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갑질119 "초과근무자 절반가량은 일한 만큼 수당 못 받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포괄임금제 등 개선해야 '런던베이글뮤지엄' 사태 재발 막아" 직장갑질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주당 52시간 넘게 일하는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실제 일한 만큼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이 단체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10월 1∼14일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설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조사에 따르면 초과근무를 한다는 응답자는 760명에 달했으며, 이 중 47.7%인 363명이 '초과 근로시간 전부를 인정한 가산임금을 못 받고 있다'고 했다. 주당 52시간을 넘겨 초과근무를 했다고 응답한 82명 중에는 55.7%가 일한 만큼 받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52시간 근무 예외 업종 종사자가 포함된다. 직장갑질119는 초과근무자 상당수가 연장, 야간, 휴일근로 수당을 미리 기본급에 포함하는 '포괄임금제'에 묶여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포...
기사 본문
주 52시간 이상 일하는 직장인 절반 이상이 실제 근무한 시간만큼 가산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러스트·김상민 주 52시간 이상 일하는 직장인 절반 이상이 실제 근무한 시간만큼 가산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월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설문 대상자 중 현재 다니는 직장에서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는 직장인은 760명(76%)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절반가량(47.7%)은 실제 일한 시간만큼 가산임금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당 52시간 넘게 일하고 있다고 답한 82명 중에는 초과근무한 시간만큼 제대로 가산임금을 받지 못했다고 답변한 사람이 55.7%(46명)에 달했다. 이는 52시간 근무 예외 업종 종사자가 포함된 수치다. 세부 집단별로 보면 30대(초과근로자 중 50.2%), 실무자급(48.7%), 중간관리자...
기사 본문
출근하는 직장인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주당 52시간을 초과해 일하는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실제 일한 만큼 임금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짜노동’을 유발하는 핵심 요인으로는 포괄임금제가 지목됐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초과근무를 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6%인 760명이었다고 2일 밝혔다. 이 가운데 47.7%에 해당하는 363명은 “초과근로시간 전부를 인정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특히 주 52시간을 넘겨 일했다고 응답한 82명 중에서는 55.7%가 “일한 시간만큼 임금을 받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직장갑질119는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을 미리 급여에 포함시키는 포괄임금제 탓에 실제 초과근로가 정당하게 보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포괄임금제 전면 금지와 사용...
기사 본문
직장갑질119 직장인 1000명 설문조사 주 52시간 초과 근로자 47.7% "가산임금 못 받아"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지난달 1일부터 14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초과근로 및 포괄임금제' 설문조사를 진행한 가운데 760명이 초과근무를 한다고 응답했다. 사진은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사거리 일대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는 모습. /박헌우 기자 주당 52시간 넘게 일하는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실제 근로 시간만큼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일부터 14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초과근로 및 포괄임금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초과근무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1000명 중에서 76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63명(47.7%)이 초과 근로시간 전부를 인정한 가산임금을 못 받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