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184m 인천 제3연륙교 전망대…세계 최고 높이 공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기네스 인증도 추진 인천 제3연륙교 공사 현장. 전망대는 주탑 위에 설치된다. 인천시 제공 해발 184.2m의 인천 제3연륙교 전망대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해상교량 전망대로 공인받았다. 3일 인천시에 따르면 미국 세계기록위원회(WRC)는 해발 184.2m 제3연륙교 전망대를 '세계 최고 높이 해상교량 전망대'로 최근 인증했다. 이번 인증은 한국기록원(KRI)의 최고 기록 검증·세부 검토와 WRC의 추가 확인 절차 등을 거쳐 확정됐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제3연륙교 전망대를 영국 기네스 세계기록(GWR)에 올리는 절차도 밟고 있으며, 올해 중 인증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인천 영종과 청라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는 길이 4.68㎞, 폭 30m(왕복 6차로) 규모로 건립된다. 현재 공정률은 94%로 올해 말이나 내년 초 개통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제3연륙교는 단순한 교량을 넘어 인천의 관광자원으로 우수한 도시경관을 전 세계에 알리는 대표적인 상징물이 될 것"이라며 "세...
기사 본문
영종 vs 청라 옥신각신…"지역 이기주의 도 넘어" 지적 인천시 "11월 재심의 무효되면 국가지명위원회로 이관" 내년 1월 개통을 앞둔 인천 제3연륙교 (인천경제청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인천=뉴스1) 유준상 기자 = 내년 초 개통할 예정인 인천 제3연륙교의 이름을 정하는 심의가 최근 또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국 세계기록위원회(WRC)로부터 '세계 최대 높이 해상교량 전망대(184.2m)' 타이틀까지 받은 상황에서 자칫 '무명(無名)' 상태로 개통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10월 27일 예정됐던 시 지명위원회의 제3연륙교 명칭 재심의가 또 연기됐다. 재심의 연기는 9월 17일에 이어 두 번째다. 재심의가 열리지 못한 이유는 제3연륙교 시·종점 지역인 중구와 서구의 갈등 때문이다. 시 지명위원회는 지난 7월 28일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의결했으나 중구 주민들은 '영종하늘대교'를, 서구 주민들은 '청라대교'를 주장해 합의점...
기사 본문
공사 중인 인천 제3연륙교./ 인천경제청 해발 184.2m의 인천 제3연륙교 전망대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해상 교량 전망대로 인정받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미국 세계기록위원회(WRC)가 제3연륙교 주탑 전망대를 ‘세계 최고 높이 해상 교량 전망대’로 인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한국기록원(KRI)의 최고 기록 검증과 인증, WRC의 추가 확인 절차 등을 거쳐 확정됐다고 인천경제청은 설명했다. 제3연륙교 전망대는 184.2m의 교량 주탑 190㎡ 면적의 공간에 조성된다. 인천경제청은 제3연륙교 전망대를 영국 기네스 세계기록(GWR)에 올리는 절차도 밟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연내 기네스 인증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3연륙교는 인천 영종도와 서구 청라국제도시를 연결하는 해상 교량으로, 길이 4.68㎞, 폭 30m(왕복 6차로) 규모로 건립 중이다. 현재 공정률은 94%로 다음 달 개통이 목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제3연륙교는 인천의 우수한 도시 경관을 전 세계에 ...
기사 본문
내년 1월 개통을 앞둔 인천 제3연륙교 (사진/인천경제청 제공) 내년 초 개통 예정인 인천-영종 제3연륙교의 이름을 정하는 심의가 최근 또 연기됐습니다. 최근 미국 세계기록위원회(WRC)로부터 '세계 최대 높이 해상교량 전망대(184.2m)' 타이틀까지 받았지만, 정작 교량 이름조차 못 짓고 있는 꼴입니다. 오늘(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10월 27일 예정됐던 시 지명위원회의 제3연륙교 명칭 재심의가 또 연기됐습니다. 9월 17일에 이어 두 번째 연기입니다. 제3연륙교 시·종점 지역인 인천 중구와 서구의 갈등 때문입니다. 시 지명위원회는 지난 7월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의결했지만 중구는 '영종하늘대교'를, 서구는 '청라대교'를 고집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영종도가 속한 중구는 통상 섬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이 수혜지역 이름을 따 짓는다고 주장하고, 서구는 영종도 이름을 딴 영종대교가 있는 만큼 이번엔 육지 쪽 이름을 붙여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개통 시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