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타던 중 행인과 ‘쿵’… 40대 男, 벌금 200만원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1개
수집 시간: 2025-11-03 13:31:0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일보 2025-11-03 11:36:17 oid: 023, aid: 0003938583
기사 본문

행인은 전치 4주 부상 법원 로고./뉴스1 전동 킥보드를 타고 가다 버스에서 내리던 행인을 치어 다치게 한 40대 남성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 6단독 신흥호 판사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치상 혐의로 기소된 A(45)씨에게 벌금 200만원을 선고했다고 3일 밝혔다. A씨는 지난 1월 20일 오후 10시쯤 인천시 미추홀구의 한 도로에서 전동 킥보드를 몰다가 B(62)씨를 치어 다치게 한 혐의로 기소됐다. A씨는 당시 편도 3차로 도로 3차선에서 시속 8㎞로 전동 킥보드를 타고 가다가 버스에서 내리던 B씨를 치어 넘어지게 한 것으로 조사됐다. B씨는 이 사고로 왼쪽 늑골이 부러지는 등 4주 치료가 필요한 부상을 당했다. 신 판사는 “피해자의 상해 정도가 가볍지 않고 피해 회복이 되지 않았다”며 “피고인이 벌금형을 초과하는 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는 점, 반성하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문화일보 2025-11-03 11:46:17 oid: 021, aid: 0002747159
기사 본문

시범운영 지역 시민 77% “충돌 위험 줄었다”…경찰과 개선안 협의 지난달 29일 인천 연수구 송도동 신정중학교와 연송고등학교 앞에서 연수구와 연수경찰서 직원 및 자원봉사자들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동킥보드(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수칙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민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98.4%가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킥보드를 타고 가다 행인을 다치게 하는 사고가 빈발하는 가운데, 서울시는 경찰과 함께 단속 및 통행금지 구간 확대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5월부터 전국 최초로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등 2곳에서 ‘킥보드 없는 거리(낮 12시~오후 11시)’를 시범 운영한 결과, 일대 주민들이 안전 개선 효과를 체감하고 사업 확대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3일 밝혔다. 8월 서울시가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무...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3 12:34:21 oid: 421, aid: 0008581415
기사 본문

전동킥보드(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인천=뉴스1) 이시명 기자 = 버스에서 하차 중인 60대 여성을 전동킥보드로 치어 다치게 한 40대 남성이 벌금형에 처해졌다. 인천지법 6단독 신흥호 판사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치상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A 씨(45)에 대해 벌금 200만원을 선고했다고 3일 밝혔다. A 씨는 지난 1월 20일 오후 10시쯤 인천 미추홀구에서 전동킥보드를 타던 중 버스에서 내리고 있는 여성 B 씨(62)를 들이받아 4주간의 병원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당시 A 씨는 시속 약 8㎞로 편도 3차로 도로를 달리던 중 B 씨를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상해 정도가 가볍지 않고, 피해 회복이 되지 않았다"며 "다만 피고인이 반성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해 형을 정했다"고 말했다.


JTBC 2025-11-03 11:06:19 oid: 437, aid: 0000462921
기사 본문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전동킥보드 통행을 금지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서울시민 98.4%가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를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오늘(3일) 마포구와 서초구 2곳에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시민 10명 중 7명이 보행환경이 개선됐다고 답했다고 했습니다. 현재 서울에서는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2개 구간이 낮 12시부터 밤 11시까지 '킥보드 없는 거리'로 시범 운영 중입니다. 이 구간에서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 동력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전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통행을 하다 적발 시 일반도로의 경우 범칙금 3만원과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범칙금 6만원과 벌점 30점이 부과됩니다. 다만, 현재 경찰에서는 계도 기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는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 운영 효과분석을 위해 지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