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첫 도심형 국립공원 됐다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개
수집 시간: 2025-11-03 05:40:3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부산일보 2025-11-02 18:34:22 oid: 082, aid: 0001351712
기사 본문

부산 시민 염원 20년 만에 결실 기후부, 24번째 국립공원 지정 도심 한복판 생태·교육·문화허브 연간 탐방객 400만 명 이상 기대 금정산이 지난달 31일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 최종 심의를 통과해 전국 24번째이자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2일 오후 부산 금정산 고당봉 일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시민의 20년 염원이었던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마침내 결실을 맺었다. 금정산국립공원은 24번째 국립공원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이 됐다. 2일 기후에너지환경부와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결정안’이 의결됐다. 금정산국립공원에는 금정산과 함께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까지 포함됐다. 총면적은 66.859㎢로 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보호지역이 아닌 곳이 새롭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다. 금정산은 강원 태백산에서 부산 낙동강 하구로 이어지는 국가 ...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1-02 18:28:11 oid: 082, aid: 0001351705
기사 본문

부산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의미·과제 국립공원의 새로운 모델 탄생 관리 주체 국립공원공단 일원화 탐방로 정비·생태복원 추진 원활 연간 약 3200억 경제 효과 기대 관광 수익은 지역사회 환류 계획 환경단체도 일제히 환영 입장 난개발 경계, 철저한 관리 필요 부산연구원이 국립공원공단의 의뢰를 받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경제적 가치는 연간 3152억 9000만 원으로 추산됐다. 휴일인 2일 많은 등산객들이 금정산 고당봉이 보이는 북문 광장을 지나가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생태 보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는 ‘도심형 국립공원’의 새로운 모델이 탄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역사회는 이번 결정을 부산 시민 20년 염원의 결실이라며 환영하는 한편, 난개발을 경계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 구축도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첫 도심형 국립공원 금정산국립공원은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2 19:20:16 oid: 014, aid: 0005428331
기사 본문

총면적 67㎢의 78%가 부산 속해 생태·문화자원 탁월 보존가치 높아 도심 위치해 탐방객수도 전국 5위 지난달 31일 오후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이 주재한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금정산은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금정산 자락을 따라 자리한 금정산성 금정구청 제공 부산 금정산이 마침내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평가되는 금정산은 향후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부산'이라는 도시 이미지를 국내외에 각인시키며, 부산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이 주재한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금정산은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강원 태백산에서 부산 낙동강 하구로 이어지는 낙동정맥의 끝자락인 금정산은 자연, 역사·문화,...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1-02 20:08:23 oid: 658, aid: 0000124698
기사 본문

금정산 국립공원 됐다 - 면적의 79% 사유지… 갈등 소지 - 부산시 “세제 혜택” 지주 설득 - 생태계 조사·보존 등 계획 추진 부산의 숙원이던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이 확정된 가운데 과거 시민사회의 지정 논의를 불씨로 20년간 시민과 관계기관의 노력이 다시금 주목받는다. 시민사회는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 자연생태계 보전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다만, 자연·문화경관의 보존과 더불어 과거 꾸준히 제기된 사유 재산권 침범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다. 부산의 진산 금정산이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를 시작한 지 20년 만에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사진은 2일 금정산 일대 전경. 전민철 기자 jmc@kookje.co.kr ▮공원 지정까지 시민사회 큰 역할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금정산은 생태계의 보고다. 2일 부산시에 따르면 금정산국립공원 타당성 조사 결과 총 1782종의 생물이 금정산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달 등 멸종위기종 14종도 포함됐다. 자연·문...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