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제재에도 아랑곳 않고 반복되는 5·18 역사 왜곡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북한군 개입 주장 지만원씨 패소에도 왜곡 서적 출판·해외 유통까지 전문가 "수익 구조화된 왜곡, 강력한 처벌 체계로 근절해야" 항소심도 "전두환 회고록, 5·18 왜곡"…5월 단체 사죄 촉구 (CG) [연합뉴스TV 제공]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5·18민주화운동을 둘러싼 허위 주장과 역사 왜곡 시도가 수십 년째 이어지고 있다. 법원의 판결로 일부 왜곡 서적의 배포가 금지되고 명예훼손이 인정되는 등 사법적 제재가 이뤄졌지만, 왜곡 콘텐츠는 여전히 재생산되고 있어 근본적 대책이 요구된다. 최근 5·18민주화운동에 북한 특수군이 개입했다는 허위 주장을 담은 책을 낸 지만원(83) 씨가 항쟁 당사자와 오월 단체 등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항소심에서 패소했다. 지씨는 2000년대 초반부터 5·18 북한군 개입설을 확산해왔으며 여러 건의 손해배상 소송에서도 잇달아 패소 판결을 받았다. 일부 저서는 법원의 명령으로 배포가 금지됐지만 그는 명예훼손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아 수감된...
기사 본문
5·18기념재단·민언련 작년 12월부터 분석 7934건 중 6536건은 모니터링 요원 신고 “포털 자동화 필터 왜곡 표현 못 걸러 내” 오는 5일 국회서 토론회, 포털 대응 촉구 5·18기념재단과 민주언론시민연합은 ‘5·18 언론 포털 모니터링 및 정책대안 연구결과 발표·토론회’를 오는 5일 국회에서 개최한다.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한 뉴스에 달린 왜곡·폄훼 댓글 10건 중 8건은 이를 본 사람들의 직접 신고로 삭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의 자체 규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2일 5·18기념재단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의 분석 결과를 보면 2024년 12월부터 지난 9월까지 5·18관련 뉴스에 왜곡과 폄훼·혐오 표현의 댓글을 썼다가 신고된 7934건 중 6536건(82.38%)은 모니터요원의 직접 신고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5·18재단과 민언련은 네이버 뉴스 구독자 400만명 이상의 언론사 27곳에서 작성한 5·18관련 뉴스 댓글을 모니터해 왜곡과...
기사 본문
▲ KBC 광주방송의 '5·18 민주화운동' 왜곡 관련 보도 5·18민주화운동 관련 뉴스 기사에 왜곡·폄훼 댓글이 잇따랐지만, 포털의 자율 규제는 유명무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채영길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팀과 민주언론시민연합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까지 27개 언론사 네이버 뉴스 댓글을 분석한 결과 7,934건의 5·18 왜곡·폄훼성 댓글이 신고됐습니다. 이 중 클린봇 자동 필터링은 673건(8.48%), 작성자 자진 삭제 669건(8.43%), 명예훼손 등 게시 중단 46건(0.58%), 운영규정 미준수 삭제 10건(0.13%)에 그쳤습니다. 나머지 6,536건(82.38%)은 모두 수동 신고로 삭제됐습니다. 플랫폼의 자율 규제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습니다. 댓글 유형은 지역 혐오 2,967건(37.40%), 가짜유공자 색출 주장 1,640건(20.67%), 이념 비난 860건(10.84%), 5·...
기사 본문
'지역 혐오' 가장 많아…"플랫폼 책임 강화 필요" 5·18 기념재단 [5·18 기념재단 제공]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5·18민주화운동 관련 뉴스 기사에 달린 왜곡·폄훼 댓글 대부분이 이용자 신고에 의존해 삭제되는 등 포털의 규제 시스템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5·18기념재단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까지 27개 언론사 네이버 뉴스 댓글을 분석한 결과 5·18 왜곡·폄훼성 댓글(신고 대상)은 총 7천93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클린봇 자동 필터링은 673건(8.48%), 작성자 자진 삭제 669건(8.43%), 명예훼손 등 게시 중단 46건(0.58%), 운영규정 미준수 삭제 10건(0.13%)에 그쳤다. 나머지 6천536건(82.38%)은 모두 수동 신고에 따른 조치로 플랫폼의 자동 규제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댓글 유형별로는 '지역혐오' 2천967건(37.4%)과 '가짜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