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무려 98%가 찬성"…홍대·반포서 '이것' 없애자 시민 만족도 폭발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2개
수집 시간: 2025-11-04 10:02:0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서울경제 2025-11-04 06:52:17 oid: 011, aid: 0004551478
기사 본문

13일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전동킥보드가 서있다. 뉴스1 [서울경제]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킥보드 없는 거리’ 정책이 시민들로부터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무분별한 전동킥보드 운행으로 인한 보행자 충돌, 무단 방치 등 문제가 끊이지 않았던 가운데 시행 지역 주민 대부분이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시는 3일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등 2개 구간을 대상으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응답자의 98.4%가 향후 확대를 찬성했다”고 밝혔다. 이 구간은 지난 5월부터 낮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전동킥보드 및 전동이륜평행차, 전동 동력 자전거 등의 통행이 전면 제한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8월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만 18~60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시민 절반 이상(53.2%)이 ‘킥보드 없는 거리’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은 “보행환경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고 ...

전체 기사 읽기

JTBC 2025-11-03 19:44:15 oid: 437, aid: 0000463018
기사 본문

[앵커] 공유 킥보드 업체들은 청소년들의 무면허 운전을 사실상 방조하고 있지만 사고 보험 책임에서도 비켜나 있습니다. 자신들은 면허를 입력하라 했는데, 말을 듣지 않은 건 청소년들이라는 거죠. 저희 취재진이 킥보드 사망사고를 낸 중학생의 부모를 만났는데, 아들이 백번 잘못했지만 업체도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며 소송을 하기로 했습니다. 이어서 김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23년 6월 13살 남자아이 2명이 탄 전동킥보드가 인도를 걷던 80대 노인을 들이받았습니다. 노인은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뇌출혈 진단을 받고 숨졌습니다. 아이의 아버지는 "무조건 아들의 잘못"이라며 어렵게 입을 뗐습니다. [B씨 : 부모로서 깊이 반성하고 지금도 피해자 가족분들께 죄송한 마음을 가지고 있고요. (하지만) 단 한 개의 보험도 미성년자는 적용이 되는 게 없더라고요. 업체들도 알고 있었는지, 알면서도 이렇게 미성년자가 탈 수 있게 한 건지…] 아이들은 면허인증 없이 공유킥보드를 탈 수 있었습니다...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1-04 09:07:09 oid: 243, aid: 0000087450
기사 본문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킥보드 없는 거리’ 정책이 시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으며 보행 환경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서울시는 3일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등 2개 구간에서 시범 운영한 결과, 시민 98.4%가 제도 확대를 찬성했다”고 밝혔다. 이 정책은 전동킥보드와 전동이륜평행차, 전동 동력 자전거 등의 통행을 낮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전면 제한하는 제도로, 지난 5월부터 시행됐다. 무분별한 킥보드 운행으로 인한 보행자 충돌, 무단 방치, 무면허 운전 등 사회적 문제가 잇따르면서 서울시가 안전한 보행 환경 조성을 위해 내놓은 대책이다. 서울시는 지난 8월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만 18~60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3.2%)이 ‘킥보드 없는 거리’ 정책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69.2%는 “보행 중 불안감이 줄었다”고 답했다. 반면 “통행 제한으...

전체 기사 읽기

JTBC 2025-11-03 19:42:18 oid: 437, aid: 0000463017
기사 본문

[앵커]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공유 킥보드 문제, JTBC가 연속보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저희 취재진이 대표적인 공유 킥보드 업체에서 고객상담을 했던 직원의 양심고백을 들었습니다. 청소년 운전자 사고가 터지면 '부모 탓'을 하는 게 상담 매뉴얼이었습니다. 양빈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A씨는 2023년 업계 선두였던 한 공유킥보드업체에서 고객상담 업무를 맡았습니다. 무면허 청소년 사고에 대한 대응 지침은 '책임회피'였습니다. [A씨/전 킥보드업체 고객상담 직원 : 위에서 내려온 얘기를 그대로 읽는 수준이었어요. '무면허 운전을 하면 우리는 책임을 질 수 없다.' 그렇게 안내하라고 저희한테 구두로 전달했었어요.] 대본처럼 발언도 정해져 있었습니다. [A씨/전 킥보드업체 고객상담 직원 : 가이드로 나왔던 것들을 말씀을 드리자면… '면허가 인증이 되는 게 법제화되길 바랍니다. 근데 법제화가 안 됐는데 저희가 어떻게 강제를 하겠습니까?' 이런 식으로 대답을 하라고 했었던 게…]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