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안 갚으면 나체사진 유포 협박…경찰, 불법사금융 특별 단속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경찰이 내년 10월까지 전국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추진해 총 3251건·4004명을 검거했다고 2일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동대문경찰서는 지난 2022∼2023년 저신용자 대상으로 소액을 연 3476∼2만3654% 고리로 빌려준 뒤 상환하지 않을 경우 담보로 받은 나체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하는 등 179명으로부터 총 11억6000만원을 빼돌린 혐의로 34명(구속 6명)을 붙잡았다.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용불량자 대출 가능’이라고 광고해 급전이 필요한 이들 대상으로 유인하고 가족·지인 연락처 등을 담보로 초단기·고금리 대출 후 연체 시 가족·지인들을 협박한 혐의를 받는 조직원 32명(구속 11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불법사금융 범인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적극 이용하는 등 범행수법이 비대면·온라인으로 변화해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새로 ...
기사 본문
경찰, 내년 10월까지 전국 단위 특별단속 국가수사본부 전경. 박시몬 기자 경찰이 최근 1년간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으로 4,000명 넘는 피의자를 검거했다고 밝혔다. 고삐 풀린 불법 사금융에 대응하려 특별단속을 내년 10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올해 10월까지 특별 단속으로 3,251건을 적발해 4,004명을 검거했다고 2일 밝혔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검거 건수는 71%, 검거인원은 20% 증가했다. 범행 수위도 심각해지고 있다. 동대문경찰서는 연 이율 3,000% 고리를 요구하며 갚지 않을 시 담보로 받은 나체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한 일당 45명을 올해 5월 검거했다. 이들은 179명에게 11억6,000만 원을 뜯어낸 혐의를 받고 있으며, 이중 6명은 구속됐다. 불법 사금융 업계가 단속을 비웃기라도 하듯 온라인·비대면 영업 확대 등으로 고수익을 올리자 경찰은 2026년 10월까지 '전국 단위 불법 사금융 특별 단속'을 실시하기로 했다. 단속...
기사 본문
경찰이 급증하는 불법사금융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10월까지 전국 단위 특별단속에 나선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오는 3일부터 내년 10월 31일까지 전국 시·도청과 경찰서 지능팀을 중심으로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11월부터 올 10월까지 적발된 불법사금융 범죄는 3천251건, 검거 인원은 4천4명에 달한다. 전년 동기에 비해 검거 건수는 71%, 검거 인원은 20% 증가한 수치다. 이에 경찰은 시·도청 직접수사부서와 경찰서 지능팀을 중심으로 전담수사체계를 구축하고 미등록 영업, 고리사채, 불법채권추심, 불법대출, 정부·금융기금융기관 사칭 광고 등 신·변종 수법을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또 불법사금융이 이용된 전화번호는 통신사에 이용중지를 요청해 추가 범행을 차단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불법사금융으로 얻은 범죄수익금에 대해서는 기소 전 몰수보전 신청을 적극 추진하고, 악질적 조직 검거에는 특진 등 인센티브를 부여해 단속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설...
기사 본문
국가수사본부 (사진출처: 뉴스1) 지난 1년간 경찰에 적발된 불법사금융 피의자가 4천 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0월까지 불법사금융 3천 251건을 적발해 4천 4명을 검거했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전년도 동기간 대비 검거건수는 71%, 검거인원은 20%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들은 급한 돈이 필요하다고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초단기·고금리 대출을 해주겠다고 하고, 갚지 못하면 가족이나 지인을 협박하는 방식으로 범행했습니다. 이 중에는 연이율 최고 2만 3천%대로 돈을 빌려준 뒤 갚지 않자 담보로 받은 알몸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해 179명에게 총 11억 6천만 원을 뜯어낸 일당도 있습니다. 경찰은 내일부터 내년 10월 31일까지 특별단속을 이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불법채권추심·고리사채·미등록영업·대포폰 및 대포통장 유통 등이 단속 대상입니다. 경찰은 시·도청 수사부서와 경찰서 지능팀을 위주로 불법사금융에 대응하는 전담수사체계를 구축할...
기사 본문
내년 10월까지 1년간 특별단속 실시 연장 불법사금융 범행 수법이 비대면·온라인으로 진화하면서 피해는 계속되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2769건의 불법사금융 피해가 발생했으나 올해는 4663건으로 무려 68%가량 증가했다.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불법사금융 피해가 나날이 계속되고 있다. 경찰의 검거 실적이 늘어도 돈이 절박한 사람들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는 불법사금융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경찰은 올해도 칼을 빼 들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024년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벌여 총 3251건·4004명을 검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검거 건수는 71%, 검거 인원은 20% 늘어난 실적이다. 하지만 불법사금융 범행 수법이 비대면·온라인으로 진화하면서 피해는 계속되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2769건의 불법사금융 피해가 발생했으나 올해는 4663건으로 무려 68%가량 증가했다. 실제 단속 사례를 보면 불법사금융은 단순한 ...
기사 본문
경찰청.(뉴스1 DB) 경찰이 최근 1년간 불법 사채를 특별단속해 4000명이 넘는 피의자를 잡아들였다. 이중엔 연이율 2만 % 이상의 초고금리를 요구하며 담보로 받은 나체사진을 퍼뜨리겠다고 협박한 일당도 있었다. 2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불법 사채 특별단속을 통해 총 3251건을 적발하고 관련 피의자 4004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직전 1년간(2023년 11월~지난해 10월) 적발한 1901건, 3330명에 비해 검거 건수는 71%, 인원은 20% 증가한 수치다. 이번에 검거된 불법 사채 사례에는 저신용자 179명에게 낮게는 연이율 3476%에서 높게는 최대 2만3654%의 초고금리로 돈을 빌려준 뒤 ‘갚지 않으면 나체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해 11억6000만 원을 취득한 일당도 있었다. 연이율 2만3654%로 100만 원을 빌리면 1년 뒤 원리금으로 2억3754만 원을 갚아야 한다. 현행 법정 최고금리는 연이율 20%다. 서울 동대문...
기사 본문
지난 1년간 3251건·4004명 검거…전년比 71%↑ 고리사채·사칭광고·대포폰 등 신종 수법 수사 강화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18일 서울시내 한 거리에 사금융 광고 전단이 널려있다.서민금융연구원이 발표한 '저신용자 및 우수대부업체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부업체에서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이동한 저신용자가 최대 9만1천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2024.06.18. kgb@newsis.com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경찰이 급증하는 불법사금융 범죄에 대응해 내년 10월까지 전국 단위 특별단속에 나선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오는 3일부터 내년 10월 31일까지 전국 시·도청과 경찰서 지능팀을 중심으로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불법사금융 검거는 3251건, 4004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71%, 20% 증가했지만, 비대면·온라인 수법으로 피해가 여전히 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경찰청에 따르...
기사 본문
전년대비 검거건수 71% 늘어…3일부터 1년간 특별단속 재개 악질적인 범죄행위 및 대포폰·대포통장 중점 단속 예정 ⓒ News1 DB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경찰이 지난 1년간 불법사금융 특별 단속을 벌인 결과 4000명이 넘는 피의자를 검거했다. 검거 사례 중에는 나체사진을 담보로 받아 연이율 2만%가 넘는 초고금리의 이자를 뜯어낸 사건도 있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실시한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통해 3241건(4004명)을 적발했다고 2일 밝혔다. 전년 대비 검거 건수는 71%, 검거 인원은 20% 늘어난 수치다. 주요 검거 사례들을 보면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지난 9월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을 유인한 뒤 가족·지인들의 연락처를 담보로 초단기·고금리 대출을 해주고 연체 시 가족과 지인을 협박한 조직원 32명을 검거해 11명을 구속했다. 서울 동대문경찰서는 지난 5월 저신용자들에게 최대 연이자 2만3654%의 초고금리로 대출을 해준 뒤 ...
기사 본문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연합뉴스] 지난 5월 연이율 3000% 이상의 이자를 요구하며 피해자 179명으로부터 약 11억6000만원을 뜯어낸 일당 34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이들은 돈을 빌려줄 때 나체 사진을 담보로 받은 뒤 피해자들이 돈을 제때 갚지 못하는 경우 나체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했다. 2일 경찰은 지난 1년간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통해 4000명이 넘는 피의자를 검거했다고 밝혔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3251건을 적발해 4004명을 검거했다. 전년 동기 대비 검거 건수는 71%, 검거 인원은 20% 증가했다. 불법사금융은 급전이 필요한 이들의 목줄을 쥐는 방식으로 사회 곳곳에 뿌리내리고 있다. 지난 9월 경찰에 붙잡힌 조직원 32명은 초단기·고금리로 돈을 빌려준 뒤 연체 시 피해자의 가족과 지인들을 협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2020년부터 ‘신용불량자 대출 가능’이라고 광고하며 사람들을 유인한 뒤 가족·지인의 연락처 등을 담보로 ...
기사 본문
올해 1~10월 4663건 피해 발생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8% 증가 범죄수익금, 기소 전 몰수보전 추진 [서울경제]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총 4663건의 불법사금융 피해가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2769건) 대비 7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이달 3일부터 내년 10월 31일까지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통해 강도 높은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경찰청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통해 총 3251건, 4004명을 검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검거 건수는 71% 인원은 20% 증가했다. 올해는 1월부터 10월까지 총 4663건의 피해가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2769건) 대비 68% 늘었다. 경찰의 특별 단속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갈아타기 유혹, 급전 필요 피해자를 겨냥한 앱 대출 광고 등이 끊이지 않으며 불법사금융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경찰은 각 시·도청 직접수사부서 및 경찰서 지능팀을 위주로 ...
기사 본문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사진=뉴스1. 경찰이 앞으로 1년간 불법 사금융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급증하는 불법사금융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1년간 전국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단속 기간은 오는 3일부터 다음해 10월31일까지다. 경찰은 2022년 11월 불법 사금융 특별단속을 최초로 실시한 후 단속을 연장해왔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는 특별단속을 통해 불법사금융 범죄 3251건과 범죄자 4004명을 검거했다.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71%, 20% 증가한 수치다. 경찰은 소셜미디어 등 비대면·온라인으로 변화하는 불법 사금융 범행수법에 대응하고자 특별단속을 결정했다. 우선 시·도청 직접수사부서 및 경찰서 지능팀을 중심으로 불법사금융에 총력 대응하는 전담수사체계를 구축한다. 또 △미등록 영업 △고리사채 △불법채권추심 등 범죄행위 및 대포폰·통장, 개인정보 등 범행수단을 중점적으로 단속한다. 7월부터 시행된 개정 대부업법을 반영해 △정부·...
기사 본문
전년보다 검거 건수 71%·인원 20% ↑ 불법사금융 전담수사체계 구축해 대응 범죄수익금 철저 추적해 기소전몰수보전 신청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불법사금융 특별단속을 추진해 총 3251건·4004명을 검거했다고 2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검거 건수는 71%, 검거 인원은 20% 증가한 수치다. 경찰 (사진=연합뉴스) 경찰은 지속적인 단속에도 피해가 계속된다고 판단, 내년 10월까지 1년간 특별단속을 실시할 계획이다. 경찰은 시·도청 직접수사부서·경찰서 지능팀을 위주로 불법사금융에 총력 대응하는 전담수사체계를 구축한다. 또 미등록 영업, 고리사채, 불법채권추심 등 악질적인 범죄행위 및 대포폰·통장, 개인정보 등 범행수단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단속한다. 아울러 지난해 7월22일부터 시행된 개정된 대부업법 내용을 반영한다. △정부·금융기관 오인하는 표현을 사용한 광고 △대부과정에서 취득한 개인정보를 용도 외 목적으로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