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 감소에 허리띠 졸라 맨 경기도교육청, 내년 예산 1300억↓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내년도 본예산 22.9조로 올해 본예산 대비 감소 경기도 지방교육세와 전입금 등 3천억 줄어 인건비 인상 등 경직성 경비는 증가하며 세출 구조조정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부동산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지방세수 감소가 경기교육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경기도교육청이 지난해보다 1300억원가량 줄어든 내년도 본예산안을 경기도의회에 제출하면서다.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전경.(사진=경기도교육청) 3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도의회에 제출한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안)’은 22조9259억원이다. 지난해 본예산 23조640억원 대비 1381억원 감소한 수치다. 갈인석 경기도교육청 예산담당관은 “기본적으로 세수 증가율이 예상보다 떨어졌다”며 “중앙정부 교부금은 많지는 않지만 늘었는데, 경기도청에서 오는 지방교육세와 전입금 등이 줄었다. 또 기금 활용금액도 줄어 전체 세입은 지난해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기도교육청의 내년도 본예산 주요 재원을 살펴보면...
기사 본문
직접교육활동비·미래교육정책사업비 최대한 반영 제387회 도의회 정례회서 심의 후 최종 확정 예정 경기도교육청이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 22조9259억 원을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본예산은 2025년도 본예산 23조640억 원보다 1381억 원 감소한 규모다. 갈인석 경기도교육청 예산담당관이 3일 도교육청 남부청사에서 2026년도 본예산 편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2026년도 본예산의 주요 재원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4499억 원과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6786억 원, 순세계잉여금 1,046억 원 등이다. 세입 여건은 보통교부금이 전년 대비 5162억 원 증가했지만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1272억 원, 기금전입금 활용액 7094억 원이 감소해 전체 재정 규모는 전년 대비 다소 축소됐다. 세출 여건은 전체 편성 예산 규모 중 경직성 경비가 총 20조6337억 원(90%)으로 인건비 인상(3.5%...
기사 본문
긴축예산 속 학생 직접교육활동비, 미래교육정책사업비 최대한 반영 【파이낸셜뉴스 수원=장충식 기자】경기도교육청은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안)' 22조9259억 을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제출한 예산은 올해 본예산 23조640억원보다 1381억원 감소했다. 주요 재원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4499억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6786억원, 순세계잉여금 1046억원 등이다. 세입 여건은 보통교부금이 전년 대비 5162억원 증가했지만,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1272억 원, 기금전입금 활용액 7094억원이 감소해 전체 재정 규모는 전년 대비 다소 축소됐다. 세출 여건은 전체 편성 예산 규모 중 경직성 경비가 총 20조6337억원(90%)으로 인건비 인상(3.5% 증액)분을 반영해 전년 대비 7872억원의 추가 편성이 필요했다. 도교육청은 이 같은 세입감소 및 경직성 경비 증가 등으로 2026년도 예산 편성에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이...
기사 본문
보통교부금 늘었지만 기금전입금 감소로 전체 규모 축소 유보통합·늘봄학교·AI교육 등 필수사업 예산은 유지 경기도교육청 갈인석 예산담당관이 3일 남부청사 2층에서 '2026 본예산안 편성' 관련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박화선기자 경기도교육청이 22조 9천259억원 규모의 내년도 본예산안을 편성했다. 이는 2025년도 본예산 23조640억원보다 1천381억원 감소한 규모다. 도교육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안)’(이하 본예산) 22조9천259억원을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2026년도 본예산의 주요 재원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4천499억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6천786억원 ▲순세계잉여금 1천46억원 등이다. 세입 여건은 보통교부금이 전년 대비 5천162억 원 증가했으나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1천272억원, 기금전입금 활용액 7천094억원이 감소하여 전체 재정규모는 전년 대비 다소 축소됐다. 세출 여건은 ...
기사 본문
역대 최대 규모였던 올해 23조 640억보다 1381억 ↓ 세입감소 및 경직성 경비 증가 여파… 고강도 지출구조 조정 단행 ▲경기도교육청. ⓒ프레시안(전승표) 경기도교육청이 22조 9259억 원 규모로 편성된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을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예산안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던 올해 본예산 23조 640억 원보다 1381억 원 감소(0.59%)한 규모다. 이는 세입 감소 및 물가상승분 반영 등에 따른 경직성 경비의 증가의 영향이다. 실제 내년도 주요 세입예산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 4499억 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 6786억 원 △기타 수입 및 순세계잉여금 1046억 원 등으로, 보통교부금은 전년 대비 5162억 원 증가한 반면,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과 기금전입금 활용액은 각각 1272억 원과 7094억 원씩 감소했다. 특히 세출 여건의 경우, 경직성 경비가 총 20조 6337억 원(90%)으로 인...
기사 본문
재정 여건 악화 따른 불가피한 조치 '하이러닝', '경기공유학교' 등은 최대한 반영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사진 제공 = 경기도교육청 [서울경제] 경기도교육청은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안으로 22조 9259억 원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제출한 본예산은 2025년도 본예산 23조 640억 원보다 1381억 원 감소한 규모다. 2026년도 본예산의 주요 재원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 4499억 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 6786억 원, 순세계잉여금 1046억 원 등이다. 세입 여건은 보통교부금이 전년 대비 5162억 원 증가했지만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1272억 원, 기금전입금 활용액 7094억 원이 감소해 전체 재정 규모는 전년보다 축소됐다. 세출 여건은 전체 편성 예산 규모 중 경직성 경비가 총 20조 6337억 원(90%)으로 인건비 인상(3.5%)분을 반영해 전년 대비 7872억 원의 추가 편성이 필요했다. 도교육청은 이 ...
기사 본문
3일 도교육청 남부청사에서 갈인석 경기도교육청 예산담당관이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이 2025년 본예산보다 1381억원 감소한 22조9259억원 규모의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안)을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세입은 줄고 인건비 등 경직성 경비는 늘어나는 재정 악화 속에서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을 단행했지만, 하이러닝·경기공유학교 등 핵심 미래교육 사업은 챙긴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3일 브리핑을 열어 내년도 예산 계획을 설명했다. 예산안은 보통교부금이 5162억원 늘었으나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1272억원↓)과 기금전입금(7094억원↓)이 줄어 전체 세입 규모가 축소됐다. 반면 인건비(3.5%↑) 인상 등으로 경직성 경비는 7872억원 늘어나, 전체 예산의 90%(20조 6337억원)를 차지했다. 세입 감소와 경직성 경비 증가라는 이중고에 도교육청은 운영비 10% 일괄 감...
기사 본문
올해보다 180억원 감소…세입 줄어든 영향 [제주=뉴시스] 김광수 제주교육감이 3일 오전 제주도교육청 기자실에서 '녀년도 제주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주도교육청 제공) 2025.11.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제주도교육청은 내년도 예산안을 1조5788억원 규모로 편성해 제주도의회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올해보다 180여억원 줄어든 규모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내년도 제주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안'은 보통교부금 감소와 지방세수 악화 등 세입 여건의 악화로 올해 본예산 1조5973억원보다 185억원(1.2%) 감소했다. 세입이 줄어 감소예산을 편성했으나 학교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예산을 짰다는 게 도교육청의 설명이다. 학급 수와 학생 수가 줄었음에도 학교운영경상경비를 올해와 유사한 수준인 881억원으로 편성했다. 또 내년에는 학교 설립과 시설 개선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시설환경...
기사 본문
올해보다 1천381억원 감소 22조9천억원 예산안 도의회 제출 (수원=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22조9천259억원 규모의 '2026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본예산'을 편성해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광교청사 [경기도교육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예산안은 올해 23조640억원보다 1천381억원 감소한 규모이다. 내년도 본예산의 주요 재원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4천499억원, 지방자치단체 이전 수입 3조6천786, 순세계잉여금 1천46억원 등이다. 지방자치단체 이전 수입과 기금전입금 활용액이 각각 1천272억원, 7천94억원이 감소해 전체 재정 규모가 전년 대비 축소됐다. 도교육청은 세입 감소 등으로 내년도 예산 편성에 지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운영비 10% 일괄 감액, 신규 시설사업비 및 자산 취득성 경비 억제 등으로 재정 운용의 효율화를 꾀했다. 주요 세출예산은 학교기본운영비 1조5천747억원, 유아맞춤교육...
기사 본문
경기도교육청이 2026년 본예산을 축소 편성했다. 도교육청은 내년 예산으로 22조9259억원을 편성해 3일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은 올해 23조640억원보다 1381억원 감소한 규모다. 내년 본예산의 주요 재원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8조4499억원 ▲지방자치단체 이전 수입 3조6786 ▲순세계잉여금 146억원 등이다. 지방자치단체 이전 수입과 기금전입금 활용액이 각각 1272억원, 7094억원 감소해 전체 재정 규모가 전년 대비 축소됐다. 경기도교육청 도교육청은 세입 감소 등으로 내년도 예산 편성에 지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운영비 10% 일괄 감액, 신규 시설사업비 및 자산 취득성 경비 억제 등으로 재정 운용의 효율화를 꾀했다. 주요 세출예산은 학교기본운영비 1조5747억원, 유아맞춤교육 및 유보통합 지원 1조1506억원, 학교 신증설 6522억원, 늘봄학교 운영 2057억원, 디지털인프라 여건 개선 1747억원, 안전한 학교급식 조성 1295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