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단속하던 경찰, 형사처벌 위기"…과잉 대응? 영상 보니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7개
수집 시간: 2025-11-03 15:10:2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머니투데이 2025-11-03 14:05:45 oid: 008, aid: 0005272524
기사 본문

무면허 전동 킥보드를 단속하던 경찰관이 형사 처벌을 받을 처지에 놓였다./사진=SBS 갈무리 무면허 전동 킥보드를 단속하던 경찰관이 형사 처벌을 받을 처지에 놓였다. 3일 뉴스1에 따르면 인천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최근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를 받는 인천 삼산경찰서 소속 A경사를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A경사는 지난 6월13일 인천 부평구에서 무면허 전동 킥보드 단속을 하던 중 고등학생 B군을 멈춰 세우는 과정에서 B군을 넘어뜨려 다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A경사는 B군이 다른 일행 1명과 안전모를 쓰지 않은 채 전동킥보드를 타고 인도로 달리는 것을 보고 멈춰 세우려다 팔을 잡았다. 무면허 전동 킥보드를 단속하던 경찰관이 형사 처벌을 받을 처지에 놓였다./사진=SBS 갈무리 당시 사고로 전동킥보드 뒤에 타고 있던 B군은 경련과 발작 등 증상을 보여 응급실로 옮겨졌다. 외상성 뇌출혈과 두개골 골절 등의 진단을 받은 B군은 치료 과정에서 출혈이 완화돼 열흘간 입원한 뒤 퇴원한 ...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03 14:58:09 oid: 028, aid: 0002774340
기사 본문

전동킥보드를 운행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가 시범 운영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충돌 위험이 줄고 보행환경이 좋아졌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울에선 올해 5월부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2개 구간에서 킥보드 없는 거리(낮 12시∼밤 11시)를 시범 운영해 왔다. 시는 지난 8월 이 지역 생활인구 500명(만18∼60살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시범 전후 변화를 물어보니, 전동킥보드 통행량 감소(76.2%), 무단 방치 수량 감소(80.4%), 충돌 위험 감소(77.2%), 보행환경 개선(69.2%)을 느낀다고 했다. 앞으로 보행 밀집 지역이나 안전 취약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에는 98.4%가 찬성했다. 킥보드 없는 거리에선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 동력만으로 움직이는 자전거는 통행할 수 없다. 이를 위반하면 일반도로는 범칙금 3만원과 벌점 15점, 어린...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2 11:50:13 oid: 011, aid: 0004550794
기사 본문

[서울경제] 출근길에서도, 퇴근길에서도. 온·오프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다양한 이슈를 풀어드립니다. 사실 전달을 넘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인 의미도 함께 담아냅니다. 세상의 모든 이슈, 풀어주리! <편집자주>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로 인한 인명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법원이 무면허로 사람을 숨지게 한 10대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그러나 이런 사고는 여전히 줄지 않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지난달 30일 의정부지법 고양지원은 지난해 6월 경기 고양시 일산 호수공원에서 전동 킥보드를 몰다 사고로 60대 부부 중 아내를 숨지게 한 고등학생 A양에게 금고 장기 8개월·단기 6개월의 실형과 벌금 20만 원을 선고했다. A양은 친구와 킥보드 한 대를 함께 타고 주행하다가 산책 중이던 부부를 들이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재판부는 “피해자가 사망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초래했고 합의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실형 선고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특히 “자전거를 피...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1-03 13:21:06 oid: 469, aid: 0000895356
기사 본문

서울시, 시범운영 여론조사 결과 7월 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 인도에 전동 킥보드가 서 있다. 뉴스1 무분별한 전동킥보드 운행으로 인한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시민의 98.4%가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5월부터 마포구와 서초구 두 구간에서 전국 최초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운영하고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운영 효과 분석을 위해 진행된 이번 조사는 지난 8월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시행 후 변화를 묻는 항목(2개 구간 평균)에서 시민 76.2%는 전동킥보드 통행량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전동킥보드 무단 방치 수량 감소를 느끼는 시민은 80.4%에 달했다. 보행 환경 개선(69.2%)과 충돌 위험 감소(77.2%) 등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는 답변도 나왔다. 시와 서울경찰청은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km), 서초구 반포동 학원가(2.3km...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03 17:13:10 oid: 081, aid: 0003587609
기사 본문

서울신문DB 인천에서 전동킥보드를 타다가 60대 여성을 다치게 한 40대 대리기사가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인천지법 형사6단독 신흥호 판사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치상 혐의로 기소된 대리기사 A(45·남)씨에게 벌금 200만원을 선고했다고 3일 밝혔다. A씨는 지난 1월 20일 오후 10시쯤 인천 미추홀구의 편도 3차로 도로 3차선에서 시속 8㎞로 전동킥보드를 몰다가 B(62·여)씨를 치어 다치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B씨는 당시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 뒷문으로 하차하던 중 사고를 당했으며 왼쪽 늑골이 골절되는 등 4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었다. 신 판사는 “피해자가 입은 상해 정도가 가볍지 않고 피해회복이 되지 않았다”면서도 “피고인이 동종 범행으로 벌금형을 초과한 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고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형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인천에서는 지난달 18일 어린 딸을 지키려던 30대 엄마가 중학생들이 몰던 전동킥보드에 치어 중태에 빠지는 사고가 있었다....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3 06:00:09 oid: 001, aid: 0015719655
기사 본문

서울시 시범운영 지역 시민 77% "충돌 위험 줄었다"…경찰과 개선안 협의 반포 학원가에 설치된 '킥보드 없는 거리' 표지판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홍대 레드로드와 반포 학원가에서 오는 16일부터 '킥보드 없는 거리' 운영이 예정된 가운데 13일 서울 서초구 반포 학원가에 전동킥보드 통행금지 표지판이 설치돼 있다.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달 16일부터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 등 2개 도로 구간에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통행을 금지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가 전국 최초로 운영된다. 2025.5.13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시가 마포구와 서초구 2개 구간에서 전국 최초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시민 10명 중 7∼8명은 보행환경 개선·충돌위험 감소 등 효과를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올해 5월부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3 06:00:00 oid: 003, aid: 0013576133
기사 본문

홍대 레드로드·반포 학원가 5월부터 시범운영 시민 대다수 "킥보드 통행·무단방치 감소 느껴"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지난 5월16일 서울 서초구 반포 학원가에 킥보드 운행 안내 표지판이 설치돼 있는 모습. 2025.05.16.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서울시민 98.4%가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를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개인형 이동장치(PM) 통행금지 도로(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 운영·시민 인식 조사 등 지난 6개월 간 전반적인 효과분석을 바탕으로, 내달 경찰과 킥보드 단속 및 통행금지 도로 확대 여부 등 확대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고 3일 밝혔다. 서울시가 지난 5월부터 마포구와 서초구, 시내 2개 구간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시민들은 보행환경이 개선(69.2%)되고 충돌 위험이 감소(77.2%)하는 등 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서울에서는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

전체 기사 읽기

JTBC 2025-11-03 11:06:19 oid: 437, aid: 0000462921
기사 본문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전동킥보드 통행을 금지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서울시민 98.4%가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를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오늘(3일) 마포구와 서초구 2곳에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시민 10명 중 7명이 보행환경이 개선됐다고 답했다고 했습니다. 현재 서울에서는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2개 구간이 낮 12시부터 밤 11시까지 '킥보드 없는 거리'로 시범 운영 중입니다. 이 구간에서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 동력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전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통행을 하다 적발 시 일반도로의 경우 범칙금 3만원과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범칙금 6만원과 벌점 30점이 부과됩니다. 다만, 현재 경찰에서는 계도 기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는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 운영 효과분석을 위해 지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