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DMZ OPEN 평화 걷기·마라톤 대회’성황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주한외국대사·독립유공자 후손·마라톤 동호인 등 참여 ⓒ [데일리안 = 윤종열 기자] 경기도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비무장지대(DMZ) 일원을 걷고 달리며 생태·평화·역사의 가치를 몸으로 느끼는 이틀간의 축제가 펼쳐졌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DMZ OPEN 페스티벌(Festival)의 대표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1일에는 ‘2025 DMZ OPEN 평화걷기’가 2일에는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이 개최됐다. ‘DMZ 평화 걷기’는 민통선 내 임진강변 생태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생태적 가치와 평화의 의미를 직접 체험하는 행사로, 올해는 야니스 베르진슈(Janis Berzins) 주한 라트비아 대사를 비롯해 13개국 주한 외국대사, 독립유공자 후손, 최재천 D.O.F.조직위원장 등 약 1500여명이 함께했다. 개막식에서는 경기도 홍보대사로서 활동중인 김규리를 비롯한 참가자 대표 6명이 무대 앞에서 릴레이 형식으로 평화 메시지를 낭독할 때마다, 참가자 전원이 “DMZ는 평...
기사 본문
11월 1~2일 임진각 평화누리서 성황리 개최 주한외국대사, 독립유공자 후손 등 참여 민간인 통제구역 걷고 달리는 특별한 경험 2025 DMZ OPEN 평화걷기. 경기도 제공 파주=김준구 기자 경기도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비무장지대(DMZ) 일원을 걷고 달리며 생태·평화·역사의 가치를 몸으로 느끼는 이틀간의 축제가 펼쳐졌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DMZ OPEN 페스티벌의 대표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지난 1일에는 ‘2025 DMZ OPEN 평화걷기’가, 2일에는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이 개최됐다. 첫째 날 진행된 ‘DMZ 평화 걷기’는 민통선 내 임진강변 생태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생태적 가치와 평화의 의미를 직접 체험하는 행사다. 올해는 야니스 베르진슈(Janis Berzins) 주한 라트비아 대사를 비롯해 13개국 주한 외국대사, 독립유공자 후손, 최재천 D.O.F.조직위원장 등 약 1500여 명이 함께했다. 개막식에서는 경기도 홍보대사로서 활동중인 김규리...
기사 본문
주한외국대사, 독립유공자 후손, 마라톤 동호인 등 다양한 계층 참여 생태탐방로, 통일대교 등 민간인 통제구역을 걷고 달리는 특별한 경험 기회 출발선을 통과하고 있는 평화마라톤 참가자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와 평화, 역사를 주제로 연이어 열렸던 2개의 축제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도는 지난 1일 '2025 DMZ OPEN 평화걷기', 2일 'DMZ OPEN 평화마라톤'을 개최해 도민과 외국인이 함께 걷고 달리며 평화의 의미를 공유했다고 3일 밝혔다. 1일 열린 '평화걷기'에는 야니스 베르진슈 주한 라트비아 대사를 비롯한 13개국 외교사절, 독립유공자 후손 등 1500여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민간인통제선(민통선) 내 임진강변 생태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평화와 공존의 가치를 체험했다. 개막식에서는 김규리 경기도 홍보대사 등 참가자 대표가 평화 메시지를 낭독했고,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가 타북으로 출발을 알렸다. 행사 현...
기사 본문
지난 1일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열린 'DMZ OPEN 평화걷기' 행사에서 김대순 행정2부지사 타고(타북)를 신호로 참가자들이 평화를 기원하며 출발하는 모습.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비무장지대(DMZ) 일원을 걷고 달리며 생태·평화·역사의 가치를 몸으로 느끼는 축제가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열렸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DMZ OPEN 페스티벌(Festival) 대표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DMZ OPEN 평화걷기', '평화 마라톤' 대회가 진행됐다. 첫째 날 열린 'DMZ 평화 걷기'는 민통선 내 임진강변 생태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생태적 가치와 평화의 의미를 직접 체험하는 행사다. 올해는 야니스 베르진슈(Janis Berzins) 주한 라트비아 대사를 비롯해 13개국 주한 외국대사, 독립유공자 후손, 최재천 D.O.F.조직위원장 등 1500여 명이 함께했다. 개막식에서는 경기도 홍보대사로서 활동 중인 김규리를 비롯한 참가자 대표 6명이...
기사 본문
경기도,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막 김동연 지사, 샌델·최재천과 '미래 세대 정의' 공감 DMZ 비전 확장…"청년 정의감은 밝은 미래" 역설 세계적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최재천 교수와 대담 청년 세대 긍정적 인식 공유…미래 세대 중요성 강조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의 청년 세대가 가진 정의감에 주목하며 미래를 위해 독려하고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일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종구 기자 경기도는 3일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더 큰 평화-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DMZ의 생태·평화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동연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오늘 우리는 DMZ...
기사 본문
김동연 지사, 세계적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와 대담 김 지사, “더 큰 평화를 만드는 플레이메이커로서 역할을 다하겠다” 2025 DMZ OPEN 에코피스 포럼이 3일 개막했다. 사진=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마이클 샌델 미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의 청년 세대가 가진 정의감에 주목하며 미래를 위해 독려하고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경기도가 3일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더 큰 평화 –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DMZ의 생태·평화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동연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오늘 우리는 DMZ가 회복한 평화의 가치를 인간의 세계로 이어가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 생태와 평화, 상생과 공존의 가치를 깊이 새기며 양적인 성장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질 높은 성장을 이루어내는 것이 우...
기사 본문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막 한국 청년 세대가 가진 정의감 주목 미래 위해 독려·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김동연 "젊은 세대, 축제하듯 계엄 종식" 3일 소노캄 고양에서 열린 2025 DMZ OPEN 에코피스 포럼 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경기도 [서울경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의 청년 세대가 가진 정의감에 주목하며 미래를 위해 독려하고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경기도는 3일 소노캄 고양에서 개최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에서 세계적 석학들이 한국 청년 세대의 정의감과 미래 가능성에 주목했다. '더 큰 평화 –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최재천 생태학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오늘 우리는 DMZ가 회복한 평화의 가치를 인간의 세계로 이어가기 위해 이 자리에...
기사 본문
김동연 지사·최재천 교수와 에코피스포럼서 '미래 세대' 인식 공유 (고양=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세계적 베스트셀러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 미 하버드대 교수는 3일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기조강연에서 "정의로운 사회는 각 세대가 서로에게 책임을 지는 사회이며, 평화는 이러한 세대 간 정의의 연장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하는 마이클 샌델 (고양=연합뉴스) 임병식 기자 =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3일 경기도 고양시 장항동 소노캄 고양에서 열린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3 andphotodo@yna.co.kr 그는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기후·생태 위기 시대에 공동선의 회복과 세대 간 책임의 윤리를 강조했다. 이어 그는 김동연 경기지사,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와 함께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