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원쯤이야…” 국민 1000명 중 25명꼴로 민생쿠폰 안 받았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시내 한 점포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는 스티커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하는 두 번째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신청자가 97.5%로 최종 집계됐다. 미신청자도 2.5%에 달했다.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6시 2차 소비쿠폰 신청·지급을 마감한 결과 대상자 4567만885명 가운데 4452만6949명이 수령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청자에게는 총 4조4527억원이 지급됐다. 지급수단은 신용·체크카드가 3049만1675명(68.5%),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종이형)이 824만9270명(18.5%), 선불카드가 578만6004명(13.0%) 등이었다. 지역별 신청률은 전남(98.14%), 전북(98.12%), 광주(98.08%), 대구(97.98%), 울산(97.95%), 경남(97.94%) 등 순이었다. 2차 소비쿠폰을 신청하지 않은 대상자는 114만3936명으로 집계됐다. 1차 소비쿠...
기사 본문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자의 97.5%가 소비쿠폰을 신청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이들에게는 모두 4조4527억원의 소비쿠폰이 지급됐다. 3일 서울 시내 한 시장에서 민생지원 소비쿠폰 결제 가능안내문이 부착된 점포. 연합뉴스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6시 2차 소비쿠폰 신청·지급을 마감한 결과 모두 4453만명이 신청했다. 전체 지급 대상자(4567만여명)의 97.5%다. 이들 신청자에게 지급된 금액은 모두 4조4527억원이었다. 신용·체크카드로 소비쿠폰을 받겠다고 신청한 경우는 3489만건(68.5%)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지류)은 825만건(18.5%), 선불카드 579만(13.0%)으로 각각 파악됐다. 지역별 신청률을 보면 전남(98.14%), 전북(98.12%), 광주(98.08%)에서 높게 나타났다. 서울(96.54%)은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정부는 올해 9월 22일부터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를 대상으로 1인당...
기사 본문
1차 신청률 99%보다 낮아…1·2차 소비쿠폰 소비기한 11월 30일, 잔액은 소멸 소비쿠폰 사용가능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추석 연휴를 일주일 앞둔 28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6.9.28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자의 97.5%가 소비쿠폰을 신청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이들에게는 모두 4조4천527억원의 소비쿠폰이 지급됐다.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6시 2차 소비쿠폰 신청·지급을 마감한 결과 모두 4천453만명이 신청했다. 전체 지급 대상자(4천567만여명)의 97.5%다. 이들 신청자에게 지급된 금액은 모두 4조4천527억원이었다. 신용·체크카드로 소비쿠폰을 받겠다고 신청한 경우는 3천489만건(68.5%)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지류)은 825만건(18.5%), 선불카드 579만(13.0%)으로 각각 파악됐다. 지역별 ...
기사 본문
서울 시내 한 시장에 소비쿠폰 관련 안내문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지급 대상자의 97.5%로 최종 집계됐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31일 오후 6시 2차 소비쿠폰 신청·지급을 마감한 결과 모두 4453만명이 신청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전체 지급 대상자(4567만여명)의 97.5%다. 이들에게 지급된 금액은 모두 4조4527억원이었다. 지급 수단별로는 신용·체크카드로 소비쿠폰을 받겠다고 신청한 경우가 3489만건(68.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지류)은 825만건(18.5%), 선불카드 579만(13.0%)으로 각각 파악됐다. 지역별 신청률은 전남 98.14%, 전북 98.12%, 광주 98.08%, 대구 97.98%, 울산 97.95%, 경남 97.94%, 충북 97.92%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서울은 96.54%로 전국에서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