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배용 “MBN 업무정지 해소, 김건희에 얘기해뒀다”···청탁 전달 정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주진우 시사인 편집위원이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공한 김 여사의 사진. 김건희 여사가 경회루 2층으로 추정되는 한옥 건물에서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과 함께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양문석 의원실 제공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매경미디어그룹 장대환 회장의 배우자 정모씨로부터 받은 ‘MBN 업무정지 해결’ 청탁을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한 정황이 확인됐다. 김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 전 위원장과 정씨가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 전후로 김 여사와 만남을 이어가면서 서로 청탁 내용을 전달해 준 것이 아닌지 의심해 수사하고 있다. 다만 이 청탁들의 실행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31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 전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시기 정씨에게 ‘MBN 업무정지 처분을 해소해달라고 김 여사에게 전달해뒀다’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이 전 위원장이 정씨를 대신해 김 여사에게 정씨의 청탁을 전달한 뒤 정씨에게 확인용 문자를 보내둔 것으로 의...
기사 본문
사진=뉴스1 김건희 여사가 각종 인사 청탁을 받은 정황이 특검 수사를 통해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의 공직 인사 과정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달 29일 김 여사의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 공판에서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20대 대선 직후 대통령실 채용 청탁 명단을 전달한 증거를 공개했다. 명단에는 윤 전 대통령 캠프에서 활동한 8명의 이름과 희망 직책이 포함돼 있었으며, 이 중 2명은 실제 대통령실에서 근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다른 인사는 대통령실에 가지 못했지만 그해 9월 총영사로 임명됐다. 특검은 이러한 인사 청탁이 김 여사 측에 전달됐다고 보고 있으며, 김 여사가 공직 임용에 직접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헌법상 영부인은 공적 권한이 없는 민간인 신분으로, 인사 개입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위법성 논란이 불가피하다. 특검은 또 김 여사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경찰 인사 청탁이 이뤄진 정황도 포착했다. 지난 7월...
기사 본문
특검, 매관매직 의혹 서희건설·김상민·이배용 등 수사 주력 뇌물 등 적용가능할지는 미지수…尹조사로 공모관계 밝혀야 서울중앙지법 나서는 김건희 여사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1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청사를 나서고 있다. 2025.8.12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김건희 여사가 각종 인사 청탁을 받은 정황이 특검 수사로 속속 드러나면서 그가 윤석열 정부의 공직 임용에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짙어지는 흐름이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달 29일 김 여사의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 공판에서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20대 대선 직후 8명의 대통령실 채용을 청탁한 증거를 공개했다. 제시된 명단에는 윤 전 대통령의 대선 캠프 내 네트워크본부에서 일한 8명의 신원과 대통령실 채용 시 희망 직책이 담겼다. 이 가운데 2명이 실제 대통령실에서 근무한 것으로 확인됐...
기사 본문
◇김건희 여사(사진 좌측)와 '건진법사' 전성배 씨.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 각종 인사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특검 수사로 이 같은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김 여사의 인사 개입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김 여사와 관련된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달 29일 김 여사의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 공판에서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20대 대선 직후 8명의 대통령실 채용을 청탁한 증거를 공개했다. 제시된 명단에는 윤 전 대통령의 대선 캠프 내 네트워크본부에서 일한 8명의 신원과 대통령실 채용 시 희망 직책이 담겼다. 이 가운데 2명이 실제 대통령실에서 근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 인사비서관을 희망했던 인물은 대통령실에 가지는 못했으나 그해 9월 총영사로 발령 났다. 특검팀은 이 같은 청탁이 김 여사 측에 실제로 전달됐다고 보고, 채용에 그가 직접 관여했을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영부인은 헌법·법률상 권한이나 책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