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단속 경찰, 형사처벌 '위기'[와글와글 플러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뉴스투데이] 최근 전동 킥보드 사고가 잇따르면서 경찰이 단속을 크게 강화하고 있는데요. 정작 단속 경찰관이 형사 처벌을 받을 위기에 빠졌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어찌된 일일까요? 전동 킥보드 단속에 나섰던 A 경사가 최근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됐습니다. A 경사는 지난 6월 인천 부평구에서 고등학생 B군 등 2명이 안전모도 쓰지 않은 채 킥보드를 타고 인도로 달리자 이들을 멈춰 세우려고 팔을 잡았다는데요. B군이 넘어지면서 외상성 뇌출혈과 두개골 골절 등의 부상을 입자, B군의 부모가 A 경사를 고소했습니다. 경찰은 B군 등이 단속 대상인 것은 맞지만, 교통 단속 중 운전자와 행인 등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고 판단했는데요. 직무를 수행하던 경찰관이 형사처벌 위기에 몰리자 경찰 내부에서도 자조적인 반응이 나오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단속에 모든 책임을 떠맡겨선 안 된다며, 킥보드 대여 사업자의 면허 인증과 처벌을 강화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
기사 본문
홍대·반포 ‘킥보드 없는 거리’ 효과 분석 충돌 위험 감소 77%…안전 체감 뚜렷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서울시가 지난 6개월간 전국 최초로 ‘개인형 이동장치 통행금지 도로’(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보행환경이 개선되고 충돌 위험이 줄었다고 밝혔다. 시는 효과 분석을 토대로 경찰과 통행 금지 구간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이 전동킥보드 통행을 금지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를 지정한 가운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킥보드가 놓여 있다.(사진= 김태형 기자)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킥보드 없는 거리’의 시범 운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지난 8월 18일부터 13일간 해당 지역의 만 18~60세 이상 생활인구 5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3.2%는 ‘킥보드 없는 거리’를 알고 있었다. 시범운영 기간에 보행 환경은 69.2% 개선되고 충돌 등 사고 위험은 77.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단방치가 줄었다는 응...
기사 본문
서울시, 시범운영 2곳 생활인구 조사 98.4%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하자" 경찰과 통행금지 도로 확대 등 검토 (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 16일 서울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에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날부터 홍대 레드로드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 2개 도로 구간이 '킥보드 없는 거리'로 운영된다. 통행금지 시간은 낮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로 위반 시 일반도로의 경우 범칙금 3만 원과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범칙금 6만 원과 벌점 30점이 부과된다. 2025.5.1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운영한 결과 보행환경이 개선되고 충돌 위험은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 여부에도 시민 대다수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
기사 본문
서울시, 지난 5월부터 마포구와 서초구에서 시행 킥보드 없는 거리. 연합뉴스 무분별하게 운행하는 전동 킥보드로 보행자와 충돌은 물론 차량과의 교통 사고 등 안전 위협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된 가운데 서울시가 추진한 ‘킥보드 없는 거리’가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마포구와 서초구 2개 구간에서 전국 최초로 ‘킥보드 없는 거리’를 시범 운영한 결과, 향후 보행 밀집 지역이나 안전 취약지역으로 킥보드 금지 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에는 98.4%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5월부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2개 구간이 킥보드 없는 거리(낮 12시∼오후 11시)로 시범 운영하고 있다. 시는 시범 운영 효과분석을 위해 지난 8월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만 18∼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시행 전후 변화를 묻는 항목(2개 구간 평균)에는 전동킥보드 통행량 감소(76.2%), 무단 방치 수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