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고색·매산배수분구 '하수도정비 중점관리' 지역 선정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개
수집 시간: 2025-11-03 09:42:1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서울경제 2025-11-03 08:54:17 oid: 011, aid: 0004551033
기사 본문

452억 원 투입 하수도 등 정비사업 ‘2025년도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된 고색·매산배수분구. 이미지 제공 = 수원시 [서울경제] 수원 고색·매산배수분구가 ‘2025년도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3일 수원시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지정하는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은 상습 침수 피해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부 지원사업이다. 그동안 고색·매산 배수 분구(면적 0.822㎢)는 저지대 지형으로 하수관로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 집중 호우로 하천 수위가 상승하면 주택가에서 배수가 원활치 않아 침수가 빈번히 발생했다. 특히 2012년, 2020년, 2022년에는 고현초등학교 인근과 고색지하차도, 노후 주택가, 중고차매매단지 일대에서 침수가 발생해 주민 피해가 컸다. 이번 지정에 따라 수원시는 권선구 고색동 일원에 국비 270억 원과 도비 90억 원을 지원받아 총사업비 452억 원 규모의 하수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정비사업에는 하수관로 2.53㎞ 개량...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3 08:57:25 oid: 277, aid: 0005673375
기사 본문

충남도, 환경부 공모서 3개 시군 선정…2030년까지 도시침수대응사업 본격 추진 충남도청 전경 충남도가 보령시·논산시·서천군 등 3개 지역이 환경부의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에 신규 지정돼 총 1354억 원(국비 812억 원)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상습 침수 피해가 잦았던 지역의 하수관로 정비와 빗물펌프장 확충 등 도시침수 예방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충남도는 지난달 30일 환경부가 발표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신규 지정에 보령시 대천동, 논산시 취암동, 서천군 장항읍이 포함됐다고 3일 밝혔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은 상습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자체의 신청을 받아 환경부가 지정·공고하며, 지정 시 하수도 정비대책 수립에 필요한 국비(60%)가 지원된다. 이 사업에는 총 1354억 원이 투입되며, 국비 812억 원과 지방비 542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도는 오는 2030년까지 하수관로 정비, 빗물펌프장 설치, 빗물받이 정비 등 하수도 기반시설 확충을...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03 08:21:16 oid: 029, aid: 0002991025
기사 본문

시, 고색·매산 배수분구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지정 2026년 실시설계 시작, 2029년 준공 목표 고색·매산배수분구 위치도 사진=수원특례시 제공 수원시 고색·매산배수분구가 ‘2025년도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지정하는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은 상습 침수 피해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부 지원사업이다. 수원시는 이번 지정에 따라 수원시는 권선구 고색동 일원에 국비 270억 원과 도비 90억 원을 지원받아 총사업비 452억 원 규모의 하수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고색·매산 배수 분구(면적 0.822㎢)는 저지대 지형으로 하수관로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 집중 호우로 하천 수위가 상승하면, 주택가에서 배수가 원활치 않아 침수가 빈번히 발생했다. 특히 2012년, 2020년, 2022년에는 고현초등학교 인근과 고색지하차도, 노후 주택가, 중고차매매단지 일대에서 침수가 발생해 주민 불편이 컸다. 이번 정비사업에는 하수관로...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3 07:16:12 oid: 011, aid: 0004550998
기사 본문

963억원 투입 하수관로 개량 등 사업 유림1지구 사업계획평면도. 이미지 제공 = 용인시 [서울경제] 용인시는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 지역’에 용인배수분구(유림1지구·중앙지구)가 포함됐다고 3일 밝혔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올해 2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중점관리지역 지정을 요청한 32개 지역 중 침수피해 빈도와 시급성 등을 평가해 ‘유림1지구 및 중앙지구’를 포함해 17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는 총 8300여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돼 하수관로 84km 개량, 빗물펌프장 22개소 신·증설 등이 추진된다. 국비 보조율은 광역지자체 30%, 기초지자체 60%이며, 사업비 규모는 향후 설계 결과에 따라 조정된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유림1지구 및 중앙지구’의 면적은 약 1.08㎢다. 이 지역은 그동안 하수관로의 통수 능력이 부족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할 경우 내수 배제가 어려운 지역으로 손꼽혔...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