원보다 517원 인상된다. 보건복지부는 4일 2025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를 열고 2026년도 장기요양 수가 및 보험료율(안)과 제도개선 추진과제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이거나 65세 미만이라도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으로 6개월 이상 스스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목욕, 간호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다. 회의 결과 내년도 소득 대...
기사 본문
내년 보험료율 소득 대비 0.9448%로 결정…"고령화 속 급여비 지출 확대" 장기요양 재가급여 한도 최대 24만원 인상…종사자 장기근속 장려금 등 확대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이스란 보건복지부 1차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4 uwg806@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내년도 장기요양 보험료가 올해보다 세대당 월평균 517원 인상된다. 4일 보건복지부는 2025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를 열고 내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을 소득의 0.9448%로 결정했다. 2년 만의 인상으로, 올해 보험료율은 0.9182%로 동결된 바 있다. 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이거나 65세 미만이라도 치매·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으로 6개월 이상 스스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목욕, 간호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다. 건강보험 가입자라면 자동 가입돼 건강보험료의 일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