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암환자 1.9만명…"학업·결혼 앞둔 세대, 다학제 접근해야"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1-02 10:30:3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연합뉴스 2025-11-02 10:00:01 oid: 001, aid: 0015718851
기사 본문

서울아산병원, 젊은 암 심포지엄…갑상선암 제외시 대장·유방암 1∼2위 "젊은 때 발생한 암 세포, 고령층에서보다 더 공격적"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2025년 젊은 암 심포지엄 [서울아산병원 제공]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2만여명에 가까운 국내 20∼30대 젊은 암 환자들은 학업과 결혼, 출산 등 여러 문제를 한꺼번에 겪는 만큼 의료의 여러 분야에 걸쳐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의 김희정(유방외과) 암교육정보센터 책임교수는 전날 병원이 개최한 '젊은 암 심포지엄'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김 교수는 "젊은 암 환자들은 학업이나 복직, 결혼·임신 등 삶의 다양한 문제를 겪으므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그럼으로써 환자들이 치료를 넘어 '나답게 살아가는 법'을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암정보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현재 국내 20∼39세 암 환자는 모두 1만9천575명이다. 같은 해 기준 15∼34세의 암 조...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1-02 10:01:09 oid: 366, aid: 0001119458
기사 본문

“젊은 암 환자의 치료는 단순히 생존을 목표로 하는 것을 넘어 학업·복직·결혼·임신 등 사회로의 원활한 복귀를 지원하는 것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종양내과, 생식의학, 정신건강의학, 재활의학 등 다양한 전문과가 협력하는 다학제 진료 체계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은 11월 1일 서울 송파구 병원 교육연구관에서 ‘젊은 암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젊은 암 환자의 맞춤형 치료 방안과 심리·사회적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서울아산병원이 20~30대 암 환자 증가에 대응해 젊은 환자를 위한 다학제 진료와 통합 지원을 확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의료진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암을 진단받은 국내 20~39세 환자가 한 해 1만 9천여 명에 달할 만큼 젊은 암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2022년 기준). 갑상선암을 제외한 15~34세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대장암과 유방암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전체 기사 읽기

강원도민일보 2025-11-02 10:12:14 oid: 654, aid: 0000149162
기사 본문

서울아산병원, 젊은 암 심포지엄…다학제적 접근 강조 "젊은 때 발생한 암 세포, 고령층에서보다 더 공격적" ▲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2025년 젊은 암 심포지엄 [서울아산병원 제공] 20∼30대 젊은 암 환자가 약 2만명에 이르는 가운데, 학업·결혼·출산 등 다양한 문제를 한꺼번에 겪는 만큼 의료 전반에 걸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김희정 암교육정보센터 책임교수(유방외과)는 전날 병원이 개최한 '젊은 암 심포지엄'에서 "젊은 암 환자들은 학업이나 복직, 결혼·임신 등 삶의 다양한 문제를 겪기 때문에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환자들이 단순히 생존을 넘어 '나답게 살아가는 법'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20∼39세 암 환자는 1만9575명에 달했다. 같은 해 15∼34세의 암 조발생률은 10만명당 95.1명이었으며,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대장암이 1위, 유방암이 2...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1 14:28:11 oid: 018, aid: 0006153605
기사 본문

음주·흡연으로 젊은 구강암 지속 증가 세심한 관찰과 조기 검진이 최선의 예방법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입안에 생긴 상처나 염증이 잘 낫지 않아 구내염이 오래 간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염증이 3주 이상 낫지 않는다면 단순 염증이 아닌 구강암의 초기 신호일 수도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구강암은 치료가 쉽지 않은 질환으로, 치료를 받더라도 말하기, 씹기, 삼키기 등 구강기능에 영향을 주는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이영찬 교수의 도움말로 단순 구내염과 구강암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 흡연, 음주 시 구강암 발생 위험 증가 구강암은 강 내 입술, 협부(볼), 혀, 입안 바닥, 잇몸, 경구개(입천장)에 발생하는 암이다. 흔하지는 않지만 치료 후 말을 하거나 음식을 삼키기 어려울 수 있고, 얼굴 외관이 변형되는 등 후유증이 커 치명적인 질환으로 꼽힌다.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흡연과 음주가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1 14:35:58 oid: 025, aid: 0003479682
기사 본문

11월 ‘폐암 인식 증진의 달’ 초기 증상 없어 방치, 말기 진단 많아 환자 70%는 수술 못하고 항암치료 금연하고 정기 검진으로 예방해야 초기 증상이 거의 없는 폐암은 흉부 X선 검사와 저선량 흉부 CT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숨 쉬는 일은 너무도 자연스럽다. 그런데 폐에 악성종양이 생기면 이 단순한 생명 활동도 위협을 받게 된다. 폐암은 특별한 증상 없이 조용히 자라다 손쓰기 어려울 때 비로소 모습을 드러낸다. 기침이 오래 간다 싶어 병원을 찾았더니 폐암 말기를 진단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상당수는 수술이 어려울 정도로 진행된 상태에서 암을 발견한다. 폐암은 국내 암 사망률 1위다. 국가암등록통계(2018~2022)에 따르면 폐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은 41% 정도다. 전이가 없는 조기 폐암일 경우 80%까지 올라간다. 조기에만 발견하면 충분히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애매한 증상이라도 방치하지 말고 조기 진단을 위해 적극적으로 검진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02 10:36:23 oid: 029, aid: 0002990870
기사 본문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2025년 젊은 암 심포지엄 [서울아산병원 제공] 국내 20∼30대 젊은 암 환자들이 2만여명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학업과 결혼, 출산 등 여러 문제를 한꺼번에 겪는 만큼 의료의 여러 분야에 걸쳐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의 김희정(유방외과) 암교육정보센터 책임교수는 전날 병원이 개최한 ‘젊은 암 심포지엄’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국가암정보센터 등에 따르면 2022년 현재 국내 20∼39세 암 환자는 모두 1만9575명이다. 김 교수는 “젊은 암 환자들은 학업이나 복직, 결혼·임신 등 삶의 다양한 문제를 겪으므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그럼으로써 환자들이 치료를 넘어 ‘나답게 살아가는 법’을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해 기준 15∼34세의 암 조발생률은 10만명당 95.1명으로 나타났다. 갑상선암을 제외했을 때 이 연령대의 암 발병률 1위는 대장암, 2위는 유방암이다. 특히 유방암의 경우...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01 01:01:10 oid: 023, aid: 0003938272
기사 본문

서구화된 식습관 탓 대장암 늘어 지난해 국내 대장암 진료 환자 수가 위암 환자 수를 추월했다. 점점 더 서구화되고 있는 국민들의 식습관이 영향을 준 것이란 지적이다. 3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4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병원에서 진료받은 6대 주요 암 환자 중 유방암 환자가 인구 10만명당 52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장암(320명), 위암(314명), 폐암(263명), 간암(159명), 자궁경부암(98명) 순으로 집계됐다. 2023년만 해도 유방암(495명) 다음은 위암(319명), 대장암(317명) 순이었는데 2·3위 순위가 바뀐 것이다. 2006년부터 집계를 시작한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 연보’에서 줄곧 위암이 대장암보다 많았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뒤바뀐 것이다. 이우용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은 “맵고 짠 음식은 점점 적게 먹어 위암은 줄어든 반면 식습관은 서구화돼 대장암이 늘고 있다”고 했다. 정일용 서울아산병원 유방외과 교수는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1 10:32:29 oid: 277, aid: 0005673011
기사 본문

서울·강원 등 암 종류별 집중 지역 달라 식습관 서구화 ·인구 구조 변화 영향 국내의 암 발생 양상이 지역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4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사진은 해당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 없음. 픽사베이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의료보장 적용 인구 10만명당 유방암 환자가 52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장암 320명, 폐암 263명, 간암 159명, 자궁경부암 98명 순이었다. 특히 대장암 환자는 이번에 처음으로 위암 환자 수를 추월했다. 과거 한국에서 흔했던 위암은 짜고 맵게 먹는 식습관이 완화되고 내시경 검진이 보편화하면서 감소했지만, 대장암과 유방암은 서구화된 식단과 비혼·만혼 증가, 체중 증가 등 생활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암 종류별로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도 차이를 보였다. 위암은 경북, 폐암과 간암은 전남, 대장암은 강원, 유방암은 서울, 자궁경...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