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진료체계 끝' 건보 한시 지원 종료…응급수술 가산 계속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가산, 응급·중증수술 가산' 제도화 응급의료체계 한시적 지원도 단계적 마무리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류영주 기자 보건복지부가 비상진료체계 종료에 따라 의료기관에 제공해온 건강보험 한시 지원을 종료한다. 복지부는 31일 오후 제2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비상진료 지원 종료 방안과 응급의료체계 단계적 지원 종료, 의원·병원 수가 조정안 등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해 2월 20일부터 의사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하며 건강보험 재정으로 10개 항목을 지원해왔다. 이 중 네 개 항목은 이미 정규 수가 전환이나 사업 연계로 조정이 완료됐고, 이번에 나머지 여섯 개 항목이 추가로 조정됐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가산'과 '응급·중증수술 가산' 등 두 개 항목은 정규 수가(공공정책 수가)로 전환돼 제도화된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가산은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의 경우 기존 250% 가산이...
기사 본문
응급의료 한시지원 연내 종료해 초진료·조제료 등 정규수가 인상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보건복지부가 의료계 집단행동 사태 이후 유지해 온 비상진료 건강보험 한시 지원을 전면 종료한다. 응급의료체계 안정화에 맞춰 일부 항목은 정규수가로 전환하고, 나머지는 단계적으로 지원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지난달 31일 열린 2025년 제2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에서 △비상진료 건강보험 지원 종료 △응급의료체계 단계적 지원 종료 △병·의원 상대가치 인상(안) △재택 중증 소아환자 요양비 확대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1일 밝혔다. 비상진료 지원 종료…2개 항목은 제도화 지난해 2월 의사 집단행동에 대비해 도입된 ‘비상진료체계’는 의료기관의 가동률 유지를 위해 건강보험 재정에서 10개 항목을 지원해왔다. 복지부는 의료 현장의 회복세와 함께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제, 중대본 종료 등의 상황을 종합 고려해 해당 지원을 종료하기로 했다. 그중 4개 항목은 이미 정규 수가 전환...
기사 본문
건정심, 비상진료 건강보험 재정 지원 종료 결정 응급의료센터 인센티브, 거점센터 지정도 종료 응급실 전문의 진찰·응급중증수술 가산은 지속 의원 초진 진찰료·병원 투약 및 조제료 인상키로 재택 중증 소아 환자에 산소포화도측정기 등 지원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정은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있다. 2025.10.17.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정부가 지난해 2월 전공의들의 수련병원 이탈 이후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의료기관에 해왔던 건강보험 재정 지원을 종료하기로 했다. 다만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가산과 응급·중증수술 가산 확대 등 일부 항목은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해 공공정책 수가로 전환한다. 보건복지부는 31일 오후 '2025년 제2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기사 본문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중증수술 가산은 정규 수가로 23곳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 지원 연말까지 의원 초진 진찰료, 병원 투약·조제료 인상 지난해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비상진료 명목으로 시행됐던 한시 수가 조치들이 종료된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가산과 응급·중증수술 가산은 제도화돼 앞으로도 상시 적용된다. 응급의료시설과 인력 등 안정적인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한시적 지원도 단계적으로 사라진다. 31일 열린 '2025년 제2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이형훈 보건보지부 제2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31일 '2025년 제2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보건의료 위기경보 발령과 비상진료 대책 발표에 따라 지난해 2월20일부터 의료기관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가동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에서 재정 지원을 지속해왔다. 하지만 최근 의료체계 전반의 회복세에 따라 보건의료 위기 '심각' 단계가 ...