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내포∼세종 연결도로망 '청신호'...예타대상 선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691억원 투입해 9.9㎞ 건설 …충남도 “예타 통과 위해 행정력 집중” 충남 내포∼세종 연결도로 위치도 [파이낸셜뉴스 홍성=김원준 기자] 충남 예산군 대술면에서 공주시 정안면 인근까지 20분대로 이동할 수 있는 2차선 도로 신설 사업이 청신호를 켰다. 충남도는 지난달 31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내포신도시~정안 인터체인지(IC) 연결도로’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예산군 대술면 이티리 인근 지방도 618호선과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 지방도 604호선을 연결하는 2차로 도로 사업으로, 전체 연장 19.1㎞ 중 기존 도로 9.2㎞는 활용하고, 9.9㎞를 신설 및 개량하는 사업이다. 이 도로를 이용해 예산군 대술면에서 공주시 정안면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분 안팎으로 32분의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현재 예산군 대술면에서 공주시 정안면까지 이동 거리는 46㎞, 소요 시간은 55여 분이다. 세종시와 내포신도시의 연결도...
기사 본문
내포신도시~정안나들목(IC) 연결도로 위치도. 충남도 제공 충남혁신도시인 내포신도시와 세종시가 한층 가까워질 수 있는 연결도로 사업이 청신호를 켰다. 충남도는 '내포신도시~정안나들목(IC) 연결도로' 건설 사업이 지난달 31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예산군 대술면 이티리 인근 지방도 618호선과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 지방도 604호선을 연결하는 2차로 도로 사업으로, 전체 연장 19.1㎞ 중 기존 도로 9.2㎞는 활용하고 9.9㎞를 신설 및 개량하는 사업이다. 현재 예산군 대술면에서 공주시 정안면까지 이동하는 데 50여 분이 걸리는데, 도로가 신설되면 20여 분으로 크게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세종시와의 접근성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내포신도시와 세종시 간 연결도로망 구축을 통해 지역 간 연계성 확보와 신성장 거점 간의 결속력 강화, 지역 동반 성장 등을 기대하고 있다. 내포신도시~정안IC 연...
기사 본문
기재부,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 예타 대상 선정 2691억 투입 19.1㎞ 구축… "사업성 확보 행정력 집중"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 위치도. 충남도 제공 충남과 세종을 사실상 직결하는 기반시설 구축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4일 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31일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시행할 예정이며, 교통수요와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해 사업성을 확보하면 본격적인 추진이 가능하다.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는 예산군 대술면 이티리 지방도 618호선과 세종시와 인접한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 지방도 604호선을 잇는 2차로다. 19.1㎞ 구간 가운데 기존 9.2㎞는 활용, 나머지 9.9㎞는 신설하거나 개량한다. 이동시간은 현재 55분(46㎞) 정도에서 23분 안팎으로 대폭 줄어든다. 내포신도시-세종시 연결도로망 구축은 지역 간 연계성 확보와 신성장 거점 간 결속력 강화...
기사 본문
충남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 위치도. 충남도 제공 충남 내포신도시에서 세종시로 이어지는 연결도로망 확충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충남도는 내포신도시~정안나들목(IC) 연결도로가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는 충남 예산군 대술면 지방도 618호선과 공주시 정안면 지방도 604호선을 연결하는 도로다. 9.2㎞는 기존 도로를 활용하고, 9.9㎞ 구간을 신설·개량해 전체 19.1㎞ 구간의 2차선 도로를 조성한다. 이 사업이 예타를 통과해 본격 추진되면 예산 대술에서 공주 정안까지 차량 이동 거리가 절반 정도로 줄고, 이동 시간은 기존 55분에서 23분으로 30분 이상 단축된다. 내포신도시~정안IC 연결도로는 세종시로 가는 연결도로망을 확충하기 위해 건설이 추진된다. 도는 도로가 건설되면 국도 43호선과 연결돼 세종시로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20년 행정중심복합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