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공백에 ‘서울 쏠림’은 여전…환자 10명 중 4명 원정 진료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4개
수집 시간: 2025-11-02 20:01:4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겨레 2025-11-02 12:28:08 oid: 028, aid: 0002774170
기사 본문

연합뉴스 지난해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10명 중 4명은 다른 지역에서 온 환자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면서 서울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의료 공백이 발생했는데도 서울 쏠림 현상이 그대로 유지된 것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일 발표한 ‘2024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를 보면, 지난 한 해 서울 지역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사람은 모두 1503만3620명이다. 이가운데 623만4923명(41.5%)은 다른 지역에서 온 환자였다. 이들이 서울 의료기관에서 쓴 진료비는 약 10조8055억원이다. 세종(38.3%), 대전(34.8%), 광주(34.6%)도 타 지역 환자 비율이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견줘 높았다. 이처럼 다른 지역에서 서울로 원정 진료를 오는 비율은 2022년 이후 계속 40%대를 웃돌고 있다. 이는 상급종합병원 47곳 중 14곳(29.8%·2024년 기준)이 서울에 있는 등 의료 자원의 편중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

전체 기사 읽기

농민신문 2025-11-02 18:39:10 oid: 662, aid: 0000081112
기사 본문

지역주민 중 중증질환자 의료공백 심화 원정 진료비만 약 11조…서울 빅5병원 쏠려 전남·경북 주민 10명 중 3.5명 서울행 “지역 거점 병원 정책·재정적 지원 필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일 공개한 ‘2024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전체 환자 1503만명 중 41.5%에 달하는 약 624만명이 다른 지역에서 온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전남 여수의 정모(70)씨는 서울에 있는 병원에서 암 진료를 받은 지 10년이 되어간다. 지역에는 마땅한 병원이 없고 후유증이 무섭기 때문이다. 매주 KTX 비용도 부담되지만, 지역엔 마땅한 병원이 없는 게 현실이다. 정씨의 사례는 비단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다. 중증질환이 발생했을 때 믿고 치료받을 의료 기반이 지역에서부터 무너지면서 수많은 농어촌 주민이 살기 위해 서울로 가는 기차나 버스에 몸을 싣고 서울로 ‘원정 진료’를 떠나고 있다. 농촌...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2 17:12:15 oid: 020, aid: 0003671452
기사 본문

전남 고흥군에 사는 박모 씨(84)는 지난해 무릎과 허리 통증이 지속되자 지역 병원 대신 서울의 한 병원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았다. 박 씨의 아들은 “지역에 믿을만한 병원이 없기도 하고 무릎 수술을 잘못 받으면 후유증이 심하다는 얘기를 들어 서울로 갔다”며 “이웃들 사이에서도 ‘아프면 무조건 서울로 올라가야 한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서울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10명 중 4명은 서울로 ‘원정 진료’를 온 서울 외 지역 거주자로 나타났다. 병원과 인력이 서울에 편중된 데다, KTX 등 교통 여건이 좋아지면서 병원도 환자도 갈수록 서울로 몰리고 있다. 서울 원정진료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지역 병원 치료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서울 병원 환자 ‘10명 중 4명’ 원정진료 환자 2일 건보공단이 공개한 의료 이용 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사람은 1503만3620명으로 이 중 41.5%인 623만5000명은 다른 지역에서 온 환자...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2 15:18:33 oid: 025, aid: 0003479755
기사 본문

방문진료가 필요한 환자가 50만~150만 명에 달하지만 최근 5년간 3만여명만 방문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재택 암 환자는 병원에 갈 때보다 5배 많은 진료비를 부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셔터스톡 이충형 대한의사협회 재택의료특별위원회 간사(서울봄연합의원 대표원장)는 2일 대한재택의료학회 추계심포지엄에서 현행 방문진료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원장은 암 환자(9만명), 장기요양 중증 환자(1~3급), 요양시설 거주자 등 여섯 가지 형태의 환자를 방문진료 대상으로 분류했다. 이런 인구가 적게는 50만명, 많게는 15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의사 방문진료를 받은 환자는 매우 적다. 2019년 12월~2024년 6월 약 5년간 동네의원(한의원 포함)의 방문진료를 받은 환자는 3만 1878명이다. 또 동네의원 3만 6502곳 중 987곳이 방문진료를 하겠다고 신청했고, 이 중 303곳만 실제로 진료했다. 이 원장은 "6개월 치 방문진료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응...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