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전~회덕분기 호남고속도로지선 4→6차선 확장공사' 예타 통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대전=뉴시스]서대전~회덕분기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공사 위치도. 2025. 11. 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시는 1일 대전의 숙원 사업인 '호남고속도로지선 확장 사업'이 지난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비타당성조사 심의 결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3522억 원 규모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구간(총 18.6㎞)을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사업기간은 약 8년이다. 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 구간을 '충청·호남을 잇는 병목지점'으로 지목하며 확장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하고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통과를 위해 한국도로공사와 적극적으로 협조해 왔다. 이번 예타 통과에 따라 2026년 상반기부터 한국도로공사가 타당성 조사, 기본 및 실시설계 등 본격적인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시는 설계 단계부터 정체 구간과 위험 구간을...
기사 본문
총사업비 6조 4000억원 (대구 구간 5.4km) 대구광역시는 ‘무주–대구 고속도로’가 31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으로 확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예타 대상 선정으로 대구시는 국가균형성장 핵심 정책인 ‘5극3특’ 전략과 보조를 맞추며,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주–대구 고속도로’는 전북 무주-경북 성주-대구를 잇는 국가도로망 동서 3축(새만금-무주-대구-포항)의 핵심 구간으로, 총 연장 84.1km에 총사업비 6조 4000억 원이 투입된다. 이 중 대구 구간은 5.4km(추정 4100억 원)이며, 시는 ‘하빈IC(가칭)’ 신설을 통해 사업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특히 하빈IC는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지와 직접 연결돼 물류 차량의 도심 진입을 최소화하고, 교통혼잡 완화와 물류 효율성 강화, 주변 상권 활성화 등 다각도의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이를 통해 대구시는 서부권 신도시 개발 및 산업단지 조성과...
기사 본문
무주~대구 고속도로 위치도(안). 전북도 제공 영호남 초광역 상생협력의 핵심이 될 동서축 도로 건설이 본격화된다. 전북도는 ‘무주~대구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지난달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 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전북과 경북, 대구는 전주에서 대구로 이어지는 국가간선도로망 동서 3축 조성을 추진 중이다. 영호남 간 교통망을 직결함으로써 지역 간 교류 활성화와 물류 효율성 제고는 물론, 국가 균형발전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궁극적으로 새만금에서 포항에 이르는 도로망 구축이 목적이다. 대구∼포항 구간은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이다. 새만금∼전주 구간은 올해 개통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무주~성주~대구를 연결하는 도로만 단절돼 있다. 낮은 교통수요 등으로 타당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현재 전주에서 대구까지 가려면 함양까지 내려간 뒤 광주-대구 고속도로를 타고 다시 올라가야 한다. 직통 도로가 완성되면 1시간가량 단축할 ...
기사 본문
동서 3축 연결, 영호남 연계 교통망 본격화 예타 통과 시 새만금∼포항 축 완성 속도 전망 초광역 상생협력 결실로 사업화 첫 관문 통과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건설 위치도 및 조감도. 전북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는 ‘무주~대구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무주~성주~대구의 구간 단절로 지연됐던 동서 3축(새만금~포항)의 고속도로망 구축이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영호남 연계 교통망의 마지막 연결 구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선정으로 경제성 부족 등으로 장기간 답보 상태였던 사업 추진에도 동력이 생겼다. 무주~대구 고속도로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영호남 상생축 구축과 태권도원 중심 관광 활성화 등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특히 개통 예정인 ‘새만금~전주 고속도로’와 연결되면 전북권의 동서 교통축이 완성돼 물류 흐름 개선과 산업 확장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