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홍보 부실… ‘열악한 환경’ 점자 문맹률 부채질 [집중취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올해 도내 점자정보단말기 761명 지원 신청자 중 21%만 제공… 2년전比 30%↓ 홍보 부족에 점자교육시설 수강생 ‘텅텅’ 道 “예산 증원 어려워… 교육 확대 모색” 점자의 날을 하루 앞둔 3일 오후 수원특례시 팔달구 경기도시각장애인연합회에서 시각장애인 오진숙씨가 점자 교육을 받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약 24만6천명의 전국 시각장애인 중 90% 이상이 점자 해독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점자 교육의 체계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김시범기자 집중취재 멈춘 손끝, 가로막힌 세상 읽기 경기도내 시각장애인 대다수가 점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부족한 점자정보단말기 보급과 교육 기관 확충, 홍보 등이 지목되고 있다. 점자 교육 장비가 수요를 한참 따라가지 못하는 데 더해, 점자 교육을 언제 어디서 하는지조차 시각장애인들에게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인데, 예산 확보와 제도 개선으로 재활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인다. 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사 본문
"다양한 점자 만들고 싶어져"… 점역·교정사 도전 외국어 점자 체계도 나라마다 달라 학습 까다로워 점역·교정사 일자리 부족…"취업 기관도 적어 고민" [서울=뉴시스] 김윤영 수습기자 = 11월 4일 점자의 날을 앞둔 10월 28일 오전 서울 실로암시각장애인 복지관에서 교육생들이 점역교정사 자격증 수업을 받고 있다. 2025.10.28 youn@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윤영 수습 기자 = "중도실명한 후로 점자를 하루 한 시간씩 1년 동안 읽었어요. 그러다보니 점점 읽히더라고요. 국어 점자 자격증은 작년 전반기에 땄고 어느덧 영어도 공부하고 있죠." 지난달 28일 오전 9시께 서울 관악구 실로암시각장애인 복지관에서 만난 주영실(51)씨는 점자 공부 과정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제99주년 한글 점자의 날(11월 4일)'을 일주일 앞둔 이날 주씨는 박진웅(25)씨와 함께 점자 도서가 책장에 빼곡히 꽂힌 채움 교실에 모였다. 김한 점자 교정사 직업훈련 ...
기사 본문
국립중앙도서관 기념식…점자 발전 유공자 시상 강남스퀘어·온라인서 한글 점자 관련 행사 진행 [서울=뉴시스] '제99돌 한글 점자의 날' 기념식 포스터.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5.11.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기용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가 4일 '한글 점자의 날'을 맞아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99돌 한글 점자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올해 기념식 주제는 '손끝으로 이어온 문자, 마음으로 만드는 세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통해 비시각장애인들과 더욱 편리하고 즐거운 삶을 누렸으면 하는 마음을 담았다. 기념식은 '한글 점자의 날' 경과 보고를 시작으로, 사람들의 인터뷰로 구성된 '한글 점자를 통한 세대 간의 연결' 주제 영상 상영, 한글 점자 발전 유공자 포상 등을 진행한다. 한글 점자 발전 유공자에게는 문체부 장관 표창을 비롯해 국립국어원장상,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장상, 한국시각장애...
기사 본문
4일 국립중앙도서관서 기념식 개최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함께 4일 오후 2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99돌 한글 점자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한글 점자의 날 행사 포스터.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올해 기념식의 주제는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통해 비시각장애인들과 더불어 더욱 편리하고 즐거운 삶을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손끝으로 이어온 문자, 마음으로 만드는 세상'으로 정했다. 기념식에서는 '한글 점자의 날' 경과보고, ▲사람들의 인터뷰로 '한글 점자를 통한 세대 간의 연결'을 담아낸 주제 영상 상영 ▲한글 점자 발전 유공자 포상 등을 진행한다. 한글 점자 발전 유공자에게는 문체부 장관 표창과 국립국어원장상,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장상, 한국시각장애인도서관협의회장상 등을 수여한다. 문체부 장관 표창은 ▲컵라면, 케첩, 마요네즈 등의 다양한 제품에 한글 점자를 표기해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세심하게 고려한 오뚜기 ▲중도 실명 시각장애인을 위해 새로운 한글 점자 교수학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