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강버스 운항이 지난 1일 재개됐다. 서울시는 수상 대중교통의 핵심인 안전성과 정시성 등을 높이기 위해 9월 29일부터 한 달가량 승객을 태우지 않은 채 시범운항 훈련에 들어갔었다. 운행 재개 이틀째인 2일 오전 9시 첫 출항지인 잠실과 마곡 선착장에서는 시민 34명, 13명이 각각 한강버스에 올랐다. 중간 선착장인 압구정·여의도에 이르자 ‘첫 배’임에도 정원(199명)의 절반가량이 찼다. 전날(1일)에는 승객이 더 많았다. 1일 하루 동안 3245명의 시민이 한강버스를 이용했다. 오후 시간대의 경우 탑승에 필요한 번호표 발급이 마감될 정도로 인기였다. 서울시는 시범 운항 기간 중 한강버스의 안전성을 한층 강화했다. 전기계통 이상과 같은 잔 고장 개선에 집중했다. 시범 운항 기간 한강버스에 여러 스트레스를 주면서 오류를 잡았다고 한다. ‘QR코드’를 통한 간편 승선 신고 뒤 선수 이동이 가능하도록 했다. 정해진 시간에 출발·도착하는 정시성도 향상됐다. 지난 1일 잠실에서 오전 9시 ...
기사 본문
5월 시범운항중 잠실선착장서 102호 충돌 사고 국감때는 해당 내용 빠진 간단한 정비기록만 제출 추정손해액 7250만원·시에 구상권 청구 가능성도 한강버스 102호가 지난 5월 16일 잠실 선착장 접근항로에서 구조물 충돌로 선박 좌측 하부가 찢어져 있는 모습. 이병진 의원실 제공. 서울시의 역점사업인 한강버스 중 한 척(102호)이 지난 5월 시운전 중 선착장 구조물과의 충돌사고로 선체 하부가 찢어지는 피해를 입었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서울시가 사고 사실을 은폐하려한 정황도 드러나 논란이 일고있다. 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A보험사를 통해 제출받은 ‘주식회사 한강버스 사고보고서’ 등을 보면 지난 5월 16일 오후 5시10분쯤 잠실 선착장 접근항로에서 102호가 콘크리트 구조물(가스관 매립용)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로 인해 102호의 알루미늄 선체 바닥의 좌측 하부가 찢어졌다. 파손으로 인한 누수는 발생하지 않았고, 지난 8월...
기사 본문
가족 단위 탑승객 많아…"안전성‘정시성 강화" 승선신고 QR코드로 자율…어르신 등 사용 어려워 한강버스가 옥수 선착장에 접안하고 있다. 2025.11.3/뉴스1 ⓒ News1 한지명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3일 오후 2시, 한강버스 운항이 재개된 지 3일째를 맞은 여의도 선착장. 흰색 선박이 물살을 가르며 다가오자 대기 중이던 시민들의 시선이 일제히 강 쪽으로 향했다. 카메라 셔터 소리와 아이들 웃음소리가 교차했고, 안내 직원은 "번호표 1번부터 30번까지 먼저 들어오세요"라고 외쳤다. 여유 좌석이 남자 대기 줄에서 추가 탑승이 이뤄졌다. 이날 탑승객은 가족 단위와 어르신 승객이 주를 이뤘다. 외국인 관광객도 종종 눈에 띄었다. 직원들은 "한 분씩 이동해 달라", "천천히"라며 안전을 수차례 강조했다. 한강버스 탑승 이후에도 구명조끼 착용과 동선 주의가 반복 안내됐다. 승선이 시작되자 창가 좌석부터 금세 찼고, 갑판으로 나온 시민들은 바람을 맞으며 한강을 배경으로 사진...
기사 본문
일부 시간대 조기 탑승 마감 "정시성 향상에 시민 호응" 운항을 재개한 한강버스를 타고 내리는 탑승객들/사진=서울시 한 달간의 무승객 시범운항을 마치고 지난 1일 운항을 재개한 '한강버스'에 이틀간 6138명이 탑승했다. 일부 시간대 일찌감치 탑승이 마감되는 등 시민들의 호응이 이어졌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일과 2일 한강버스 탑승객은 각각 3261명, 2877명으로 집계됐다. 이틀간 마곡행 3014명, 잠실행 3124명으로 양방향 탑승객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오후 시간대에는 많은 시민이 한강버스를 타기 위해 선착장을 찾아 번호표 발급하는 등 탑승이 조기 마감되기도 했다. 서울시는 앞서 한강버스 운항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한 달여 간의 무승객 시범운항 기간을 가졌다. 시범운항으로 안전성과 접·이안 숙련도가 향상돼 정시성이 강화됐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지난 1일 오전 9시에 잠실을 출발한 한강버스는 옥수역에 9시 37분에 정확히 들어와 39분에 출발했다. 여의도선착장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