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의 코흘리개들을 감동시킨 광주학생독립운동 [김종성의 '히, 스토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종성의 히,스토리] 합법적 집회 공간 없이도 확산... 3·1운동 이후 최대의 대일 민족항쟁 ▲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에 세워져 있는 기념조형물 ⓒ 이돈삼 일제하 3대 독립운동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은 또 다른 3대 운동인 3·1운동이나 6·10만세운동과 달리 합법적 집회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했다. 1919년 3·1운동은 고종황제의 장례식이, 1926년 6·10만세운동은 순종의 장례식이 계기가 됐다. 광주학생독립운동 때는 그런 계기가 없었다. 왕정시대에는 왕의 죽음이 가장 슬픈 일이었다. 그래서 일제는 한국인들이 고종과 순종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한국인들은 일본이 인정하는 합법의 테두리 내에서 집회를 열 수 있었다. 반면, 1929년 11월 3일의 광주학생독립운동 때는 그런 명분이 없었다. 그래서 군중이 모이기 힘들었는데도 일제강점기 3대 운동이 이때 발생했다. 3·1운동과 6·10만세운동은 봄과 초여름에 발생했다. 그래서 군중의 ...
기사 본문
100주년 앞두고 세계기록유산 추진단 구성 국내외 기록 발굴 나서, 독립운동 관련 처음 |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3일 광주 서구 화정동 학생독립운동기념탑에서 제96주년 학생독립운동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시작되어 이듬해 3월까지 전국 320여 개의 학교에서 5만4000여 명의 학생들의 참가한 항일 시위운동이다. 연합뉴스 광주에서 시작된 ‘학생독립운동’과 관련한 국내외 기록물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추진된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기록물에 대해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추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남대학교는 3일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기록을 수집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남대는 ‘광주학생독립운동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추진단’을 구성하고 학생독립운동 100주년이 되는 오는 2029년 등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한...
기사 본문
1930년 미국에서 발간된 한국 독립 주장 문서 [전남대 제공] (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전남대학교는 3일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기록을 수집해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교육부와 광주시의 지원을 받아 전남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 체계(RISE) 사업의 하나로 구성됐으며 앞으로 5년간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광주학생독립운동 세계기록유산 추진단(추진단) 책임교수를 맡은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김재기 교수는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록을 보면, 10대 학생들이 자유·평등·박애라는 인류 보편적 가치를 향해 싸운 세계적인 운동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100주년에 관련 자료들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올려, 5·18 기록물과 함께 세계 속에서 광주의 정신을 빛내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추진단은 지난 1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재외한인학회 국제학술회의에서 1930년 3월 미국에서...
기사 본문
국가보훈부 주관 광주 학생독립운동기념탑서 거행 AI 기술로 되살아난 항쟁…"뜨거운 신념, 청년 계승" [광주=뉴시스] 이현행 기자 = 3일 오전 광주 서구 화정동 학생독립운동기념탑 앞에서 제96주년 학생독립운동기념식이 거행되고 있다. 2025.11.03. lhh@newsis.com [광주=뉴시스]이현행 기자 = 3·1운동, 6·10 만세운동과 함께 3대 항일 투쟁으로 꼽히는 광주 학생독립운동 96돌을 맞아 선열들의 숭고한 민족 자주 정신을 기리는 기념행사가 광주에서 거행됐다. 국가보훈부는 3일 오전 광주 서구 학생독립운동기념탑 앞에서 '환하게 밝힐 내일을 꿈꾸며'를 주제로 제96주년 학생독립운동 기념식을 열었다. 기념식에는 권오을 보훈부 장관을 비롯한 각계 대표와 독립유공자, 유족, 시민, 독립운동 참가 학교 재학생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개식 선언, 여는 영상, 국민의례, 주제 공연, 기념사·기념영상, 기념 공연, 학생의 날 노래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기념식 주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